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의 소리> 예술교육, 때 놓치면 안 된다

21세기 초, 국제사회는 현대문명에 걸맞은 새로운 교육의 틀을 갖추고 질 높은 삶의 구조와 질서를 구축하고자 힘쓰고 있다. 그런데 우리 교육 현실은 어떠한가. 학교 교육의 이상은 혼돈 상태에 빠져 있고 그 속에서 방황하는 청소년들에게는 지식 쌓기만을 강요하고 있지 않는가.

청소년들은 오늘날 홍익인간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개인이 되고 있으며, 단편 지식만 가득한 머리와 싸늘한 가슴을 가진 불균형, 부조화의 개인이 되어 가고 있다. 학교와 사회는 현실적, 단기적 목표에만 매달려 있다. 이상과 내면, 사고를 외면하고 현실적 요구와 지식, 행위에만 집착해 있는 동안 교육의 근본은 소멸되었고 교육으로 인간을 바로 세우고 가꾸는 일은 불가능해진 것이다. 그러한 교육은 결국 인간정신을 쇠락하게 하며 허망한 욕심을 쫓는 사회를 만든다. 지금은 ‘조화로운 인간, 행복한 삶을 향한 교육’을 추구해야 할 때이다.

모든 나라는 예로부터 전인교육적인 가치 때문에 예술을 기본교과로 삼아 왔다. 그것은 음악과 미술이 사람에게 바른 품성을 갖게 하고, 인식력과 이해력을 높이고, 심미성과 창의력을 강화하는 교과이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하고 질 높은 예술경험은 내면의 평화와 정서적 만족감, 고귀한 정신 고양에 근간이 되는 것이다. 예술이 민족 전통을 보전하는 길이 되며 시대간·세대간의 문화적 소통과 지역간·국가간의 문화적 이해에 유용한 방편이 된다는 것도 물론 중요한 까닭이 된다.

특히 상상력과 창의력, 심미성과 휴머니즘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문화시대, 감성경쟁시대에 우리의 교육이 주력해야 할 일은 문학, 음악, 미술 등 예술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심미성과 창의력을 극대화하는 일이다. 심미성과 창의력은 우리 민족 최대의 강점이 아닌가.

최근 일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 즉 고교 2, 3학년의 예술교과 선택여지 확대에 관한 논란은 현실적인 요구와 단기적인 결과만을 생각하는, 힘 있고 욕심 많은 일부 학부모들의 불만에서 비롯되었고 일부 언론이 그에 동조함으로써 확대된 것이다. 여기에 밀려 예술교육이 회복되지 못한다면 지식 중심의 ‘학원화’가 우려되는 고등학교 교육을 인성 및 창의성 교육으로 정상화하려는 교육부의 의지는 물거품이 될 것이다. 학교는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는 지식인을 양산하는 잘못된 교육을 계속하게 될 것이며, 결국 전인교육에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고등학교 2, 3학년은 예술경험을 통해 정서와 정신의 고양, 뜨거운 휴머니즘과 깊은 통찰력을 갖추어야 하는 시기이다. 입시과목들만 중요하게 여기는 고등학교를 거쳐 일류 대학에 진학하고 출세를 하면 행복해질 것이라고 믿는다면 크나큰 착각이다. 이때를 놓치면 그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공허한 가슴을 채우지 못해 방황하게 될 지도 모른다.

자녀가 큰 머리의 불행한 지식인이 되기를 바라는가, 따뜻한 가슴의 행복한 지성인이 되기를 원하는가. 조화로운 인간, 행복한 삶을 향해 가르치는 사회, 교육정책의 수립과 수행을 교육자에게 맡기는 국가가 되기를 간절히 희망하는 바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