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가 가장 쉬웠다’거나 ‘공부하는 것이 즐겁고 행복하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 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아니,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시절도 있었다. 그런데 학교를 졸업하고 나이를 먹다보니, 이제는 그 말들의 의미를 조금 알 것도 같다. 공부만큼 정직한 게 없기 때문에, 세상에 이러 저리 부딪히며 살다보면 공부만큼 뿌린 데로 거둬지는 것이 없음을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부가 즐겁고 행복하다’고 감히 말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서울대 명예교수(70·물리학박사)이자 교수신문이 2003년 선정한 현대 한국의 자생이론가 20명 중에 유일한 자연과학자로 선정되기도 했던 저자는 “그저 앎을 즐기고 앎과 함께 뛰노는 것이 좋았다”고 단언한다. 어떤 목표나 당위가 필요치도 않고, 끝이 없어야 배우는 기쁨, 깨닫는 즐거움도 계속되며, 그 보물창고로 향하는 과정, 공부로 가는 그 길이 행복하다고 말이다. 그는 스스로를 공부꾼이라고도 했고, 때로는 앎을 훔쳐내는 학문도둑이라고도 했다. 땅이나 일구라는 할아버지의 반대로 초등학교도 마치지 못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던 그의 ‘공부’는 그렇게 ‘도둑’의 심정으로 시작됐다. 그의 공부 방
2008-06-10 15:14# 어느 학교에서 실험자가 교사들에게 “마기와 막스는 똑똑하고, 에르곤과 마르 타는 머리가 나쁘다”고 귀띔을 해준 뒤 이 말이 낳는 결과를 지켜본다. 사실은 마르타가 마기보다 머리가 좋고 성적도 뛰어났다. 1년 후 성적을 확인해 보니 마기와 막스는 훌륭한 학생이 돼 있었던 데 반해 에르곤과 마르타의 성적은 좋지 않았다. 교사들이 똑똑하다고 믿은 마기와 막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고, 세세한 지도를 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빚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 실험이 바로 그 유명한 ‘로젠탈 효과’이다. # 1995년 미국 스탠포드대 재학생들을 상대로 언어능력을 테스트한 실험이 있었다. 핵심은 피실험 학생 절반에게는 피부색을 물었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묻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자 네 개의 집단이 생겼다. 피부색을 질문 받지 않은 흑인과 백인, 피부색을 답변해야 했던 흑인과 백인. 테스트 결과는 놀라웠다. 피부색을 답변해야 했던 흑인 집단의 성적만 눈에 띄게 나빴던 것이다. 이유는? 흑인은 지능이 필요한 과제를 잘 풀지 못한다는 사회적 편견이 문제였다. ‘여자아이는 수학을 못한다’ ‘특정 혈액형은 괴팍한 성격을 갖고 있다’ ‘금발 여자는 백치미이다’ 등 어느 조직이나 사
2008-06-10 15:12■ 수업을 즐기는 아이들(이인순․차경희|일컴)=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수업방법(인형매체, CD활용평가, 지능발달 보고서, 평가루브릭, 협동학습)을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패=턴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는 인형을 활용한 인성교육 위주로 구성하고 있는데 바른 언어 사용, 급식지도, 일찍 일어나기, 복도통행지도, 학용품 아껴 쓰기 등 17가지 수업사례가 들어있다. 이밖에도 독서 ․토론․논술수업, 신문활용(NIE)수업 사례와 수업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견도 담겨있다. 부록으로 실제 제작된 수행평가 도구도 포함했다. 2만원 ■ 학교교육 혁신론(김인희|한국학술정보)=밥을 짓기 위해 전기밥솥에 쌀과 물을 넣은 뒤 ‘취사’버튼을 누르지 않고 ‘보온’버튼을 누르고 밥이 되기만 기다려서야 되겠는가. 저자는 지금까지의 교육개혁의 오류는 ‘변화’가 아닌 ‘관리’를 통해 교육변화를 일으키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현장 교사들이 교육개혁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태도를 갖게 된 것은 ‘변화’의 주도 세력인 교사에게 헌신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그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일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며,…
