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 학습, ‘물느마’ 학습 나 같은 ‘돌팔이’도 동분서주하면서 돌아다니다 보니 마침내 서당 개가 풍월을 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성교육에 대해 온갖 자료와 서적을 뒤적이며 나름대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성교육은 학문(學文)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學問)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고 지식 중심에서 의식 중심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이르게 되었다.
전자는 지도자 중심이고 후자는 학습자 중심이다. 지도자 중심은 지도자가 절대권자이다. 그의 말 한마디로 끝난다. 지엄하신 어명(御命) 앞에서 학습자의 생각이나 의문은 필요 없고 더군다나 반론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 경우, 누군가 학습자에게 “왜 자기 몸이 소중하다고 생각하느냐”라고 묻는다면 그는 주저하지 않고 “교과서에 답이 있다(?)”고 할 것이다. 또 “화장실에 갈 때에는 두세 사람이 짝지어 함께 가야한다”고 생각하는 아이에게 “왜 그렇지?”하고 묻는다면 “우리 선생님께서 그렇게 하라고 하셨어요”하고 답변할 정도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지도자 중심을 ‘마침표(.) 학습’이라 하고 학습자 중심을 ‘물느마’(물음표, 느낌표, 마침표의 줄임말) 학습’이라고 했다. 전자는 빠르고 간단한 반면에 후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때로는 짜증이 나거나 정서적 불안감을 동반하기도 한다. 전자는 단번에 끝나고 후자는 여러 번 설왕설래해야 하기 때문이다. 후자는 이해가 가지 않거나 의문이 생기면 주저 없이 묻고, 그래도 납득이 되지 않으면 또 묻고,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다시 물어서, 마침내 ‘아 그렇구나!’하고 손뼉을 치며 깨달은 바대로 학습을 마치는 과정이다.
모든 학습이 후자 학습이 되어야 하겠지만 특히 성의식, 성태도, 성가치의 변화를 요하는 성교육은 반드시 ‘묻고 → 느끼고(깨닫고) → 마치는’, 물느마 학습 과정을 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의식의 변화는 지식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