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각양각색의 지식과 정보가 홍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정보는 대부분 미디어에 실려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는 현대 사회인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능의 하나가 되고 있다.
TV 리터러시 조기교육 필요성 텔레비전은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학생들의 생활 주변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어려서부터 방송 내용을 바르게 읽고(파악), 생활 속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쓰는(선별 적용) 능력을 길러주는 것은 생활교육의 기초 활동과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주체적 문화 수용이라는 교육 원리로서 무엇보다도 중시되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TV 리터러시 목적과 영역 텔레비전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내용은 물론 제작 의도 및 기법까지 파악하고, 나아가 자신의 경험(지식과 가치)과 관련지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나름대로의 의미를 찾아내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점에서 리터러시 영역은 대체적으로 TV를 이해하고 역기능과 부정적 영향을 비판할 수 있는 안목과 매체의 특성과 프로그램 형태를 파악하는 것, 제작·송출에 관한 지식을 갖는 것, 예술적 요소 이해와 감상 능력을 갖는 것, 이용목적 파악과 활용 능력을 갖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V 시청능력의 유형 수용적 시청능력 영상이 나타내고 있는 사상을 아무런 비판 없이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능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등장인물이나 사건의 시각정보(사상), 시각정보에 음성정보가 가해져 초점화 되어가는 정보(의미나 지식), 프로그램 전체 구성의 진행 즉 순차적으로 영상화되어 떠오르거나 흐름으로 표현되어지는 정보(스토리성)의 범위에서 그 내용을 회상할 수 있다. 그런데 수용적 시청능력은 그중 일부분이거나 몇 개 장면을 파악하는 초기 단계로서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구조성이나 이미지성을 그대로 살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텔레비전과 시청자는 자연스럽게 ‘주와 종’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어 주로 프로그램 내용을 기억하고 재생하는 활동을 강화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