2008-06-10 14:58“비둘기들이 걸어 다니는 이 조용한 지붕은/소나무들 사이, 무덤들 사이 꿈틀거린다/올바른 정오가 거기서 불로써/바다를 구성한다, 언제나 다시 시작하는 바다를!/오, 한줄기 사념 뒤에 오는 보상/신들의 고요에 쏠린 오랜 시선이여!” 이렇게 시작되는 폴 발레리(Paul Valry, 1871~1945)의 시 ‘해변의 묘지’는 20세기 상징주의 시에 있어 가장 완벽한 언어미학의 극치를 보여주는 명편으로 지목된다. ‘흰 돛단배’를 ‘비둘기’에, 출렁이는 ‘바다 물결’을 ‘지붕’에 비유하는 독특한 은유법을 구사함으로써 또 하나의 시적 기적을 창조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인의 고향인 남프랑스 지중해 연안의 항구도시 세트에 있는 바닷가 공동묘지를 무대로 해서 펼치는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명상의 세계는 그대로 정오의 태양이 숨 막힐 듯 내리쬐는 한 폭의 바다 풍경을 선명히 떠오르게 한다. 발레리는 프랑스 최고의 ‘국민 시인’ 또는 ‘지성의 영웅’으로 떠받들어졌다. 그리하여 그가 세상을 떠날 때에는 국장(國葬)을 치루는 영광스런 예우를 받기도 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해서 수많은 크로키며 데생들을 남겼다. 현재 세트의 ‘발레리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2008-06-02 10:34하버드대학 사회생물학 교수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은지식의 세계가 다기한 흐름으로 깊고 넓게 펼쳐져 있음을 보여주며, 그 다양한 지식들이 어떤 내적인 질서와 더불어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책이다. 그가 보여주는 학문적 통섭의 범위는 놀랄 만하다. 자신의 전공인 생물학은 말할 것도 없고 신학, 신화학, 문학, 철학, 예술사조, 문화사, 해석학, 심리학, 윤리학, 민속학 등에 이르기까지 종횡무진의 경계를 휘몰아 달린다. 이들 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통섭하는) 해박한 설명에 정신을 빼앗기게 된다. 통섭이란 지식과 배움이 어떤 통일된 기반을 가진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저자가 전략적으로 택한 말이다. 저자는 모든 진리는 그 내적 토대의 차원에서 통합되고, 상통하는 질서를 가진다는 과학적 신념을 가진다. 그 신념을 표상하는 가장 적절한 표제어로 통섭을 주창한다. 통섭은 지식의 미래, 아니 지식교육의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생겨난 말이라 할 수도 있다. 통섭은 현대 학문 세계의 지식들이 빠른 속도로 분화되어 그 경계가 굳어지는 것을 염려하는 데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학문의 진정한 미래는 분화와 경계가 아닌, 그 반대의 방향을 향해야 한다고 말
2008-05-27 09:00자연주의 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밀 졸라(Emile Zola, 1840~1902)와 근대회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의 30여 년에 걸친 기나긴 우정 이야기는 한 편의 흥미로운 소설을 방불케 한다. 그들 사이의 우정이 처음 싹트기 시작한 것은 남프랑스 엑상 프로방스 시절의 개구쟁이 소년시절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졸라는 파리에서 태어났으나 엑상 프로방스로 이사함에 따라 거기서 부르봉 중학교를 다니게 된다. 그런데 동급생 중에 세잔이 있었던 것이다. 졸라는 7살 때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신 데다 병약했고 지독한 근시여서 자주 같은 반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했다. 그 때마다 힘이 세고 덩치가 큰 세잔이 나타나 개구쟁이들을 물리쳐주곤 했다. 세잔이 처음으로 못 되게 구는 아이들을 혼내준 다음날 졸라는 고마움의 표시로 사과를 선물했다. 세잔이 훗날 정물화의 소재로 자주 사과를 선택하여 그린 것은 이 ‘유년시절의 사과’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사과로 파리를 정복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던 그가 그린 정물화 ‘사과 바구니가 있는 정물’(1890~94, 사진)은 구성원리의 새로운 차원을 개척한 선구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08-05-26 11:42“미라보 다리 아래 센강은 흐른다/우리들의 사랑을/나는 기억해야만 하는가/기쁨은 항상 고통 뒤에 왔었다.” 이렇게 시작되는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1880~1918)의 시 ‘미라보 다리’는 아마도 현대 프랑스 시 가운데서 가장 널리 대중들이 읊조리는 비가(悲歌)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아폴리네르를 단지 잃어버린 시간과 덧없음의 회환에 잠겨 안타까이 회상하는 현대적 애가의 시인으로만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가 ‘쉬르레알리즘’(초현실주의)이라는 용어를 역사상 처음으로 만들어낸 시인이며, ‘큐비즘’(입체주의)이라는 명칭도 최초로 만들어낸 전위적 미술비평가였음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입체파 운동의 선두에서 이론적 대부 역할을 한 ‘새로운 에스프리’의 기수였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아폴리네르는 ‘미학적 명상-입체파 화가들’(1913)에서, 입체주의가 ‘모방의 예술’이 아니며 새로운 경지에까지 도달하려는 ‘개념의 미술’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인식된 사실 또는 창조된 사실을 표현함으로써 3차원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미학이라 강조한다. 그는 대표적인 입체파 화가로서 조르주 브라크(Geroges Bra
