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말 파괴의 재미와 책임

TV 속 잘못된 우리말 파괴현상



TV 속 잘못된 우리말, 어디까지 허용 가능할까?



학생들 사이에서는 은어, 속어가 판치고 인터넷 속에서는 하루에도 무수한 신조어가 탄생한다. 도대체 우리말인지 외계어인지 알 수 없는 축약어들. 그런 흐름 속에서 최근 한글문화연대의 지적으로 TV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에서 ‘~하실게요’의 잘못된 표현에 대한 설명자막을 내보냈다. 이를 두고 개그를 보는 시각이 너무 경직됐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TV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우리말들, 우리는 이런 현상을 재미로 즐기면 되는 것일까? 아니면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는 것일까?

TV가 우리말 파괴 앞장? 한글 파괴 현상 심각
일요일 밤, 어린아이부터 직장인 부모까지 함께 즐겨 보는 코미디 ‘개그콘서트’. 줄여서 개콘이라고 부르는 이 방송을 안 보거나 몇 회라도 놓치면 학교에서건 직장에서건 사람들 말을 알아듣기 어려워진다. 재미있는 말투, 재치 넘치는 말장난, 세태를 풍자하는 대화에 몸을 아끼지 않는 연기가 더해져 개그콘서트의 인기는 식을 줄을 모른다.
최근에 인기몰이하는 꼭지 가운데 하나가 ‘뿜 엔터테인먼트’다. 그런데 지난 9월 1일 밤, 이 꼭지가 시작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글이 떴다.
“ ‘~하고 가실게요’는 선어말 어미 ‘~시’와 약속형 종결 어미 ‘~ㄹ게’가 함께 쓰인 잘못된 표현입니다.”
내가 알기로 개그콘서트에서 이런 자막이 나오긴 처음이다. 예전에 이 방송의 한 꼭지였던 ‘봉숭아 학당’에서 한참 말장난을 치다 여럿이 함께 외치던 말이 있었다. “개그는 개그일 뿐!”
개그콘서트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언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이 많았어도 대개는 그것을 웃음의 한 요소로 보자는 편이 우세해서 그랬는지 이런 자막을 내보내지는 않았다.
사실 필자가 일하고 있는 한글문화연대에서 8월 중순에 보낸 공문 때문에 이 같은 자막이 나갔다. 그 다음 날 개그콘서트 제작을 책임지고 연출하는 서수민 PD는 어느 인터넷 신문에 “시청자들에게 개그콘서트가 이런 지적들도 받고 있다고 알리고 싶었다. 개그는 다큐나 교양이 아니다. 바른말만 써야 한다면 아나운서들이 개그를 해야 할 것”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어떤 사람은 게시판에 “웃자고 하는 말에 죽자고 덤비는 바보들, 개그는 개그일 뿐”이라며 우리 한글문화연대를 비난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나는 바로 반박하는 논평을 냈고, 수많은 언론에서 이 논평을 다루면서 찬반양론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다.
물론 우리가 세상의 모든 일에 어문 규범이라는 원칙의 잣대를 무조건 들이대지는 않는다. 만일 그럴 것 같았으면 한글문화연대가 13년 동안 활동하면서 개그콘서트에 무엇을 고쳐달라는 공문을 처음 보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서수민 PD 이야기대로 “개그는 다양한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만큼 너무 경직된 시각으로만 보지 않았으면 한다”는 일반론에는 나도 충분히 공감한다. 그래서 내 주변에서 개그콘서트의 말투나 말버릇에 문제가 있다며 우리 한글문화연대가 나서야 하지 않느냐고 이야기해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렸다. 사회의 부조리와 병폐를 비꼬는 데에 어찌 건전한 말만 사용할 수 있겠는가? 아마도 방송이 아니라면 욕까지 허용해도 될 창작의 분야 아니겠는가. 그들의 말 파괴, 유행어 만들기가 결코 나무랄 일은 아니다. 분명 웃음의 한 요소다. 그런데 ‘~하고 가실게요’라는 유행어를 일반 원칙으로만 항변하기에는 사정이 달랐다.

