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피에서 맛 본 350원의 아침식사
호스펫에서 함피(이곳 사람들은 현지인들이 거주하는 신시가지인 호스펫을 뉴 함피, 유적지가 있는 곳을 올드 함피라 칭한다)로 가기 위해선 릭샤나 택시 혹은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 숙소는 현지인들이 살고 있는 호스펫에 잡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함피로 이동하기 위해 버스를 탈 수 있는 곳을 찾아 나선다.
인터넷 지도를 따라 길을 걷는데, 버스정류장 맞은편에 바나나 잎에 얹어 파는 거리표 음식을 현지인들이 많이 사 먹고 있었다. 아침 식사를 하지 않고 나왔던 터라 기웃거렸더니, 주인 사내가 음식을 건넨다. 이곳에는 거개 후불제. 처음엔 그 음식이 무엇인지 몰랐다. 대표 음식 중 하나인 ‘도사’다. 왼손으로 바나나 잎을 받쳐 들고, 오른손으로 크레페나 팬케이크 같은 빵을 찢고, 그 위에 뿌려진 소스인 처트니(chutney)를 적당히 발라서 손가락으로 오므려 먹는 거다. 내 먹는 모습이 현지인들에겐 볼거리였나 보다. 호기심으로 혹은 알 수 없는 미소로 자꾸만 쳐다본다. 개의치 않고 씩씩하게 식사를 끝내고 가격을 물어보니 20루피란다. 우리 돈 350원 정도의 아침식사.
버스 스탠드(버스터미널을 인도에선 이렇게 부른다)에서 경비원에게 함피행 버스를 물었더니, 친절하게도 그 버스 앞까지 나를 데려다준다. 티켓팅을 해야 하는 거 아닌가 기웃거렸지만, 어디에도 표 파는 곳이 없다. 버스에 올랐더니, 세상에나 차장이 있어 일일이 손님에게 와서 돈을 받고 영수증을 주는 시스템이다. 골목을 하나 도는데 M형이 손을 들어 버스에 탄다. 버스 안에 탄 현지 주민들의 눈이 두 사람에게로 분산되니 눈빛의 무게가 반으로 줄어드는 것보다 더 반가운 건, 사실 잔돈이 없었던 이유였다. 2000루피는 고액권이라(우리 돈 3만 5000원 정도) 잔돈 교환 때문에 사용이 어렵다. 좀 전 거리표 음식을 먹을 때 몹시 당황했다. 지갑과 주머니를 다 열어보니 10루피 한 장과 동전 두 개가 있을 뿐 20루피를 채울 수 없었으니 말이다. 그 옆 가게에 가서 물 한 병 사려고 2000루피를 내밀었더니 안 된단다. 마찬가지, 거리표 음식 주인도 내가 2000루피 지폐와 남은 잔돈을 모두 보였더니 잔돈만 가져가며 오케이라 말했다. 20루피짜리 아침을 깎아서 15루피 정도 낸 셈이다. 그러니, 16루피인 버스비야 또 말해 무엇하랴.
멀리 함피가 보인다. 함피를 처음 만난 사람 모두 비슷한 느낌을 가지지 않았을까? 거기 부려진 산언덕과 그 언덕 위에 얹힌 황톳빛 화강암 바위들이 우주를 유영하다가 미지의 혹성에 불시착한 곳 같다는 느낌.
함피는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 남인도에서 한때 100만 명의 용병을 고용할 정도로 번성한 힌두 왕조 비자야나가르왕국의 수도였다. 그러나 북쪽 무슬림 연합국의 침략을 받아 왕조가 망하면서 폐허가 되었다. 하지만 그 폐허 사이로 그때의 번영을 웅변하는 유적지와 화강암 바위들이 어우러져 다소 비현실적인, ‘세상에 존재할 수 없는 풍경(디 콘티)’이란 말을 낳게 된 곳이기도 하다.
이 낯섦이 주는 신선한 충격이 바로 여행의 진수가 아닐까? 함피의 첫인상과 강렬함은 이것에서 출발한다. 그래서인지, 함피 주변의 게스트하우스에서는 오랫동안 이곳에 느긋하게 머물면서 낯선 세계가 주는 어떤 충만한 느낌에 몸 담그는 사람들이 많아 보인다.
