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능력 44%→ 72%로 향상
공감‧협동‧자기통제 등 사회성 변화“요즘 대부분의 학생들이 아이들이 내면에 분노를 가지고 있는데 아이들은 화가 나면 다른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잘 몰랐습니다. 친구들과의 친밀감도 예전보다 부족해 배척아, 고립아가 나타나는 등 학교 문제의 대부분이 아이들이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는 데서 시작되더라고요. 학생들이 자신의 분노를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싶었습니다.”
나숙임 인천백학초 교사(44·
사진·생활지도 분과)는 학교폭력 등으로 점차 삭막해지는 학교현장에서 아이들을 실질적으로 도울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 학생들의 ‘감정’에 주목했다. 때마침 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하며 배우게 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그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선진국에서는 ‘Anger management(분노관리)’라는 이름으로 일반화돼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상담기관이나 대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분노조절 훈련프로그램을 초등 한 학급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40분 단위로 만들었다. 학년발달단계에 맞춰서 ‘시작-분노인식-분노조절방법학습-실천적 적용 및 점검’의 4단계로 훈련프로그램을 구안하고, 반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주1회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해 집단상담 형태의 분노조절프로그램(총 18회기)을 실시했다.
또 친구들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친구사랑 표현마당’,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긴장을 이완하며 스트레스해소에 도움을 주는 ‘식물사랑 배움마당’, 사회기술능력 향상과 공동체의식을 기르는 ‘어울림마당’ 등 별도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적용했다.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는 놀라웠다. 학생들의 분노조절능력 향상도가 연구 전 43.7%에서 72.0%로 28.3% 향상됐기 때문이다. 분노 인식능력, 분노 표현행동도 모두 향상됐다. 학생들의 분노 조절력이 높아짐에 따라 ‘공감’(연구 전 21.3%→연구 후 53.6%), ‘협동’(37.5%→47.9%), ‘자기통제(6.3→54.2)’ 등 사회기술능력도 변화됐다. 또래 관계가 좋아지면서 교실의 상황도 달라졌다. 배척아가 25%에서 4.1%로 크게 줄었고, 고립아가 8.4%에서 4.1(1명)%로 줄었다. 학생들의 달라진 태도는 학부모들이 먼저 느꼈다. 교원능력평가 학부모 설문 참여도가 95.7%에 이르는 등 깊은 관심을 보였다.
나 교사는 “단순히 반 학생들을 도우려고 시작한 일로 이렇게 큰 상을 받게 될 줄 몰랐다”며 “앞으로도 분노조절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초등뿐 아니라 중·고에도 적용할 프로그램이 마련돼 더 많은 학생들이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고 행복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