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의 어려움은 그 대상이 많을 때 더 가중된다. 특히 어느 공공기관의 장을 뽑을 때 후보군이 많게 되면 유권자는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하물며 126만 명이 넘는 학생교육을 책임지는 서울교육감의 자리에 ‘누굴 뽑을까?’라고 생각해보면 이런 고민은 클 수밖에 없다.
후보등록 마감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우려되는 것은 일반 유권자는 물론 교육계 내에서조차 서울교육감 선거에 나설 후보의 면면을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가장 큰 이유는 자천타천 거론되는 후보들이 너무 많다는 데 있다. 우파와 좌파, 중도 성향이라고 분류되는 후보들만 20명에 가깝다. 최근 잇따라 선거출마가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계에서조차 이름을 모르거나 생소한 인사도 있다. 이렇다 보니 유권자들이 후보의 인물, 공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투표장에 가는 이른 바 ‘깜깜이 선거’가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후죽순 같은 후보 난립은 유권자들의 후보 선택에 어려움을 줘 탈정치를 실현하고 교육본질을 지켜낼 훌륭한 교육감이 선출하는데 장애로 작용할 것이다. 이런 지적에 따라 우파와 좌파진영 공히 후보단일화 기구를 만들어 나름대로 검증절차를 통해 적합한 후보를 뽑는데 매진하고 있다.
지난 24일, 유·초·중등·대학 교육계 원로회의와 우파성향의 ‘좋은교육감추대시민회의’가 통합연대를 선언하고 좌파성향의 ‘서울교육감 추대위원회’가 후보 선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그 예일 것이다.
거론되는 많은 후보들은 서울시민의 선택에 앞서 교육계의 검증절차를 우선적으로 받는 것이 우선이라고 본다. ‘내가 가장 적합한 후보’라고 스스로 우기거나 판단하겠지만 냉엄한 교육계와 서울시민이 선택해주지 않으면 본인은 패가망신하고, 교육계는 교육계대로 낭패를 보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독불장군식으로 이름 알리기를 위한 출마선언과 후보등록이 본인은 물론 교육계 전체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재삼 강조하게 된다.
출마를 고민하는 예비후보들은 후보단일화 과정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당연한 시대정신이며 교육계의 큰 요구사항임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후보단일화 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고 단일화에 참여하는 후보들이 결과에 승복하는 아름다운 모습이 나타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