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는 이들은 언제나 잔소리를 먹고 산다. 시도때도 없이 충고 속에서 산다. 잠자리 들 때부터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까지 잔소리를 한다. '일찍 자야 한다. 손발을 씻고 자야 한다. 양치질을 하고 자야 한다. 잠옷을 입고 자야 한다. 감기가 들지 않도록 이불을 덮고 자야 한다.' 등등 잠자리에들 때부터 일어날 때까지 잔소리를 듣는다. 일어나도 마찬가지다. '일찍 일어나야 한다. 이불을 개야 한다. 청소를 해야 한다. 세수를 해야 한다. 양치질을 해야 한다. 운동을 해야 한다. 식사를 골고루 해야 한다. 가방을 챙겨야 한다. 옷을 반듯하게 입어야 한다.' 잔소리의 홍수 속에 머리가 혼란스러울 정도다. 너무나 많은 잔소리를 듣는다. 잔소리가 머리속에서 지워지기 전에 학교에 가면 또 선생님으로부터 잔소리를 듣게 된다. 이러니 배우는 이들은 잔소리 때문에 진절머리가 난다. 잔소리를 듣지 않고 살 수는 없을까? 왜 귀에 그슬리는 소리를 매일같이 하루도 쉬지 않고 들으면서 살아야 하나? 하고 볼멘소리를 한다. 제발 잔소리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한다.잔소리가 과연 괴롭히는 독약일까? 아니면 약일까? 채근담에 보면 잔소리가 숫돌이라고 하였다. 채근담 5에는 이런 말이 나
요즘은 하루하루 뉴스 보고 듣기가 무섭다. 자고 일어나면 신종플루로 인해 20대가 사망했느니, 40대가 사망했느니 하고 그것도 아주 건강한 사람이 신종플루로 인해 사망했다고 하니 얼마나 무서운가? 학교에는 급속도로 신종플루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하니 교육가족의 한 사람으로 걱정이 보통이 아니다. 정말 사나운 바람이 부는 것 같다. 사나운 비바람이 불면 새들도 걱정스러워 어쩔 줄을 모른다고 하는데 사람인들 오죽하랴! 이렇게 힘들고 어려울 때 낙심하거나 떨며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채근담 6에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疾風怒雨(질풍노우)엔 禽鳥戚戚(금조척척)하고 霽日光風(제일광풍엔)엔 草木欣欣(초목흔흔)하니라.” 이 말은 ‘사나운 비바람이 불면 새들도 걱정스러워 어쩔 줄을 모르고, 날씨가 개어 화창한 날 산들바람이 불면 초목도 기뻐하는 듯하다.’는 뜻이다. 지금은 분명 疾風怒雨(질풍노우)의 때임은 분명하다. 세차게 바람이 불고 줄기차게 비가 내리고 있는 때이다. 신종플루가 온 나라를 뒤흔들고 우리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지만 이 때는 오래가지 않을 것이다. 계속 되지는 않을 것이다. 때가 되면 곧 霽日光風(제일광풍)의 때가 올 것이다. 아무리 거친 바람이 불
채근담 2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涉世淺(섭세천)하면 點染亦淺(점염역천)하고 歷事深(역사심)하면 機械亦深(기계역심)이라” 이 말은 ‘세상살이의 경험이 얕으면 세상에 때묻는 것 또한 적고, 세상살이의 경험이 많으면 교묘한 수단으로 사람을 속이는 것 또한 깊어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참된 사람은 인생을 능숙하게 살기보다 정직하고 순박하게 살아가며, 치밀하고 약삭빠르게 살기보다는 어리석음을 취하여 소탈하게 살아간다.’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이 말은 참된 사람은 정직하고 순박하게 살고 소탈하게 살아가라고 하는 교훈이 담겨져 있다. 세속에 물들지 말라고 하였다. 세상살이의 경험이 많을수록 세속에 물들어 교묘한 수단으로 사람을 속이게 되며 정직하지 못하고 자기의 유익을 위하여 온갖 수단방법으로 약삭빠르게 살아가려고 한다. 이런 사람은 참된 사람이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소위 君子(군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배우는 학생들은 모두가 군자가 됨을 목적으로 한다. 세상살이가 어렵고 힘들더라도 정직해야 한다. 정직을 재산으로 삼아야 하고 정직을 무기로 삼아야 한다. 비록 삶이 넉넉지 못하다 할지라도 정직을 상실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악을 행하고 남을
