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만5세 이상 무상교육이 전면 실시되는 가운데 공.사립 시설 아동에 대한 보조금 격차로 인해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간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25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3월부터 5세이상 미취학 아동에 대한 통합교육과 무상교육 내용을 담은 '누리과정'이 시행에 들어가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을 다니는 전국의 모든 만5세 아동에게 교육비 및 보육료가 지원된다. '누리과정'이 도입되면 학부모들의 실제 경비 부담을 감안해 국공립 유치원을 다니는 아동에게는 매달 5만9천원, 사립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동에게는 매달 20만원이 지원된다. 여기에 경기도는 종일반 만5세 아동들에게 지원되던 금액(국공립 유치원 3만원,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5만원)을 2만원 증액하고, 무상급식 지원정책에 따라 사립 어린이집 원아들에게는 월 2만원의 보육료를 신설지급키로 했다. 따라서 도내 사립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동은 최대 29만원(누리과정 20만원, 종일반 지원금 7만원, 급식비 2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반면 국공립 유치원의 경우는 최대 10만9천원(누리과정 5만9천원, 종일반 지원금 5만원)에 불과해 공사립 시설간 지원금액 격차가 근 3배에 달하게 된다
서울 일부 자율형 사립고(자사고)가 내년 신입생 모집에서 무더기 미달사태를 빚으면서 지정이 취소되거나 취소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경기도내 9개 자립형 공립고는 평균 2.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도내 자율형 공립고가 24일 학교별로 내년도 신입생 선발을 위한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2천492명 모집에 6천912명이 지원했다. 자율형 공립고 중 내년 신입생 408명을 선발하는 고양 저현고는 2천270명이 원서를 제출해 5.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의왕고는 3.5대 1, 오산 세마고는 3.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도내 자립형 공립고들의 평균 경쟁률은 지난 4일 원서접수를 마감한 도내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보다 높은 것이다. 당시 8개 외고는 2.0대 1, 3개 국제고는 2.3대 1, 2개 자사고는 2.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번에 원서접수를 마감한 9개 자립형 공립고는 오는 30일까지 학교별로 합격자를 발표하며, 불합격한 지원자들은 다음달 2일까지 원서접수가 진행되는 후기 일반계 고교에 지원하게 된다. 자립형 공립고들의 신입생 선발은 고교 평준화지역에 있는 저현고ㆍ고색고ㆍ의왕고 등 3개교의 경우 컴퓨터 추첨으로, 충현고ㆍ와부고ㆍ청
사립유치원의 반발로 논란을 빚는 공립유치원 신ㆍ증설에 대해 부산의 학부모 대다수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일권 교육의원은 25일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부산지역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1천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학부모 대다수가 공립유치원 신ㆍ증설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72%는 현재 국ㆍ공립 유치원의 수가 부족하다고 말했으며, 부산교육청의 공립유치원 설립 확대방침에 대해서는 93.2%가 찬성했다. 또 사립유치원에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26.7%)보다는 공립유치원을 확대하는 것(73.3%)이 우선해야 한다는 게 학부모의 주된 의견이었다. 응답자 80.8%는 공립유치원을 특정 지역이나 계층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학부모들은 공립유치원의 장점으로 교육비, 교사의 자질 등을 꼽았으며 사립유치원의 강점으로는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특기활동 등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이달 30일 공립유치원 신ㆍ증설의 근거가 되는 '부산시립학교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심사한다.
