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양혜왕 장구상 6장을 읽으면서 몇 가지 교훈을 얻게 된다. 우선 배우는 이들은 자기가 배우는 과목에서 예리한 질문을 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양의 혜왕의 아들인 양왕(襄王)을 하루는 맹자께서 만났다. 양왕을 만나 뵈었을 때 맹자께서는 놀라워하셨다. 왕답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멀리서 보아도 임금 같지가 않았고 가까이서 뵈어도 두려운 감이 없었다. 그러나 그분의 질문을 듣고 깜짝 놀라웠다. 예리한 질문이었다. 보기는 왕처럼 보이지 않았지만 질문의 내용은 왕으로서의 자격이 충분하였다. 갑자기 양왕은 질문하였다. 天下惡乎定(천하악호정)-'천하는 어디로 정착됩니까?' 하고 물으셨다. 또 孰能一之(숙능일지)오 : '누가 통일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으신 것이다. 배우는 이들이 항상 가져야 할 것이 양왕(襄王)과 같이 질문하는 자세이다. 배우는 이들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자꾸 물어야 한다. 예리하게 질문해야 한다. 선생님이 깜짝 놀랄 정도로 질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자기가 알고자 하는 바를 깨우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배울 점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모가 중요하지 않고 중심
2009-06-29 17:38맹자 혜양왕 장구상 5장을 읽으면서 어진 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우선 교육하는 입장에서 보면 학생들에게 어진 교육을 시킨다면 인성교육은 보다 잘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맹자께서 양혜왕에게 나라가 어렵고 힘들 때 어진 정치를 베풀도록 하셨다. 형벌을 되도록 줄이고 세금을 가볍게 하여 백성들이 열심히 밭을 갈고 쉽게 김매도록 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나서 장정(壯者)들에게 일없는 여가에(暇日가일) 효제충신(孝悌忠信)을 배우게 하여 집안에서는 부형을 잘 섬기고 바깥에서는 어른들을 공경하도록 지도하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면 효제충신은 물론 장정들의 사기가 돋아 몽둥이를 들고서라도 적의 견고한 갑옷과 예리한 무기를 두들겨 쫓게 할 수 있다고 하셨다. 그리고는 仁者無敵(인자무적)이라 하셨다. ‘어진 사람에겐 적이 없다'고 하셨다. 맹자께서는 어진 정치를 하면 백성들은 어질게 되어 있고 어진 백성들에게 적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가르치셨다. 적군이 아무리 뛰어난 무기를 갖고 강한 군대라 할지라도 어진 백성들이 하나가 되어 나가 싸우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고 가르치셨다. 어진 정치가 효제충신(孝悌忠信)의 밑바탕이 되어 어진 백성을 만들듯이 어진 교육이 학생들
2009-06-28 20:49맹자 양혜왕 장구상 4장에 보면 맹자의 가르침이 나온다. 양혜왕이 맹자의 가르침을 받기를 원하자 맹자께서는 사람을 죽일 때 몽둥이로 죽이나 칼로 죽이나 똑같음을 말씀하셨다. 그리고 칼로 죽이는 것이나 악정(惡政)으로 죽이는 것과도 똑같음을 말씀하셨다. 맹자께서는 칼이든 몽둥이든 악정(惡政)이든 모두가 똑같음을 알고 칼로도, 몽둥이로도, 악정(惡政)으로도 사람을 죽여서는 안 됨을 가르쳐 주셨다. 4장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 하나 있었다. 우리들은 말로써 사람을 죽일 때가 많은데 말로써 사람을 죽이는 것도 칼로, 몽둥이로, 악정(惡政)으로 죽이는 것과 똑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자주 상대방을 통해 마음이 상할 때마다 말로써 그 사람을 죽일 때가 많다. 마음에 상처를 준다. 마음에 자국이 사라지지 않도록 한다. 평생에 자국을 만들어 놓는다. 시멘트 바닥에 발자국을 남기면 지울 수 없듯이 사람들의 마음에 새겨진 자국도 평생 지울 수 없다. 그게 쌓이고해서죽음에 이르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말로써 사람을 죽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말로써 남에게 상처를 주는 일도 사람을 죽이는 것임을 알고 조심해야 한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하지만 말은 사람을 죽이기