채근담 1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棲守道德者(서수도덕자)는 寂寞一時(적막일시)나 依阿權勢者(의아권세자)는 凄凉萬古(처량만고)라” 이 말은 ‘도덕을 지키는 자는 한때만 적막할 뿐이지만 권세에 아부하는 자는 만고에 처량하다’는 뜻이다. 棲守(서수)는 간직하여 지키다는 뜻이다. 그러기에 棲守道德者(서수도덕자)는 도덕을 간직하여 지키는 사람이란 뜻이 된다. 도덕을 간직하여 지킨다는 것은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 왜냐하면 도덕을 지키는 자는 고요하고 쓸쓸하기 때문이다. 의지할 데 없이 외롭기 때문이다. 고통과 고난이 따르기 때문이다. 눈에 순간적인 유익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쓸쓸함과 외로움은 오래가지 않는 법이다. 고난과 고통도 오래 가지 않는다. 잠시 잠간이요 한때일 뿐이다. 순간적인 외로움 때문에 도덕을 지키지 않는다는 것은 한때의 쓸쓸함을 모면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외로움 속에 생을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도덕을 지키지 않는 것과 대조적인 내용으로 권세에 아부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권세에 빌붙는 자는 한때의 기쁨을 얻고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는 있지만 그 뒤에는 영원한 외로움 속에서 고통하며 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간적인 기쁨을
채근담 15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交友(교우)엔 須帶三分俠氣(수대삼분협기)요, 作人(작인)엔 要存一點素心(요존일점소심)이니라.” 이 말은 ‘벗을 사귐에는 모름지기 3분의 의협심을 지녀야 하고, 사람됨에는 요컨대 순수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의 핵심어는 俠氣(협기)와 素心(소심)이다. 俠氣(협기)란 의협심을 말한다. 의협심이란 친구를 위해 자신을 돌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친구를 사귐에 있어 가져야 할 마음이 어떠해야 함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친구를 사귀는데 가져야 할 마음이 자신보다 친구를 더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함을 말한다. 어느 정도 자신보다 친구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나? 적어도 3분의 1은 되어야 한다. 三分(삼분)은 3분의 1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는 친구와의 사귐이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친구를 사귐에 자신을 위하는 마음이 앞서면 참다운 친구와의 사귐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친구를 사귐에 자신의 유익을 앞세운다면 친구라 할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진정 친구를 위하는 마음이 있는가? 친구의 유익을 나의 유익보다 앞세우고 있는가? 친구가 나의 도움이 되기 위해서만 사귀다고 하면 진정 친구라고 할 수
채근담18에 이런 말이 나온다. “蓋世功勞(개세공로)도 當不得一個矜字(당부득일개긍자)요 彌天罪過(미천죄과)도 當不得一個悔字(당부득일개회자)니라” 이 말은 ‘세상을 뒤덮는 공로도 '뽐낼 긍(矜)'자 하나를 당하지 못하고 하늘에 가득 찬 허물도 '뉘우칠 회(悔)'자 하나를 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핵심이 되는 漢字는 矜(긍)자와 悔(회)자이다. ‘자랑하다’와 ‘뉘우치다’가 핵심이 되는 말이다. 蓋世功勞(개세공로)가 있다 할지라도 자랑하면 헛것이 되고 만다. 蓋世功勞(개세공로)는 세상을 뒤덮을 만한 공로이다. 공이 아주 큼을 말한다. 이렇게 아무리 공이 크다 할지라도 자랑을 하게 되면 허사가 되고 마는 것이다. 자랑은 아무 쓸모가 없다. 자랑은 쌓아놓은 공든 탑을 무너뜨리고 만다. 자랑은 그 동안 피땀흘려 쌓아놓은 공을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으로 만들고 만다. 그러니 자랑하는 것 좋아해서는 안 된다. 자랑을 예사로이 하고 있는 것은 결국은 자신의 모든 것을 잃게 만들게 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배우는 이들이 학교에 가서 친구들에게 돈 자랑하고, 옷 자랑하고, 휴대폰 자랑하고, 신발 자랑하고, 부모 자랑하고, 가진 것 자랑하고, 건강한 것 자랑하고
