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연구실에는 국어교육을 공부하는 현장 선생님들의 스터디 모임이 열흘에 한 번 꼴로 있다.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거나 또는 대학원을 마친 분들도 있다. 대개는 경력 5~15년차의 선생님들이다. 세월 따라 구성원들은 더러 바뀌기도 하지만, 이 모임 자체는 15년 넘게 유지되어 왔다. 공부 모임이라고는 하지만 대단한 것은 아니다. 관심 분야의 책을 함께 읽고, 그것과 자신의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의미를 재발견하면서, 그들 자신의 글쓰기를 시도해 보는 정도이다. 지난 몇 년 간은 ‘스토리텔링과 수업’에 대한 것을 함께 공부하였고, 올 한 해는 ‘감동과 교육’에 대한 것을 함께 공부하고 있다. 그 바쁜 일과를 쪼개어 퇴근 뒤에 모여 어둠이 짙도록 열중하는 모습들이 미덥고 또 아름답다. 그런데 스터디 공부도 공부지만, 공부 뒤에 함께 늦은 식사를 하며 가지는 꾸밈없는 대화들이 더 유익할 때가 많다. 교사의 실존과 아픔을 발견하고 확인한다고나 할까. 나는 내 조부와 선친이 모두 교직에 일생을 몸담았고, 그 밑에서 자란 나 또한 교육자로 일생을 살아가는 셈이어서 나에게는 교사로서의 삶과 문화의 원형 같은 것이 어딘가에 배어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모임에서는 그분들이 내게 배워가는 것보다, 오히려 내가 배우는 교육 현장이 더 많을 지도 모르겠다. 현장 선생님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듣게 되는 근자의 주된 화제는 주로 ‘선생님 하기의 두려움’ 또는 ‘선생님 하기의 억울함’, ‘선생님 하기의 굴욕’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야기를 듣는 나는 어둡고 낭패스러운 마음으로 우리 사회가 ‘선생님의 위기’를 향하여 가고 있음을 예감한다. 선생님의 위기는 말할 것도 없이 ‘교육의 위기’를 불러 올 것이다. 선생님들이 느끼는 두려움과 억울함과 굴욕의 원천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학부모로부터 당한 공격과 상처가 가장 심각하다. 물론 그 이전에 그 학부모의 자녀인 학생으로부터 이미 일차적 수모를 당한 것이 다시 학부모로부터의 수모로 연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직접 겪지는 않더라도 그런 장면을 목도하는 것만으로도 다리에 힘이 풀리더라는 선생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