경기도교육청은 내년부터 교원들의 9월 1일자 하반기 정기 전보인사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매년 1학기 시작 전인 3월1일 이뤄지는 상반기 정기 전보인사와 달리 2학기 시작 직후 이뤄지는 하반기 전보인사의 경우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승진 인사는 지금과 같이 하반기에도 계속 하기로 했다. 승진 인사나 교원의 명예ㆍ정년퇴직 등으로 발생한 빈자리는 신규임용 교사로 채우기로 했다. 또 하반기 개교하는 신설학교에 배치할 교사도 3월1일 상반기 정기 인사 때 미리 결정하기로 했으며, 신설학교 배치가 결정된 교원에 대해서는 현재 근무 중인 학교에서 담임 등을 맡지 않도록 했다. 그동안 도내에서는 하반기 교원 정기 전보인사로 학기 중 담임 또는 교과 전담 교사가 바뀌면서 학생들의 학교 적응은 물론 교육과정 진행에 큰 피해를 준다는 지적이 많았다. 일부 중ㆍ고교에서는 상급 학교 진학에 필요한 학생의 생활기록부 등을 최종 정리해야 할 3학년 담임교사가 학기중 다른 학교로 이동, 생활기록부가 부실하거나 왜곡 기록될 수 있다는 불만도 나왔다. 도교육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부터 올해 사이 특정 학급의 담임교사를 3차례
전북도교육청 간부가 전북도의회의 예산 심의기간에 해외출장을 떠나 논란이 일고 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는 24일 교육국장이 없이는 예산안 심사가 불가능하다며 심사를 전면 중단했다. 도의회 교육위원회 김연근 의원은 "2012년도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전북 교육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교육국장이 모 대학의 해외 교육센터 개원식에 참석한다는 이유로 해외출장을 떠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고 질타했다. 김의원은 "업무성격상 시급성을 요한다고 볼 수 없고 반드시 참석해야 할 만큼 중요한 행사도 아닌데 해외출장을 떠난 것은 도민의 대의기관인 의회를 경시하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예산안 심의에 사전에 참석하지 않는 걸로 합의가 됐고 지금까지 참석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 교육위원회는 정회를 통해 부교육감, 교육국장, 기획관리국장이 참석하지 않은 예산안 심의는 무의미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도교육청 핵심 간부 모두가 참석할 때까지 예산안 심의를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홍진석 전북도교육청 교육국장은 지난 21일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에 모 대학 해외 교육센터 개원식 참석을 위한 필리핀 출장으로 부득이 출석할 수 없다는 불참사
충북도교육청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교장들의 잦은 출장을 지적한 도의회 교육의원이 정작 자신이 교장으로 근무할 때 많은 출장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져 눈총을 받았다. 24일 도교육청에서 열린 도의회 교육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A 교육의원은 "수업 일수가 210일 정도인데 143일까지 출장을 간 교장이 있고 70일 이상 출장을 간 교장도 96명에 달한다"며 "교장들의 출장이 이같이 잦은 이유가 뭐냐"고 따졌다. A의원은 "각종 회의, 업무협의 등을 위해 교장의 출장은 40-50일 정도면 충분하다"며 "6학급 이하의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장도 많은 출장을 가는데, 출장보다는 학교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A 의원은 "도교육청은 감독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 결국 "교장의 출장은 자율적으로 판단할 일이지만 불필요한 출장이 없도록 지도하겠다"는 도교육청의 답변을 얻어냈다. 그러나 교장 출신인A 의원은 2006년 9월 제천의 한 초등학교 교장으로 부임하고 나서 한 학기 동안 91차례의 출장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2007년에도 이 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171차례를 출장 처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놓고 도교육청의 한 직원은 "
서울지역 자율형 사립고(자율고)의 2012학년도 신입생 모집 원서 접수 결과 또다시 무더기 미달 사태가 생기자 자율고 정책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원자가 한 명도 없는 서울 동양고, 지원율이 여전히 낮았던 용문고는 자율고 지정이 취소될 가능성이 크다. 자율고는 현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인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의 대표 브랜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까지 자율고를 100개까지 늘리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신입생 모집 3년째가 돼도 지원 경쟁률이 3대 1을 넘는 학교부터 지원자가 0명인 학교까지 자율고들 사이에서 편차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교과부는 자율고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가 높고 학력 향상도도 높게 나타나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며 정책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제도가 정착돼가는 과정이며, 일부 학교의 정원 미달은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자율고가 교육내용이나 학교운영 등 여러 측면에서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측면이 많아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자율고 '부익부 빈익빈' 편차도 = 2010년 3월 처음으로 25개 사립고가 자율고로 전환했고 올해 현재 전국