채근담 10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恩裡(은리)에 由來生害(유래생해)하나니 故(고)로 快意時(쾌의시)에 須早回頭(수조회두)하고 敗後(패후)에 或反成功(혹반성공)하나니 故(고)로 拂心處(불심처)에 莫便放手(막편방수)하라.” 이 말은 ‘은혜를 받는 가운데 해(害)가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득의했을 때 일찌감치 머리를 돌려라. 실패한 후에 도리어 성공하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일이 뜻대로 안 된다고 해서 손을 떼지 말아라.’는 뜻이다. 앞부분은 성공했을 때 어떻게 하고 뒷부분은 실패했을 때 어떻게 하라는 내용이다. 성공했을 때는 그 성공에 빠져 자만하기 쉽다. 그래서 자만하지 말고 성공한 후에는 꼭 반성을 하라고 한 것이다. 성공에 만족하지 말고 뽐내지 말고 자랑하지 말고 우쭐거리지 말고 자신을 되돌아보고 늘 어려움을 당할 때를 대비하면서 자신을 잘 다듬어나가야 하는 것이다. 恩裡(은리)의 恩(은)을 은혜라고 해석하지 않고 성공이라고 하는 것은 恩(은)이 뒤의 敗(패)와 대비되기 때문이다. 敗(패)가 실패이니 앞의 것은 성공이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恩裡(은리)에 由來生害(유래생해)한다고 하였다. 은혜 속에 害가 생긴다고 하였다. 성공 속에 해가 생긴다
채근담(菜根譚)은 나무뿌리 이야기다.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는 말씀들이다. 그 중 열 세 번째 이야기는 이렇다. “徑路窄處(경로착처)엔 留一步與人行(유일보여인행)하고, 滋味濃的(자미농적)은 減三分(감삼분)하여 讓人嗜(양인기)하라. 此是涉世(차시섭세)의 一極安樂法(일극안락법)이니라.” 이 말은 ‘좁은 길에서는 한 걸음 물러서서 남을 먼저 지나가게 하고, 맛있는 음식은 혼자 먹지 말고 일부를 덜어서 남들과 나누어 먹어라. 이런 마음이야말로 세상을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이다.’는 뜻이다. 이 말은 우리들에게 양보의 미덕을 가지도록 가르치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져야 할 미덕이기도 하지만 특히 추석을 전후하여 가져야 할 미덕이 아닌가 싶다. 추석이 되면 고향을 오가는 분들이 너무 많아 넓은 길이 좁은 길이 되고 만다. 실제 차가 많이 밀리는 고속도로를 피해 좁은 길을 선택하여 고향으로 달리곤 한다. 이럴 때 운전하시는 분들이 가져야 할 마음이 양보의 마음인 것이다. 채근담 13에서는 徑路窄處(경로착처)엔 留一步與人行(유일보여인행)하라고 하였다. 徑路(경로)는 좁은 길을 말한다. 窄處(착처)는 좁은 길목을 말한다. 좁은 길에서는 留一步(유일보) '한 걸음을
아름다운 가을의 계절이 아름답게 느껴지지 못하는 건 무엇 때문일까?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게 막는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신종플루다. 신종플루는 마음을 우울하게 만들고 어둡게 만든다. 활기찬 생활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의 삶을 위축시키고 있다. 신종플루가 빨리 사라졌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신종플루가유행처럼 빠른 속도로 번져가고 있기에 더욱 걱정이 앞선다. 교육의 현장이 두려움과 공포 속에 안정되고 활기찬 학교생활을 할 수가 없다. 학교의 각종 행사들이 줄줄이 무기연기되거나 취소되고 있다. 학생들이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이 어려운 때일수록 우리 모두는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신종플루를 잘 예방하고 이겨내어야 할 것이다. 우선 우리 학생들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가 손씻기가 아닌가 싶다.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 물이 보이면 씻어야 한다. 사람과의 접촉이 있으면 씻어야 한다. 물건과의 접촉이 있으면 씻어야 한다. 물과 친해야 한다. 평소에 습관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이번 기회를 통해 손씻기가 습관화되면 좋을 것 같다. 손을 씻는 것이 신종플루를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