함피 바자르에 내리자마자 길게 회랑처럼 이어진 고뿌람을 지나면 웅장한 비루팍샤 사원이 나타난다. 모두 3개의 고뿌람이 있는데, 그중 가장 큰 것은 9층으로 높이가 48미터에 이른다. 밧탈라 사원과 함께 함피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웅장한 사원이다. 또한 수많은 힌두 순례자들이 찾는 곳이고 예배 의식이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살아 있는 사원이기도 하다.
첫날은 이동 중간에 버스 한두 번을 이용하고, 나머지는 걸어서 이동을 했다. 그늘에선 딱 알맞은 남국의 기온이지만 햇빛은 강렬하고 따갑다. 그리고 지나는 오토바이와 릭샤와 택시들이 지나며 일으키는 먼지와 매연들이 힘겨웠지만, 그래도 혼자 타박타박 걸으며 폐허와 일부 남겨진 유적들 사이를 유영하며 어마어마하게 번성했을 왕조시대를 상상해 본다.
그러다, 늦은 오후 무렵 일몰 명소라는 마팅가힐에 오른다. 해지는 풍경에 함피라는 신들의 정원 전체가 장엄하게 펼쳐진다. 누군가의 장난스러움이 겹쳐놓은 듯한 바윗돌들이 위태롭게 언덕을 채우고 있는 너머로 드문드문 사원과 기둥만 남은 흔적들이 사방으로 보인다. 이튿날은 로터스 마할을 거쳐 밧탈라 사원에 이르렀다. 밧탈라 사원과 로터스 마할은 거리가 다소 떨어져 있기 때문에 처음엔 오토바이를 빌리려 하였으나, 오토바이는 이미 대여가 끝났단다. 로터스 마할과 밧탈라 사원 입구까지는 오토릭샤를 이용했고, 그다음부터는 다시 도보로 다닌다. 열대의 뜨거움에 다소 적응이라도 된 듯, 짜증스러움보다 즐거운 걸음이다.
역대 왕들의 정자 역할을 했다는 로터스 마할은 인도식 건축과 이슬람식 양식이 조화된, 그야말로 한 송이 연꽃같이 소담스러운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반면, 밧탈라 사원은 압도적이라고 할까. 비록 미완의 신전이라곤 하지만, 약탈과 도굴 등으로 폐허로 남았던 함피에선 그래도 그나마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사원 중의 하나다. 화려하고 섬려하면서도 웅장하다. 본당에는 56개의 돌기둥들을 뮤직 팔라(음악기둥)로 만들어 실제 다른 음색을 내게 만들었다. 그리고 사원 한가운데는 힌두교 3신 중 하나인 비슈누신이 타고 다니던 새 가루다(Garuda)를 아주 정교하게 형상화한 돌로 만든 전차가 단연 눈길을 끈다.
밧탈라에서 함피 바자르까지는 걸어서 이동을 했다. 2km 남짓한 그 길에서는 가이드북에 소개조차 되지 않은 수많은 신전과 기둥과 터가 즐비하다. 터와 기둥만 남아 있는 흔적들을 보면서 그 옛날 비자야나가르왕국의 시간들을 상상해 보면서 걷는 시간이 내내 즐거웠다.
여행은 낯선 세상과의 새로운 만남이다. 내가 살고 있던 곳에서도 쉬이 만날 수 있는 익숙함이라면 굳이 먼 길의 고생을 자초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그래서 여행은 내가 미처 꿈에서도 꾸지 못했던 세상의 다른 모습을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일이기도 하다. 이런 면에서라면 함피는 낯선 즐거움에 흠뻑 젖어들 수 있는 곳이다.
코로나로 빗장이 꽁꽁 걸려 있던 세상. 하지만 서서히 위드 코로나가 진행되고 있고, 다시 세상으로 나가는 문이 활짝 열리게 될 날을 많은 사람들이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오랜 우울의 그늘에 갇혀 있던 우리에게 위로가 될 좋은 선물이 없을까? 그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여행이 될 수 있으리라. 낯선 세상에 몸담아 자신의 내면과 만남을 주선해 주는 일은 스스로에게 해 줄 수 있는 인생 최고의 선물 중 하나가 될 것이라 믿는다.
낯선 즐거움을 주는 곳이 어디 한두 곳이랴만. 코로나 이전에 다녀왔던 인도의 남쪽, 남인도에서도 가장 이채로웠던 ‘함피(Hampi)’를 한번 권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