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12.9℃
  • 구름조금강릉 14.9℃
  • 연무서울 13.4℃
  • 구름많음대전 14.1℃
  • 구름조금대구 14.2℃
  • 맑음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3.5℃
  • 맑음부산 16.0℃
  • 구름많음고창 13.4℃
  • 맑음제주 17.4℃
  • 구름많음강화 12.8℃
  • 흐림보은 12.3℃
  • 구름많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5.4℃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논술 _ ‘보기’를 넘어 ‘읽기’로 미디어 비평을 통한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기르기

도서,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비평적 관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힘’을 키워준다는 것이다. 비평 활동은 결코 따분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니다. 자신의 생각과 과정을 좀 더 정교화하면 가능한 작업이다. 비평을 가르치고 연습시키는 활동은 아이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 성인은 한 달에 몇 권의 책을 읽을까?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인 1인당 연간 독서량이 9.2권, 월 0.76권으로 한 달에 책 한 권을 채 못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중 그나마 독서를 많이 하는 대학생들의 독서량도 급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문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도 빼놓을 수 없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속도는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며, 지금 이 순간에도 현재의 상태를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이 태어나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미디어의 환경 변화와 직결된다. 클릭 한 번으로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세상에 어렵지 않게 드러낼 수도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발달은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와 유통으로 이어져 사람들의 인식 세계의 변화를 함께 가져오게 되었다.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출판되는 모든 책을 스캔하여 웹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DB를 구축하고 있는 구글 프로젝트는 정보의 증가와 유통 구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정보의 ‘풍요’ 속에 문제 해결력의 ‘빈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정보의 파편화’이다. 정보에 접근해 가는 과정을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 말의 의미를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전통적 방식의 읽기 체계’에서는 순서에 따라 천천히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하지만 ‘웹상에서의 읽기 체계’는 순간적이고 순서를 뛰어넘어 접근하는 하이퍼리딩(Hyper-reading)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둘의 차이는 우선 속도에 있다. 즉시 이동이 가능한 후자에 비해 전자는 느리고 지루하다. 신속하지 못하고 지루한 전통적 읽기는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힘들고 소모적인 행위로 인식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텍스트 가독 지속 시간이 15분을 채 넘기지 못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읽기의 효율성과 편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후자의 읽기 방식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속도에서는 비록 느리지만 정보를 자신의 관점으로 구성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 포함되기에 하나의 정보는 단편적으로 머물지 않고 의미를 갖게 된다.

아이들은 스마트 기기에 빠져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능숙하게 기기를 다루며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접하고 있다. 정보를 많이 접하면 그에 비례하여 문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어야 하지만 오히려 반비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말초적인 신경을 자극하는 가치 없는 정보들이거나, 어렵사리 접하게 되는 유용한 정보도 의미 없이 흘려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풍요 속 빈곤’이 딱 맞는 표현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의미 있는 정보의 형성이 가능한 것일까? 그 답은 스토리에 있다. 하나의 스토리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각각의 정보들이 맥락 속에서 서로 관계하며 나름의 의미를 갖게 된다. 아이들이 스토리를 접한다는 것은 단순히 하나의 이야기를 재미 삼아 보는 것이 아니라 의미 구성의 과정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세상을 나름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보기’와 ‘읽기’의 차이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