교사가 등을 돌리고 있는 시간이 길수록 학생들은 수업에서 멀어진다. 엎어져 자거나 쪽지를 주고받거나 휴대폰으로 딴짓을 하거나…. 교사가 앞을 보고 있어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교사의 지속적인 설명을 끝까지 집중하며 참아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아침 7시 30분에 등교하여 수업이 끝나는 4시까지, 장장 8시간 이상 자리에 앉아서 듣는 일을 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오히려 ‘제대로 된 듣기’가 불가능해지는 건 아닐까?
듣기만 하는 수업, 멀어져가는 학생들 미국에서 초·중학교를 마친 후 한국으로 돌아와 고등학교를 다니기 시작한 지인의 자녀에게 학교생활에 대해 묻자, “한국 학교는 정말 이상해요. 수업은 선생님 혼자 하세요.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아무 것도 안 하고 듣기만 해요. 그래서 재미없고 지루해요”라고 대답한 것을 들은 적이 있다. 수업은 교사가 열심히 해야 하는 것일까, 학생이 열심히 해야 하는 것일까? “수업은 ○○이다”라고 물으면, 우리 학생들은 “수업은 인내다”라고 할 것 같다. 참아내지 않으면 안 되는 시간들…. 이 시간들은 학생들도 힘들고, 점점 유체이탈하는 학생들을 보고 있어야 하는 교사들도 결국 힘들어진다.
‘살아있는 수업’의 주춧돌, 협동학습 협동학습은 학생들이 주인이 되어 살아 움직이는 수업으로 바꿀 수 있는 가장 주춧돌이 되는 수업이다. 왜냐하면 8년간 수업 컨설턴트로서 수많은 공개수업을 참여하다 보면, 단 한 번도 모둠학습을 하지 않은 수업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평소에는 하지 않던 협동학습을 공개수업 때는 꼭 하는 걸 봐도, 대부분의 교사들 역시 협동수업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는 듯하다. 협동학습은 학생들이 혼자서는 성취하기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Johnson, Johnson, & Holubec, 1986). 협동학습의 주된 목적은 학생들을 배우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강의형식 수업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과정으로, 각각의 모둠원들은 모두 자기 학습 자료에 대해 책임을 나누어야 하고 모둠 내의 다른 멤버들을 도울 의무를 가진다.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