논어의 태백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動容貌(동용모)에 斯遠暴慢矣(사원포만의)며 正顔色(정안색)에 斯近信矣(사근신의)며 出辭氣(출사기)에 斯遠鄙倍矣(사원비배의)니라”라는 말이다. 이 말은 ‘몸을 움직임에는 사납고 거만함을 멀리하고 얼굴빛을 바르게 함에는 신실에 가까이 하며 말을 함에는 비루하고 어긋남을 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증자가 병이 위중할 때 맹경자가 병문안을 오니, 증자가 한 말이다. 새가 죽을 때에는 그 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해진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군자로서 소중히 여기는 도가 세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그 세 가지가 위의 내용이다. 첫째가 몸가짐과 행동을 신중히 하라는 것이다. 容貌(용모)는 얼굴뿐만 아니라 온 몸의 태도이다. 몸을 움직인다는 말은 몸으로 행동을 할 때를 말한다. 몸으로 행동을 할 때의 유의점은 몸가짐과 행동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暴慢(포만)을 멀리하라고 하였다. 暴慢(포만)은 포악하고 거만한 행동을 말한다. 거친 행동과 교만한 행동을 멀리하라고 하신 것이다. 斯(사)는 則(즉)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증자가 건강할 때 많은 사람들의 행동을 보고서 暴慢(포만)한 자를 많이 보았을 것이다. 이
논어에 이런 말이 나온다. “子曰由之瑟(자왈유지슬)을 奚爲於丘之門(해위어구지문)고 門人(문인)이 不敬子路(불경자로)한대 子曰由也(자왈유야)는 升堂矣(승당의)요 未入於室也(미입어실야)니라”이다. 이 말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중유의 고르지 못한 거문고를 어찌 나의 집에서 타느냐?고 하셨다. 문인이 자로를 공경치 아니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유의 학문은 당에 오르고 아직 방에 들어가지 못하였다고 하셨다.’라는 뜻이다. 由(유)는 공자의 제자인 자로를 말한다. 瑟(슬)은 거문고를 말한다. 奚爲(해위)는 ‘어찌 ~하랴’의 뜻이다. 공자의 제자인 자로가 공자의 집에서 거문고를 탔는데 그게 마음에 들지 않았다. 자로의 거문고 솜씨가 별로였던 것이다. 수준이 초보급이었다. 제자들이 있는 가운데 솜씨가 별로라고 말한 것이다.그 솜씨 가지고 우리 집에서 거문고를 타느냐? 별로 듣기가 좋지 않은데 말이야 하고 말을 한 것이다. 그러니 제자들이 그 때부터 자로를 공경하지 아니하였다. 공자가 큰 실수를 한 것이다. 선생님의 말씀 한마디가 본인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듣는 모든 제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 같다. 학생들 앞에서 학생, 학생의 인격을 존중
예나 지금이나 사람을 평가하는 일은 있었던 것 같다. 스승이 제자를 평가하는 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공자의 시대에도 평가가 있었다. 평가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으셨다. 제자를 평가한 내용이 논어에 나온다. “子貢(자공)이 問(문), 師與商也(사여상야)가 孰賢(숙현)이니잇고”라는 말이다. 이 말의 뜻은 ‘ 자공이 물었다. 師(사)와 商(상) 중 누가 현명합니까?’라는 뜻이다. 師(사)는 공자의 제자인 자장이고, 商(상)은 공자의 제자인 자하를 말한다. 孰(숙)은 ‘누가’의 뜻이다. 賢(현)은 ‘어질다, 현명하다, 좋다, 낫다’의 뜻이다. 자공이 제자인 자장과 자하 중 누가 더 어지냐? 누가 더 낫나? 누가 더 현명하나? 누가 더 좋나?라고 물으신 것이다. 사람에 대한 비교평가를 해달라는 질문을 한 것이다. 그 때 공자께서는 이렇게 평가하셨다. “사는 지나치고 상은 미치지 못한다”고 하셨다. 그러니 “그럼 사가 낫단 말씀입니까?”하고 반문했을 때 공자께서는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고 말씀하셨다. 사람을 비교해서 평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본인에게 직접 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사람에게 누가 더 어떻다고 평가하는 것은 보통
