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생인 이브 본느푸아(Yves Bonnefoy)가 80세 생일을 맞은 2003년 6월에 '마가진 리테레르'에서 본느푸아 특집을 꾸몄을 때, 그리고 2004년 4월 '르 몽드'의 문예란에서 본느푸아를 대대적으로 조명하는 기획특집을 했을 때, 하나같이 '현존의 시인'이라는 명칭으로 시인을 부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본느푸아가 자신의 문학적 생애의 시작에서부터 85세가 넘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끈질기고 일관되게 '현존(presence)'의 문제에 매달려왔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할 것이다. 우리가 단 한마디로 본느푸아를 규정하고자 할 때 '현존의 시인'이라는 명칭보다 더 정확한 명칭은 없을 것이다.
1953년 폴 발레리의 '젊은 파르크'를 능가하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은 첫 시집 '두브의 운동과 부동'을 출간한 이래, '사막을 지배하는 어제'(1958), '비석'(1965), '문지방의 현혹 속에서'(1975), '빛없이 있었던 것'(1987), '눈의 처음과 끝'(1991), '구부러진 판자'(2001) 등의 시집을 내놓은 본느푸아는 이제 "20세기 프랑스 문학사의 가장 중요한 형상 중의 하나"(로베르 코프)가 되었다. 최근 들어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 명단에서 빠지지 않는 현존하는 프랑스 최고의 시인이지만, 우리나라에선 아직 프랑스시 연구자들에게나 높이 평가되는 이름이 아닌가 싶다.
그는 또한 '프랑스 고딕 벽화'(1954) 연구서를 간행한 것을 비롯해서, '로마, 1630년 초기 바로크의 지평'(1970), '알베르토 자코메티'(1991), '시선에 관한 고찰'(2002) 등 주목할 만한 미술사 및 회화론을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1977년에 간행한 '붉은 구름'은 몽드리앙의 초기 그림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시론집으로서, 그가 추구하는 바 현존의 시학과 미학의 핵심이 어떤 것인지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비평적 에세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붉은 구름'에 수록한 '그림과 시:현기증과 평화'라는 글에서, "그림과 시는 동일한 것이다"(Ut pictua poesis)라는 고전주의 시대의 예술 이론을 부정하면서, '말하는 시'의 언어가 '말없는 그림'의 시각적인 것보다 훨씬 우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17세기 화가 클로드 로랭(Claude Lorrain, 1600~1682)의 그림 '프시케와 사랑의 궁궐이 있는 풍경'(1664·사진)을 모티프로 해서 쓴 시와 피에트 몽드리앙의 그림 '붉은 구름'을 모트프로 해서 쓴 시를 통해서, 시가 그림을 '식민지화' 해야 함을 실천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본느푸아의 새로운 미학적 주장과 시적 실천은 하이데거류의 예술론이나 헤겔류의 미학과 대치되는 매우 독창적인 지평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