우리말 파괴 심각성 깨달아야
풍자나 해학의 통렬함은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이 무대 위에 오른 상황의 부조리를 어느 정도 알고 있고 그에 대한 분노나 불편함을 지니고 있을 때에 느낄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개그콘서트의 여러 꼭지가 그런 역할을 해내고 있다는 사실을 나는 잘 안다. 우리나라 방송에서 시청률 경쟁 때문에 판치고 있는 이른바 ‘막장 드라마’를 풍자하는 ‘시청률의 제왕’은 재미있으면서도 통쾌하다. 반면 우리가 ‘뿜 엔터테인먼트’의 대사를 지적한 데에는 좀 다른 이유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방송에서 만들어진 유행어는 그저 유행어로 떠돌다 1년이 채 못 가 사라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하고 가실게요, ~하실게요’는 사정이 다르다. ‘~실게요’ 라는 말투는 5~6년 전부터 병원과 한의원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가고 있는 잘못된 말투다. 요즘에는 미용실, 네일샵 등 주로 손님의 움직임을 요구하는 곳으로 퍼지고 있다. 그래도 병원에 가는 환자나 보호자는 그런 말투를 지적하거나 문제를 느낄 여유가 없다. 그래서 매우 강하게 퍼지고 있고, 옳고 그름을 따지는 데에 일반 국민은 어려움을 겪는다.
그렇다면 문제의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서, 이 말투가 무엇이 문제인지를 짚어보자. 어법을 어기고 있기 때문일까? 어법을 어기고 있는 건 사실이다. 상대를 높이는 어미 ‘시’에다가 자기가 어찌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어미 ‘~ㄹ게’를 붙였으니 어법을 어겼다. 그런데 문제를 어법이라는 언어 내부의 규칙으로 좁힌다면 이는 ‘자장면’이냐 ‘짜장면’이냐라는 표기 논란이나 ‘너무’라는 부사를 부정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긍정의 어감으로 사용하는 요즘 말버릇을 탓하는 것과 하나도 다르지 않다고 주장할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이 말투가 우리말이 갖고 있는 하나의 장점인 높임말을 심각하게 파괴하기 때문에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바라보는 시선이 엉킨다는 점이 문제다. 높임말 같지만 잘 따져보면 나의 의지를 상대방에게 불어넣는 식의 이 말투는 상대방을 아무 생각이 없는 로봇같이 여기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사람들이 좀 이상하고 불편하다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단순히 어법 문제만은 아닌 것이다.

외래어, 외계어 남용에 홀대받는 한글
청소년 언어 문제가 나올 때마다 기자들은 줄임말과 이상한 합성어, 욕설 문제를 질문한다. 사실 이런 문제들은 언어 내부의 규칙을 허문다기보다 사회적 소통의 어려움을 부르기 때문에 걱정의 대상으로 떠오른다.
몰컴, 초글링, 트롤짓, 버카충, 문상, 생파, 노방, 학식, 빠바, 베라 등의 말을 바로 알아듣는 어른은 없다. 하지만 나는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다음과 같은 예를 든다.
OECD, WTO, WHO, IMF, ICT, 로스쿨, 멘토링, 마에스터고 등. 물이 위에서 밑으로 흐르듯 말도 위에서 밑으로 흐른다. 청소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과연 청소년의 줄임말은 외계어고 어른들의 줄임말은 정당할까? 은어나 줄임말을 잘 모르는 또래 친구들이 따돌림을 당한다면 영어 능력이나 지식의 격차 때문에 방송 보도와 공문서에 등장하는 숱한 영어 줄임말이나 영어 낱말을 이해할 수 없는 어른은 따돌림을 받고 있는 것이 아니란 말인가?

고유어 활용한 새로운 말 창작 교육은 어떨까?
우리 어른들도 개그콘서트를 개콘이라고 부르고 있다. 개그콘서트를 줄여 부른 말인 ‘개콘’과 학생들이 버스카드 충전을 줄여 ‘버카충’이라고 쓰는 것이 얼마나 차이가 나겠는가?
줄임말이나 이상한 합성어를 많이 만들어내는 요즘의 현상이 우리의 언어 환경을 어찌 바꾸어갈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어른들은 말의 파괴와 창조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외국에서 들어온 말을 그대로 사용한다.
그래도 우리 아이들은 겁이 없는 게 그나마 우리가 미래에 걸 수 있는 희망이 아닐는지. 나는 아이들이 그저 말을 줄이는 데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말을, 그것도 우리 고유어를 활용해 새로운 말을 만들 날도 오지는 않을지 기다려본다. 국어교육에서도 밀려드는 외국어에 맞서서 새롭게 우리말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가르치면 좋겠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