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총(회장 이상호)은 16일 성명서를 내고 도교육청이 11일 제작·게시한 ‘AI 하이러닝 홍보 영상’에 대해 “일부 표현과 구조가 현장 교원이 느끼기에 불편함과 상실감을 줬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례는 교육정책 및 홍보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과 존엄성이 충분히 반영·검토되는 절차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한 사건”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영상은 도교육청이 지난 6월 도입한 AI 서·논술형 평가인 ‘2035 하이러닝’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영상 속에서 교사는 AI가 학생 질문에 답변하는 동안 고개만 끄덕이거나 AI에게 의존하는 사람처럼 묘사됐다. 이에 “교사를 기계의 부속품처럼 묘사하고 교육 본질을 왜곡했다”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됐다. 비판이 계속되자 도교육청은 “취지와 달리 오해를 불러온 장면이 있어 곧바로 비공개 처리했다”며 “영상으로 인해 상처받았을 선생님들께 깊이 사과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영상은 비공개된 상황이다.
경기교총은 “학교는 지식 전달을 넘어 성장·관계·돌봄·배움의 경험이 함께 이뤄지는 공간이며, 이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이해하고 지원하는 존재가 바로 교사”라며 “AI는 미래교육을 위한 중요한 혁신 도구지만, 교사를 대체하거나 비교하는 개념이 아니라 교사의 교육 활동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협력적 도구로써 활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호 회장은 “이번 논란이 비난과 대립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장 목소리가 정책 설계에 반영되는 체계 구축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며 “교육청과 교육공동체, 전문가는 ‘신뢰’라는 기반 위에서 협력적 미래교육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