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내린 다음 날 아파트 뒷산 공동묘지에서 본 비석입니다. 나무에 새긴 비석이 비에 젖을까 비닐로 묶어준 정성이 간절하게 느껴쪘습니다.
어제 치아를 치료하러 전주 시내에 있는 병원에 갔습니다. 깔끔하게 정돈 된 휴게실에 고객을 기다리는 병원의 손길이 곱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간호원에게 물었습니다. "많은 종류의 차를 준비해 두셨네요?" "네~원장님께서 직접 골라서 사오세요." 원장님을 바라보니 오십대 중반 쯤 됐을까요? 고객을 위해 차를 준비하신 원장님이 멋져보였습니다. 어디를 가더라도 쉽게 마실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이렇게 많은 종류와 예쁘게 정돈해 놓은 건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지는 풍경이었습니다. 치아가 아프면 마음도 아프게 마련이다. 이럴 때 맘에 드는 차를 골라 마시면서 기다린다면 그 아픔은 녹아내리지 않을까? 이럴 때고객 감동이 되겠지요.
매월 남편의 월급날인 21일과 내 월급날인 25일은 우리집 가정의 날이다.올 1월부터 남편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는데 그 재미가 쏠쏠하다. 21일은 남편이 저녁을 사고 보너스로 5만원을 봉투에 넣어준다. 그리고 25일은 내가 남편과 딸아이에게 봉투를 준비한다. 액수는 많지 않지만 그 기분은 새롭다.요즘 가족들의 얼굴을 보기 힘들 정도로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그래도 특별한 의미를 두고 함께 모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서 가족의 힘을 되돌아보는 여유를 한 달에 한번만이라도 가져보는 것 어떨까요?
며칠 전 병원 진료를 받고 약국에 갔습니다. 약을 조제하는 동안 의자에 앉아 기다리는데 눈에 띄는 게 있었습니다. “필요하신 분 가져가세요!” ‘뭘까?’ 바구니 안에 있는 작은 통을 열어보았습니다. 약을 담아 두었던 깨끗한 통이었습니다. ‘이것으로 무엇을 하면 좋을까?’ 갑자기 떠오르지 않아 약을 조제하고 있는 약사에게 질문을 했습니다. “저어기요. 약사님! 이 빈 통은 어디에 쓰면 좋지요?” “네~ 그 통은요. 휴가 가실 때 양념 통으로 쓰셔도 좋고요. 가정에서 자잘한 물건 담아두면 좋아요.” 약사님의 대답을 듣고 나니 가정에서 요긴하게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네 개를 가지고 집으로 왔습니다. 그리고 큰 통 하나에 담아두었던 단추들을 모양과 크기 별로 분리해서 넣고, 클립도 따로 담았습니다. 그런데 모양과 색이 똑같아서 병에 든 물건을 알 수가 있어야지요? 그래서 들어 되어 있는 물건의 이름을 견출지에 써서 붙였답니다. 밀폐력도 좋아서 야외 나갈 때 양념을 넣어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것이지만 고객을 배려하는 약사님의 마음 아름답습니다.
어제 저녁 퇴근한 남편이 욕실 입구 바닥에 있는 딸아이(고등학교 2학년)의 교복을 보고 말했습니다. “혜진아! 교복 아직 안 빨았네. 아빠가 빨아줄게” 안방에서 TV를 보고 있던 저도 제 방에서 숙제를 하고 있던 딸아이도 놀란 눈을 하고 거실로 뛰어나왔습니다. “아빠! 아니에요? 제가 빨게요.” 당황한 표정으로 딸아이가 말했습니다. 그러자 남편이 말했습니다. “혜진아! 아빤 혜진이의 친구가 되고 싶거든. 앞으로 아빠의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SOS를 보내는 거야. 알았지?” “예~” 처음 듣는 남편의 말에 딸아이는 환하게 웃는 얼굴로 씩씩하게 대답을 했습니다. 그리곤 딸아이와 저는 남편의 교복 빠는 모습을 쭈그리고 앉아 바라보았습니다. 손놀림이 예사롭지 않았습니다. 딸아이와 저는 그 신기함(?)에 낄낄 웃었습니다. “아빠가 고등학교 다닐 때 교복을 빨아 입었거든. 그 솜씨가 녹슬지 않은 거야!” “아빠! 엄마 손 놀림보다 훨~자연스러워요!” 제가 보기에도 그랬습니다. 마지막 헹굼에 섬유유연제를 넣어주는 센스까지 잊지 않았습니다. 교복 빠는 시간이래야 10분도 걸리지 않았지만 딸아이와 저는 입이 귀에 걸렸었다고 해야 할까요? 사실 딸아이는 학원 끝나고 집에
현충일 오후. 완산 칠봉 입구 다가구주택 유리창 방범 망에 태극기가 붙어(?) 있었습니다. 현충일을 기억하고 있는 것도 예쁜 초등학생. 정성 들여 그린 태극기에서 나라 사랑 마음까지 펄럭입니다.
날씨 탓일까요? 이유 없이 짜증이 났습니다. 저녁을 먹고 난 후 안방에 누웠습니다. 한 시간을 뒤척였지만 잠은 들지 않았습니다. 밤 열 시 요리학원에 다녀온 딸아이가 방문을 열고 외쳤습니다. “엄마! 다녀왔습니다.” “힘들지?” “아뇨? 안녕히 주무세요!” 씩씩한 딸아이의 목소리을 듣고 잠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일어난 시간은 새벽 두시였습니다. 냉장고를 열고 물 한 컵을 마신 후 거실 등을 켰습니다. 그런데 탁자 위에 보라색 포장지 속에 장미 한 송이가 고개를 내밀고 있습니다. ‘무슨 꽃일까? 특별한 날도 아닌데..’ 코를 바짝 대고 향기를 맡아보았습니다. 기분이 상쾌해졌습니다. 꽃의 의미가 궁금했지만 기다리기로 했습니다. 아침밥을 준비하면서 남편과 딸아이에게 꽃의 정체에 대해서 물었습니다. 세수를 하던 딸아이가 말했습니다. “엄마! 일명 ‘힘내세요. 꽃’ 이랍니다. 요즘 엄마가 많이 우울한 표정이어서 기분 좀 엎 시켜 드리려고 샀어요.” “응? ‘힘내세요. 꽃’ 하 하.. 고맙다.” 장미 꽃 한 송이에 꽃말까지 선물한 딸아이의 정성에 힘 불끈 솟던 행복한 아침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