2009-06-27 13:04오랜 세월을 살면서 가만히 생각해 보니 사람의 깊이와 넓이가 바로 인내더군요. 얼마만큼 참느냐가 그 사람의 깊이였고, 또 인품이라 생각 됐습니다. 특히 학교에서 선생님들과의 사이에서 더더욱 그랬습니다. 선생님들한테 섭섭한 일이 있었을 때 좀 참고 기다리면 선생님이 금방 깨닫고 찾아와 사과와 함께 위로까지 했었습니다. 하지만 참지 않고 금방 화를 냈을때는위로는 커녕 사과도 없었지요. 아마 마음속 깊이 나쁜 감정을 쌓아 놓았을것입니다. 해서 피차 마음이 무척 괴로웠습니다. 뿐아니라 때론 미안한 마음에, 또는 서먹한 마음에 얼굴 조차 보기도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참았을때보다 훨씬 잃은것이많다는걸 느꼈습니다. 가정에서도,사회생활에서도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옛 선조들이 “ 참으면 복이 온다.”고 했었던 가 봅니다. 요즘 선생님들 교단서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초등학생들 까지도 개념이 없고, 생각나는대로 행동하는 아이들이 많아졌습니다. 조그만 일에도 금방 화를 내고,때로는 돌출행동까지 하곤 합니다. 해서 가정과 학교가 연계해서 공동으로 많은 지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사실 인성교육, 인성교육 한다지만 어디 그게 쉬운가요? 선조들 말씀처럼 이미 세살이 넘어버렸기…
2009-06-26 20:56명심보감 정기편에 “不干己事(불간기사)를 莫妄爲(막망위)하라.”는 말이 나온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뜻이다. 자신을 세우기 위해서는 이 말을 깊이 새겨둘 필요가 있다. 不干己事(불간기사)는 자기와 관계없는 일이다. 자기가 구하는 것도 아니고 자기가 원하는 것도 아니다. 자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 것이다. 그런데도 남의 일에 참견하기를 좋아하고 남의 일에 간섭하기를 좋아한다. 이래가지고는 자기를 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不干己事(불간기사)를 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을 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상관없는 일에 참견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도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을 하지 말라고 하였다. 남의 일에 함부로 간섭하고 참견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은 것이다.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은 남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다. 남의 일에 참견하는 것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은 것이다. 남의 일이 자기 일인양 착각을 하면서 간섭하는 것은 과오임에 틀림없다. 과오도 보통 과오가 아니다. 큰 과오다. 남의 일에 간섭을 받는 입장에 서 보면 남의 일에 간섭을 해서는 안 되겠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사소한…
2009-06-26 13:016월 25일은 6.25전쟁 발발 59년이 되는 날입니다. 가르치는 나도 전쟁 이후의 세대입니다.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겪지 않았지만 어려서부터 귀에 못이 박히게 듣고 배웠던 통일의 당위성과 이념의 대결. 오늘의 우리 아이들은 특히 6.25 전쟁 자체가 생소합니다. 남의 나라 이야기처럼 생각하기도 하니까요. 이제 겨우 아홉 살 2학년이지만 어떤 식으로든지 6.25 전쟁은 가르쳐야 할 주제임에 분명합니다. 어른들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이념적 갈등에 빠져서 그 의미마저 가르치지 않는 것은 교육자의 의무를 방기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국가나 교육청 단위로 특별한 지침도 없는 6.25 전쟁입니다. 특히 2009년 개정된 2학년 교육과정의 바른생활에서조차 언급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소한의 상식만이라도 가르쳤습니다. 2학년 수준에 맞게 쉬운 말로 접근했습니다. 나라의 소중함, 우리 꽃 무궁화 알고 그리기, 태극기의 의미(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건곤리감은 하늘과 땅, 물과 불을, 태극은 세상의 이치인 양과 음) 알고 그리기 등 입니다. 2학년 아이들에게는 조금 어려운 노래이지만 '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를 배우게 하고…
2009-06-26 13:01녹음이 짙은 오뉴월이면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련회를 실시하고 있다. 대자연의 품에 안겨 자라는 청소년들에게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교육활동은 매우 뜻있고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요즈음의 청소년들의 대부분이 자연과 떨어진 도시의 아파트 숲속에서 살고 있으며 학교에서 공부에 열중하다보니 심신이 나약해 지고 있다고 하여 걱정하는 분들이 많다. 우리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대표적인 청소년 수련활동을 하던 단체가 화랑도가 아닌가 생각된다. 화랑도의 기원은 씨족사회의 전통을 이은 청년 수련단체로서 여성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화라는 조직에서 출발하였다고 한다. 당시 화랑도는 국선도, 풍월도, 풍류도라 불리기도 하였으며 신라군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진흥왕 때 공인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화랑도는 화랑과 낭도로 조직되어 귀족자제뿐 아니라 평민자제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래서 화랑도는 계급 간의 갈등을 조절하고 완화하는 기능을 하게 되었고 사회 중견 인을 양성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화랑도는 고대사회의 정복전쟁에서 국민을 단결시키고 삼국을 통일시키는데 주체로서 활약하게 되었다고 한다. 화랑도의 세속오계는 원광법사가 유교, 불교, 도교를 수용하여 공동체 사회
