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봄이면 교직에 뜻을 둔 사범대학생들과 교직과정 이수자들이 고생실습을 위해 현장학교에서 4주간의 교생실습을 하게 된다. 교생실습은 사범교육의 한 과정으로 교육현장에 들어오기 전 교사로서의 자질과 책무성을 높이기 위해 직접 현장교사의 지도를 받는 매우 중요한 실습과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생실습을 받고자 하는 예비교사들이 실습학교를 찾지 못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크게 두 가지 면에서 기인되는데, 이는 다름 아닌 교생실습을 내보내는 대학당국의 ‘방임적 무책임주의’와 학교현장의 ‘배타적 이기주의’이다.
# 실습학교 찾기 힘든 예비교사들 지금의 교생실습은 교생 개인의 인적 네트워크나 여러 현장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의 허락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은 교생실습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미비에서 비롯된 것으로 현재 사범교육 난맥의 한 면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사범계열의 부속 중·고등학교를 가지고 있는 대학의 숫자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현상은 매년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실습을 위한 부속 중·고등학교 있다 해도 배출되는 학생들을 전부 수용하여 실습을 하기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부속 중·고등학교가 있는 경우에는 여건이 양호한 편이지만 그렇지 못한 학교는 협력학교 체제를 구축하여 교생실습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말이 협력학교이지 모양새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내실 있는 교생실습 프로그램으로 연결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황이 이럴진대 대학당국은 언제까지 이 문제를 교생의 개인적 문제로 방치할 것인가. 대학당국도 적극적인 자세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학의 이미지 제고 및 현장학교와의 정교한 협력체계의 구축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 실질적 협력학교체제 구축해야 학교현장은 학교대로 학사일정상의 문제, 지도교사의 지도 승낙, 실습후 산만한 학교분위기 등 어찌 어려움이 없겠는가. 그러나 교생실습 거치지 않고 지금의 교단에서 교수활동을 하고 있는 교사가 어디 있단 말인가.
교생들은 교육현장을 이어갈 예비교사들로서 유능한 선배 교사들의 현장실습 지도를 받음으로써 더욱 능력 있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된다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은 여전히 교생실습에 대해 배타적인 학교이기주의를 거둬들이지 못하고 있다. 이를 두고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고 하였던가. 글머리에 밝혔듯이 실습학교를 찾아 방황했던 예비교사의 모습이 과거 우리 모두의 모습이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학교현장의 우호적인 발상의 전환을 기대하며 하루속히 교직을 열망하는 유능한 예비교사들이 마음 놓고 교생실습에 임할 수 있는 교육당국의 뒷받침을 촉구한다. 올해도 어김없이 새로운 신학기가 돌아올 것이며 이에 따라 교생들이 실습학교를 찾아 떠나는 방랑의 여정이 시작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