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에서 체육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학교운동장은 학생들이 뛰기에 부적절하게 작아졌으며, 체력장이 대입 수능과 고입시험에서 사라진 후, 각 학교에서 체육교육은 유명무실화되어 뛰어도 그만, 안 뛰어도 그만인 실정이다. 체격은 커졌지만 체력은 해가 갈수록 약해져 가고 있다.
체육수업 시간만이라도 열심히 운동을 한다면 체중을 적당하게 유지하고 비만 예방에 도움이 된다. 높은 칼로리 섭취도 문제이지만 하루에 움직이는 운동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에 비만이 늘고 있는 것이다.
2000년부터 시행된 7차 교육과정에서 학교 체육과목의 수업시간이 중3과 고1은 주당 3시간에서 2시간으로 축소되었으며, 고 2,3학년은 아예 선택과목으로 바뀌었다. 교육부 조사에 의하면 고3 남학생의 31%, 여학생의 41%가 체육수업을 전혀 받지 않으며, 방과 후 체육활동에서도 95% 이상이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은 방과 후 활동으로 지역클럽과 연계한 스포츠활동으로 운동량을 늘리는데 우리는 다른 교과와의 형평성 원리에 따라 체육수업이 줄어든 것이다.
서울시교육청이 밝힌 지난해 신체검사 결과에서도 초·중·고 학생 15만7218명 중에 비만인 학생은 10.91%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대비 비만학생 비율은 고교생이 15.4%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생(9.64%)과 중학생(9.10%)도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고교생의 고도비만율은 1.85%로 중학생(1.06%)과 초등학생(0.85%)을 크게 웃돌았다. 초·중·고 고도비만 학생비율은 2000년 0.79%, 2001년 0.85%, 2002년 1.15%, 2003년 1.16% 등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비만 청소년 10명중 8명꼴로 고지혈증과 간 기능 이상, 혈당 이상 등의 각종 성인병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각급 학생을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실시한 결과 당, 단백, 잠혈(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세) 양성을 보인 초, 중, 고교생도 0.86%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비만 청소년이 특정 질환에 걸릴 위험도는 정상 학생보다 최고 13배나 높게 나타나 청소년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그런데 청소년 비만은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 보건기구(WHO)에서도 전 세계에 빠르게 퍼지고 있어 유행병으로 규정할 만큼 심각하다고 하였다.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P)와 국립 건강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200만명 가량이 비만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당뇨병 전조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최근 들어서는 10대들에게도 성인당뇨 증세인 제1형 당뇨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하였다.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규칙적인 운동만큼 좋은 것이 없다. 방과 후 운동시간이 없다면 체육시간을 늘려서라도 학생들이 최소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 국·영·수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비만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도 깨달았으면 한다. 물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은 없겠지만 체육은 국민건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타 과목에 비해 매우 크다. 현재와 같은 체육교육 정책 속에서 학생들은 최소한의 운동량을 보장받지 못해 기초체력은 떨어지고 비만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체력장을 부활시켜 청소년들에게 운동량을 확보해주고 건강한 육체가 청소년기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우쳐줘야 한다. 미래를 짊어지고 갈 청소년들이 신체를 고르게 발달시켜 기초 체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