2009-06-26 13:01알렉산더 대왕의 육촌인 에피루스의 왕 피로스는 타고난 전사였는데 기원전 280년경에 로마공격에 나섰다가 로마군을 궤멸시켰으나 본인 또한 그에 못지않은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로마군은 현지에서 병력을 충원할 수 있었지만, 그로선 불가능한 일이었기에 4년 뒤 로마군과 다시 격돌해 결국 패배했다고 한다. ‘피로스의 승리’(Pyrrhic victory)는 이처럼 큰 희생을 치르고 얻는, 상처뿐인 승리를 뜻하는 관용어로 알려져 있다. '카드모스의 승리’(Cadmean victory)라는 말도 있는데 이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며, 이긴 뒤에 오히려 더 큰 재난이나 새로운 시련을 초래하는 형국을 뜻한다고 한다. 현대에 와서는 ‘부시의 승리’라는 말도 있는데, 아들 부시대통령이 대량살상무기가 있다는 뜬소문을 듣고 쳐들어가 사담 후세인을 몰아내는데 성공했으나 아버지 부시가 중동을 장악하기 위해 그 후세인을 키우고 도와줬던 사례가 있어서 손실이 더 많은 전승이었기에 피로스의 승리처럼 비꼬아서 부른다. - 한겨레신문 '유레카'에서 발췌 - 이런 것은 비단 외국에만 있는 전설 같은 얘기만은 아니다. 2009년에 '반(反) MB교육정책', 'MB교육정책 심판'이라고 선언한 서울교육감
2009-06-25 21:12명심보감 정기편에 보면 태공(太公)은 “勤爲無價之寶(근위무가지보)”라 하여 부지런함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보배라고 하였다. 소학(小學)에는 “벼슬하는 사람들이 힘써야 할 일이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청(淸)이요, 둘째는 신(愼)이요, 셋째는 근(勤)이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명심보감 정기편에 대개 노는 것은 보탬이 없고 오직 부지런함만이 공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고금에서 '근(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많이 보게 되는데 특히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근(勤)'에 대한 말씀은 근(勤)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 내용을 소개하면 이렇다. “부지런함(勤)이란 무얼 뜻하겠는가?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며, 아침 때 할 일은 저녁 때 하기로 미루지 않으며, 밝은 날에 해야 할 일을 비오는 날까지 끌지 말도록 하고, 비오는 날 해야 할 일도 맑은 날까지 천연시키지 말아야 한다. 늙은이는 앉아서 감독하고, 어린 사람들은 직접 행동으로 어른의 감독을 실천에 옮기고, 젊은이는 힘드는 일을 하고, 병이 든 사람은 집을 지키고, 부인들은 길쌈을 하기 위해 밤중[四更]이 넘도록 잠을 자지 않아야 한다. 요컨대 집안의 상하 남
2009-06-25 16:12명심보감 계선편에 착한 일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착한 일에 대한 것이 나오면 따라서 악한 일에 대해서도 같이 언급이 된다. 그 중의 하나가 한나라 소열황제인 유비가 자기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될 아들에게 한 말씀이 나온다. “漢昭烈(한소열)이 將終(장종)에 勅後主曰(칙후주왈) 勿以惡小而爲之(물이악소위지)하고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하라”는 말씀이다. 악한 점이 작다는 이유로 해서는 안 되며, 선한 점이 작다는 이유로 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여기서 將終(장종)은 죽음에 임하여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여 후주(後主) 즉 뒤를 이을 임금인 자기 아들에게 한 유언의 말씀이라 하겠다. 칙(勅)은 당부하다, 경계하다의 뜻이 있다. 그러기에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여 자기의 아들에게 당부의 말을 한 것이다. 어느 때보다 죽을 때에 하는 말이 가장 영향력이 있다. 죽음에 임하면 가장 의미 있는 말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의 위치가 높은 사람일수록 말의 영향력은 크다 하겠다.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였고 왕의 위치에서 말을 했으니 그 말을 깊이 새겨두어야 할 말이고 평생을 남겨두신 말씀으로 살아야 할 것이다. 이 말씀은 비록 아들인…
2009-06-2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