전남지역 교사 10명 중 4명 가량이 관외(管外) 지역에서 출ㆍ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전남도교육청이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교사 1만6천488명 가운데 5천875명(35.6%)이 타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등교사는 6천695명 중 2천247명(33.6%)이, 중등교사는 9천793명 가운데 3천628명(37%)이 관외 거주했다. 출퇴근 시간이 1시간 이상 소요되는 이른바 '원거리' 출퇴근 교사도 882명(5.3%)이나 됐다. 나주와 담양, 곡성, 화순 등 광주권 근무교사들의 출퇴근 비율이 52.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곡성지역은 교사 199명 가운데 81.9%가 광주와 순천 등지에 거주했으며 나주 모 초교는 47명 가운데 단 2명을 제외한 45명이 관외서 출퇴근했다. 이는 장만채 교육감이 특수시책으로 지역내 거주 교사 인사 가산점 부여, 사택확충 등 거주여건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일선 교사들에게는 전혀 먹혀들고 있지 않다는 방증이다. 학부모들은 "아무래도 장거리 출퇴근을 하다 보면 학생지도와 수업 등에 소홀해지고 이는 농어촌 교육의 악순환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강원도의회 교육위원회는 24일 강원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교원 능력평가와 전교조 소속교사의 본청 파견 등 최근 도내 교육현안에 대한 집중 추궁을 했다. 김세영 교육의원은 "최근 강원도 교사 150명이 동료교원평가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한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는데 법과 책임을 어기는 행위는 마땅한 제재를 받아야 한다"며 "이에 대해 교육청은 어떤 대책을 가지고 있느냐"고 질의했다. 그는 또 "강원도교육청은 최근 학생들의 인권만 강조하면서 미래에 대한 대비는 뒤로 미룬 채 현실의 행복만 안겨주고 있다"며 "이런 방식이라면 전국 대비 2.3%에 지나지 않는 강원지역 학생들은 타지역 학생들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고 10년 후에는 모두 실업자가 될 것"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박상남 교육국장은 "교원평가와 관련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안내와 권유를 해나가고 있지만 강제적인 제재는 불가능하다"며 "도 교육청의 교육 방향은 학생들이 꼭 필요한 넓고 깊은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답변했다. 이문희 교육의원은 "교육공무원 임원령 제7조 3항에 의하면 파견업무는 '유관기관의 긴밀한 협조를 위한 특수업무'에 한해 가능한데 현재
울산의 한 특성화고등학교 학부모 61%는 자녀가 취업하기보다는 대학에 진학하기를 더 바랐다. 울산시교육청은 울산공업고등학교가 올해 4월과 5월 학생 1천392명, 학부모 773명, 기업체 관계자 8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4일 밝혔다. 이 조사에서 학부모의 61%는 자녀가 대학에 진학하기를 희망했으며, 취업을 원하는 학부모는 34%에 불과했다. 학생들도 취업(45%)보다는 진학(48%)을 선호했다. 진학을 바라는 학생들은 그 이유로 우수기업에 취업할 가능성이 높고(50%), 창업을 하는데 유리하기 때문(25%)이라고 답했다. 취업을 선택한 학생들은 경제적 목적(63%)과 사회경험(31%)을 이유로 꼽았다. 학부모들은 중소기업의 단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급여수준(51%), 나쁜 사회적 평가(21%), 어두운 미래(13%), 낡은 시설(9%), 낮은 기술적 수준(8%) 등을 지적했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전문기술을 습득할 기회가 많고(38%), 전반적인 업무능력 향상이 가능하며(27%),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근무할 수 있는 점(20%), 장기 근무 가능성(8%) 등을 중소기업의 장점이라고 응답했다.
내년 법인으로 전환하는 서울대가 24일 내부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한 정관 수정안을 공개했다. 평의원회 권한 확대 등 일부 의견은 반영됐지만 총장 선출 방식 등 쟁점이 된 사안은 구체적인 사항을 세부규정에 유보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대는 21일 열린 법인설립준비 실행위원회 회의에서 학내 의견을 반영해 최종 의결한 '국립대학법인 서울대 정관 초안(수정안)'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대는 지난달 중순 법인정관 최초 초안을 공개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해왔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공청회를 방해해 회의가 3차례나 중단되는 파행을 겪기도 했다. 수정안에는 이사 선임 시 후보를 초빙하기 위한 이사후보초빙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총장 정년을 65세로 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총장 선출 방식은 25~30명으로 된 총장추천위원회가 후보 2~3명을 이사회에 추천하는 방식으로 하기로 결정했으며 총장추천위원회의 절차 등 세부사항은 별도 규정으로 정하기로 했다. 또 이사회 의결 권한을 평의원회에 일부 위임할 수 있도록 했고 기금교수를 법인 교원으로 임용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넣었다. 수익사업 업종 범위에서 논란이 됐던 금융업은 삭제했다.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정한 인천지역 사립고 2곳의 교사 4명이 기소유예 처분을, 1명이 벌금을 부과받았다. 24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지검은 생활기록부를 정정한 인천외고 교사 3명과 삼량고 교사 1명에 대해 기소유예하고 징계를 의뢰해왔다. 삼량고의 다른 교사 1명에 대해선 벌금 200만원을 부과했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이들 교사의 생활기록부 정정의 정도가 (징계를 받은) 다른 교사와 비슷하다고 판단해 기소유예 조치를 하고 징계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벌금을 부과받은 교사는 정정의 정도가 크고 정정의 근거도 없는 등 너무 지나치게 부풀린 점이 고려된 것 같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학교 법인에 이들 교사를 경징계 조치할 것을 요구했다. 경징계에는 견책이나 감봉이 있다. 이들 교사는 생활기록부 가운데 진로지도사항, 독서활동사항, 특별활동상황, 행동특성과 종합의견 등의 일부를 고친 것으로 조사돼 지난 3∼10월 검찰에 고발됐다.
