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사위’란 민속무에서 춤의 기본이 되는 낱낱의 일정한 동작을 가리키는 말이다. 춤을 빼고 그냥 ‘사위’라고 하거나 ‘춤 동작’이라고 해도 의미가 통한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보면 “그녀는 일찍부터 보성, 고흥 일대를 발판으로 삼고 있는, 가락 좋고 춤사위 좋기로 그 이름을 떨친 당골네였다”는 문장이 나온다.
민속무용에서 쓰이는 다양한 춤사위들을 한번 알아보자. 디딤새는 살풀이춤에서 ‘발을 디디는 동작’을 뜻하고, 돋음새는 살풀이춤에서 ‘발뒤꿈치를 들고 발끝에 힘을 주어 몸을 솟구치면서 움직이는 춤사위’를 가리킨다.
맴체는 역시 살풀이춤에서 ‘다소곳이 한 바퀴 도는 춤 동작’을 가리킨다. 이외에도 절룩거리며 걷는 모양을 뜻하는 깡깡체, 학처럼 한발로 서있는 동작을 일컫는 학체, 갈 말 듯한 동작을 뜻하는 어르기 등이 모두 우리의 전통 춤사위이다.
무속 춤에 속하는 살풀이, 씻김굿 속에는 자신과 가족,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우리’라는 의미가 잘 녹아있다고 한다. 우리의 춤을 한국무용이 아니라 ‘우리 춤’으로 부른다면 그 뜻이 더욱 새롭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