논어 선진편에 스승과 제자 사이의 아름다운 대화의 장면이 나온다. 그것도 스승이 어려운 형편에 처해 있을 때였다. 스승과 제자의 관계는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요, 임금과 신하의 관계이다. 혈통을 이어받은 자식이 부모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마음이 어떠하겠는가? 그와 같이 제자도 스승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의 마음도 마찬가지이리라. 이러한 마음이 옛 스승과 제자의 관계이다. 지금도 선생님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옛 스승과 제자와의 관계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모습을 지금도 많이 있을 것이다. 비록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분명히 그러하리라 본다. 반면에 선생님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뿐 아니라 그러하지 않을 때도 선생님과 제자와의 아름답지 못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도 보게 된다. 옛날 사람이나 지금 사람이나 사람은 똑같다. 자녀가 부모를 사랑하는 마음, 제자가 스승을 생각하는 마음은 모두가 똑같다. 그러기에 선생님에 대한 관계가 매끄러워야 한다. 선생님은 제자들만 믿고서도 마음이 든든하도록 해야 한다. 배우는 이는 선생님을 부모님처럼 모셔야 한다. 그것도 특히 어려울 때 그러한 것이다. 따뜻한 말 한 마디로 선생님을 편하게 잘 모셔야 한다. 선생님을 기쁘게
논어의 선진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子曰(자왈) 論篤(논독)을 是與(시여)면 君子者乎(군자자호)아 色莊者乎(색장자호)아”라는 말이다. 이 말의 뜻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다만 언론이 독실하다 하여 그 인물도 독실한 사람으로 허락해 버리면, 그 사람이 마음과 말이 일치하는 군자인가, 그렇지 않으면 말만 독실하고 마음은 허랑한 사람인가를 모를 일이 아닌가?’라는 뜻이다. 공자께서는 말을 잘하면서 행동에 옮기지 않는 사람을 못마땅하게 여겨서 말만 잘하는 사람이 되지 말고 말과 행동이 일치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치신 말씀이다. 論篤(논독)이란 말이 도리에 맞고 충실함을 말한다. 論篤人(논독인)은 군자가 아니라고 하신 것이다. 말은 그럴 듯하게 잘하는데 행동이 따르지 않으니 군자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군자는 말과 행동이 하나가 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色莊者(색장자)는 외부에 나타난 언어동작을 말한다. 외면만이 장중함을 말한다. 겉으로 볼 때는 말도 잘하고 생긴 것도 잘 생겼고 무게가 있어 보이니 군자답게 보일지 모르나 색장자는 겉과 속이 다른 자이다. 말과 행동이 일치되지 않는 자이다. 겉으로는 장엄하고 장중하지만 안으로는 그 반대다. 그러니 색장자는 군
논어 태백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恭而無禮則勞(공이무례즉로)하고 愼而無禮則葸(신이무례즉사)하고 勇而無禮則亂(용이무례즉난)하고 直而無禮則絞(직이무례즉교)니라 ”라는 말이다. 이 말은 ‘공손하기만 하고 예절이 없으면 수고롭게 되고, 신중하기만 하고 예절이 없으면 두려워하게 되고, 용감하나 예절이 없으면 난폭하게 되고, 정직하기만 하고 예절이 없으면 박절하게 된다.’는 뜻이다. 공자께서 禮에 대한 말씀을 하신 것이다. 恭과 愼과 勇과 直이 꼭 필요한데 그것이 禮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름다운 그림이 하얀 도화지 위에 그려져야 하듯이 恭과 愼과 勇과 直이 禮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야 함을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배우는 이들에게는 무엇보다 恭과 愼과 勇과 直이 있어야 한다. 이게 없으면 안 된다. 이게 우선이라고 볼 수 있다. 배우는 이들에게 恭이 없으면, 공손함이 없으면 안 된다. 공손함이 없으면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가 없다. 공손함이 꼭 필요하다. 공손함이 있되 예절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공손하면서 예가 없으면 안 된다. 지나치게 공손함은 예가 아닌 것이다. 공손한 것은 좋은 것이고 반드시 가져야 하는 것인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