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임꺽정>이나 <장길산> 같은 문학 작품을 학생들에게 읽도록 권장하고 싶다. 욕설언어에 대한 총체적 인식력을 기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렇게 습득한 욕설이나 막말은 내 안에서 제압되고 극복된다. 그뿐이랴. 일종의 지적 만족감까지 수반하게 한다. 이런 아이들은 욕설과 막말을 상당히 잘 알고 있으면서도 막상 사용은 하지 않는다. 욕설지도를 하려는 선생님이라면 필수적으로 이 작품을 독파할 것을 권한다. 욕설 지도와 관련해서 아주 신통방통한 자신감이랄까 은근한 내공이 생긴다.
1. 좀 엉뚱한 질문을 해 보자. 평판과 가치가 널리 알려진 한국 소설 중에 막말과 욕설이 푸짐하게 나오는 작품을 들라고 한다면 어떤 작품이 떠오르는가. 더구나 그것이 한국문학사에 한 봉우리를 이루는 작품이라면 무엇을 들겠는가. 나는 그 분야에서 홍명희의 <임꺽정>과 황석영의 <장길산> 만한 작품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내가 낡은 파본의 <임꺽정>을 제대로 본 것은 1960년대 중반 고등학교 때 학교도서관에서였다. <장길산>은 20대 초반 군대를 막 제대하고 중학교 교사를 하던 때 봤다. 나는 이 작품들 속에 나오는 무지막지한 욕의 언어들에 거의 압살되는 느낌이었다. <임꺽정>을 읽을 때는 어리기도 했지만, 세상에 욕이 그렇게 다양하고 푸짐한지 처음 알았다. 계급의 세계에 눈뜬다는 것이 욕설에 눈뜨는 것과 같은 것인가 하는 생각도 했던 것 같다. 그것은 충격이기도 했다. <장길산>을 읽을 때도 놀라움은 마찬가지였다. 이들 두 작품은 우리의 근대가 발아되는 바로 그 시대를 의미 있게 잘 형상화한 작품으로 작가의 세계관이나 개성적 언어 구사 등이 연구자들이나 평단의 높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소설의 주제는 물론이려니와 소설의 서사성도 뛰어나서, 긴 장편 대하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읽는 동안 책에서 손을 놓지 못할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다. 욕 읽는 재미가 아주 없지도 않았지만, 물론 욕설 때문에 재미있었다는 뜻은 아니다. 그만큼 문학작품으로서의 예술적 완성도가 높았던 데서 오는 재미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들 소설 작품은 뒤에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대중 텔레비전 매체가 이들을 드라마로 만들려고 한 것은, 이들 작품에 대한 세간의 인식과 평가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임꺽정>이나 <장길산>이 공중파 방송의 드라마로 만들어지면서 원작에 있던 그 푸짐하여 징그럽고, 거칠어서 질박하던 욕설들은 대부분 살아나지 못했다. 그것이 아쉬웠다고 하면 어떻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렇게 느꼈다. 관심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드라마가 원작에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누군가 물을 것이다. 드라마가 원작 반영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원작에 구사된 언어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서 원작의 그 푸짐한 욕설들을 그대로 재현해 대사를 만들면 되지 않느냐? 왜 그렇게 못하느냐? 이론적으로는 맞는 말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렇게 되기는 어렵다. 이유는 이렇다. 작품에 구사된 욕설의 리얼리티는 문자 텍스트일 때는 보전과 소통이 가능하지만, 무작위의 불특정 다수 모든 연령의 국민들에게 생생한 욕설이 음성 언어 그대로 공개 전파되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 부작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작품의 가치가 대단하다 해도 욕설 대사를 구체적 영상과 구체적 음성으로 공중파 방송이 내는 것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작품 콘텐츠를 어떤 매체로 전하느냐 하는 것은 작품 본질과는 별개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