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2.3℃
  • 구름많음강릉 10.6℃
  • 천둥번개서울 12.8℃
  • 흐림대전 23.0℃
  • 구름많음대구 23.1℃
  • 구름많음울산 20.9℃
  • 흐림광주 20.7℃
  • 흐림부산 18.3℃
  • 구름많음고창 20.3℃
  • 흐림제주 21.7℃
  • 구름많음강화 10.9℃
  • 흐림보은 22.4℃
  • 흐림금산 22.6℃
  • 흐림강진군 20.0℃
  • 구름많음경주시 24.1℃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한국어라는 배의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 남영신의 <나의 한국어 바로 쓰기 노트>를 보며

예전에 어느 책에선가 이런 글을 본 적이 있었다. 세계 유수의 언어학자들이 모여 여태까지 지구상에 나타난 언어 중에서 가장 조직적인 언어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모든 언어학자들이 '러시아어'를 1위로 꼽고 한글을 2위로 꼽았다고 한다.

또 다른 해인가, 역시 똑같은 주제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했는데 이번에는 영어가 1위였고, 한글이 또 2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결국 한글이 가장 조직적이고 과학적인 언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는 이야기라고 그 책에서는 결론을 내렸다. 참 맞는 말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인 언어는 분명히 한글임에 틀림없다.

"언어란 강을 건너 피안에 도달할 수 있는 배이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님이 설파한 말씀이다. 가슴에 폭폭 와 닿는 소중한 말이다. 그리고 과연 내가 이 한글을 제대로 잘 쓰고 있는 가하는 반성을 불러일으키는 귀한 말이다.




<나의 한국어 바로 쓰기 노트>의 저자인 남영신씨는 그 이력이 자못 특이한 분이다. 국어에 관계된 여러 저서를 펴낸 분이기도 하고, 우리말 사전 편찬에도 관계하신 분이지만 정작 대학에서는 법률을 전공하신 분이었다. 가만 생각해보니 이 분의 전공인 법률과 한글이 그 과학성과 논리적인 측면에서 무척 닮은 구석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법률을 전공한 저자가 한글사랑에 쉽사리 뛰어들지 않았을까?

먼저 저자는 머리말에서 책을 쓰게 된 동기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 즉, 한국인이 타고 항해하는 한국어라는 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점검하여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한국인의 모든 배가 최고의 성능을 갖추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지어진 책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어라는 배의 성능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서 몇 가지 부분을 세밀하게 점검하였다고 이야기한다.

특히 저자가 가장 주안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은 조사의 올바른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이 가장 흔하게 쓰는 '은(는)'과 '이(가)'의 의미를 구별하여 정확하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에'와 '에서'의 용법과 또 흔히 잘 쓰는 '고'와 '-며'에 대해서도 면밀한 분석을 하고 있다.

그리고 문장 성분의 '호응관계'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실례를 들어 분석하는 방법이 무척 날카롭게 느껴진다. 특히 모 방송국의 책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실례로 들면서 출연자들의 잘못된 어법을 지적하는 모습은 다소 냉소적이기도 하다.

심지어 저자는 한국 현대 소설의 최대 성과라고 하는 '토지'에서도 잘못된 용법이 많다는 것을 서슴없이 지적한다. 박경리라는 거대한 언어의 산등성이를 그는 올바른 국어사용이라는 곡괭이로 거침없이 파 들어가는 것이다. 그 거침없는 파고듦에는 김윤식이라는 문학평론가도, 신경숙이라는 소설가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기자는 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우리나라 말이 정말 어려우며, 아무리 문장공부를 많이 하고 실습을 오래 한 사람이라도 한두 가지 실수는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어쩌면 내가 지금 이 책을 평하는 이 언어조차 그의 시각에서 보자면 한없는 실수투성이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참 두렵다.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국어를 혹사시켰는지 이제 조금 알게 되었다. 그리고 아직도 너무 멀었다는 생각만이 머리 속을 맴돈다.

그리고 이 책은 아주 조직적으로 쓰여 진 책이라는 인상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는 훌륭한 책이다. 저자는 다양한 저작물에서 지문을 발췌하여 먼저 독자로 하여금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판단할 기회를 준다. 그리고 친절한 설명으로 독자를 이끈 후, 바로 연습문제를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쉴 새 없이 사고하게 만든다.

하나 하나의 연습 문제와 곧 이어 제시된 답을 보면서 독자는 쉽고도 명쾌하게 저자가 지적하는 국어 사용상의 여러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점차 한국어라는 고성능의 배가 지닌 파워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배가 앞으로 나아갈수록 독자는 지식의 기쁨이라는 '법열'의 세계에 빠져드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책을 보면 우리 문단사의 숨겨진 에피소드를 읽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유명한 김동리 선생과 이어령 선생의 '은유와 비문에 얽힌 험악한 논쟁'이나 선배 문인들에게 절대로 존댓말을 하지 않았던 김관식 시인의 이야기는 은근한 재미를 선사하기도 한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든, 취미생활로 하는 사람이든,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한글을 사용하여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싶은 이는 한 번쯤 볼 만한 책이라 생각하여 짧은 문장력으로 소개해보았다. 아마 내가 쓴 이 글도 저자가 분석하면 누더기가 되고 말겠지만.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