중국과 일본 접경지대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채택을 둘러싼 논란이 장기화하면서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23일 오후 일본 오키나와현 가데나(嘉手納)초에서 접경 섬 지역인 이시가키(石垣)시와 다케토미(竹富)초, 요나구니(與那國)초가 보수 성향의 이쿠호샤(育鵬社) 공민(사회)교과서를 채택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는 집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는 교직원조합이나 평화운동 관련 단체가 주도했고 약 1천명이 참가했다. 참석자들은 일본 정부가 이쿠호샤 교과서를 사용하길 거부하는 다케토미 초에 대해 "교과서를 무상으로 제공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문제가 된 지역은 3개 섬이지만 '야에야마(八重山) 교과서 채택지구'로 묶여 있다. 지난달 23일 교육위원 8명의 무기명 투표로 내년부터 4년간 이쿠호샤 교과서를 쓰기로 했지만, 다케토미섬이 이에 반발해 도쿄서적 교과서를 쓰겠다며 주장하며 논란이 일었다. 이 논란의 배경에는 일본 정부가 채택지구별로 한가지 교과서를 무상 지원하도록 한 법률(교과서 무상조치법)과 교과서 채택 권한을 시·초·손(市町村.기초자치단체) 교육위원회에 준 지방교육행정법상의 모순이 놓여있다. 이에 따라 나카가와 마사하루(中川正春) 문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서울 등 여러 시도에서 추진되고 있는 학생인권조례를 저지하기 위한 연대단체를 만든다고 24일 밝혔다. 교총은 대한민국교원조합, 자유교원조합, 한국교원노동조합 등의 교원단체 및 학생인권조례를 반대하는 교육ㆍ학부모 단체와 '학생인권조례 저지 투쟁 연대'를 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대가 결성되면 학생인권조례를 추진하는 시도의회 교육위원을 방문하고 조례 제정에 반대하는 서한 및 청원서를 전달하는 활동 등을 통해 조례 제정을 저지할 계획이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25일 열리는 교총 대의원회에서 연대 결성 및 활동 계획을 확정 짓고 다음달 예정된 서울학생인권조례 주민발의안의 시의회 심의를 앞두고 활동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교사와 교장 등 수백 명이 생활기록부 부당 정정으로 된서리를 맞을 처지에 놓였다. 학생들의 진학에 도움을 주려고 선의로 고쳤다지만 교육 당국이 무더기 징계와 행정조치를 할 계획이어서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광주시교육청은 전체 고등학교 64개교를 전수조사한 결과 39개교에서 모두 1천466건을 고친 것으로 드러났다고 24일 밝혔다. 영역별로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청으로 진로지도 분야를 정정한 경우가 602건으로 가장 많았다. 증빙서류 없는 독서활동 실적 388건, 긍정적 내용 등을 추가한 행동발달상황 256건 등이다. 이밖에 봉사활동(149건), 특기사항(67건), 출결상황과 체험학습이 각 3건, 1건 등이다. 광주지역은 다른 시도 교육청이 표본조사를 한 것과 달리 전수조사를 해 적발건수가 월등히 많다. 전남은 28개교에서 255건, 대전과 전북은 13개교와 10개교에서 52건과 157건만이 지적됐다. J고가 508건으로 3분1 이상을 차지했으며 K고 155건, S고 100건, I고 69건 등이다. 시 교육청은 정정이 이뤄진 학교에 대해 최소 시정부터 주의, 경고, 경징계까지 단계를 둬 조치하기로 내부방침을 정했다. 생활기록부 작성과 정정은 고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