2008-05-19 10:12올해도 어김없이 스승의 날이 찾아오고 있다. 스승의 날은 비록 1년에 단 하루이지만, 적어도 이 날만큼은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기를 키워준 선생님을 생각하게 된다. 어버이날이 있기에 부모의 은혜를 다시 생각해 보듯이, 스승의 날이 지속하는 한, 사람들은 단 하루만이라도 스승의 존재에 대하여 생각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스승을 존경하는 ‘융사(隆師)’의 전통이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스승의 날을 제정하여 기리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자신을 가르쳐준 예전의 선생님들을 향해 단지 마음 속으로 감사의 텔레파시를 보낼 뿐이다. 물론 전화나 문자메일, 혹은 이메일을 보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정작 자신을 가르쳐준 선생님을 직접 찾아가 뵙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하더라도 마음 속에 존경할 만한 스승이 있고, 이 분을 그리워하고 기릴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오늘날 자신이 있도록 키워준 사람에 대하여 감사할 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음 속으로 존경할만한 스승이 있는 사람이 행복하고 성공한 사람이라는 논리는 민족에게도 통할 수 있을 것이다. 훌륭한 “
2008-05-14 09:31원효(元曉, 617~686) 성은 설씨(薛氏),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 경북 경산 출생. 648년 출가 후 경전을 공부하지 않고 타고난 총명으로 전적을 섭렵한 한국불교사 최고의 학자이자 사상가. 20부 22권의 저술이 현존한다. 최치원(崔致遠, 857~?)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본관은 경주. 17년간 당나라에 머무르며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토황소격문’ 같은 명문으로 우리나라를 널리 알린 국제인. 정치·사회질서를 수립한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안향(安珦, 1243~1306) 자는 사온(士蘊), 호는 회헌(晦軒). 경북 영주 출생. 주자학을 국내로 들여와 보급시킨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 학교재건과 인재양성을 통해 주자학의 이상을 확산시킨 교육사적 위치를 갖고 있다. 세종(世宗, 1397~1450)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 재위 1418~1450. 유교정치의 기틀 마련, 편찬사업 확대,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 발전과 기술서적 편찬, 법전 정비 등 다방면에 걸쳐 빛나는 민족문화 건설에 기여했다. 이황(李滉, 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ࡣ
2008-05-14 09:295월 교육주간과 스승의 날을 맞이해 본지와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공동기획한 ‘겨레의 스승’ 12명이 선정됐다. ‘겨레의 스승’은 우리 역사 속에서 스승과 교육자의 귀감이 될 인물을 뽑아 그의 사상과 교육자로서의 사표를 집중 소개함으로써 스승상을 되새기고, 스승 존경 풍토를 조성하고자 기획됐다. 이번에 뽑힌 12명의 ‘겨레의 스승’은 다음 달부터 1년간 매월 1회 본지를 통해 소개되며, EBS도 인물별로 4회 정도의 다큐드라마를 제작해 6월부터 매주 방송한다. ▲예비후보 선정 과정=지난달 23일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겨레의 스승’ 선정위원회는 1차 회의를 갖고 예비후보 36명을 선정했다. 선정 기준은 시대적 배열, 사상가 혹은 실천가의 비중, 인문 분야와 전공 분야의 안배, 종교인 포함 여부 등이며 무엇보다 교육자로서 민족의 사표가 될 만한 인물을 포함시키는데 중점을 뒀다. 또 EBS를 통해 방송되기 때문에 시청자들에게 시각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인물도 고려됐다. 한국사를 크게 고대, 중세, 근세로 구분해 각 시기별로 인물을 결정했다. 고대는 삼국시대부터 고려까지로 설총·안향·원효·이색·의천·지눌·최치원·환웅 등 8명, 중세는 조선 개항 이전까지
2008-05-14 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