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의무적으로 봉사활동이 도입된 것은 1995년.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지금 봉사활동은 한층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초창기 형식적으로 시간과 점수 때우기에 급급해 하던 학생들이 이제는 자발적으로 태안원전유출지역이나 강원도 폭설현장, 태풍피해지역 등으로 떠나고 있다. ‘스펙’을 떠나 진심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크고 작은 실천들은 습관이 되고 생활이 될 것이다. ‘나눔의 정신’이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닌 평범한 일상이 되는 것, 이것이 바로 ‘충남학생봉사활동 교육연구회(이하 연구회)’가 꿈꾸는 세상이다.
'봉사활동'은 최고의 인성교육
하지만 아쉽게도 학교현장은 ‘나눔의 정신’에 인색하다. 지금도 우리나라 학생들 대다수는 적당히 할당된 봉사시간을 때운다. 일선 현장 교사들도 그러면 안 된다는 것을 알지만 그저 뾰족한 방법이 없어 묵인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순식 연구회 회장(충남예술고등학교 교장)은 “봉사활동 업무는 여러 가지로 골치가 아프죠. 그러다보니 초임교사나 기간제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요. 매년 담당자가 달라지다보니 노하우가 없어서 형식적으로 흘러가는거죠”라며 “사회는 ‘나눔과 실천’을 향해 변화하는데 학교는 아직까지도 형식적인 봉사활동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안타까워했다.
“봉사활동을 통해서 가슴 벅참을 느껴본 학생들은 절대로 형식적인 봉사활동을 하지 않아요. 어쭙잖은 인성교육프로그램보다 제대로 된 봉사활동 한번 하는 게 훨씬 낫죠”라고 입을 모으는 연구회 선생님들은 “아이들보고 ‘너희들이 찾아서 해라’라고 할 수만은 없잖아요. 학교가 연결고리가 되어주고, 터전이 되어주어야죠.”
학생과 교사를 한뼘 더 성장시키는 '나눔 정신'봉사활동이 활성화되고 학생들의 삶까지 영향을 주기위해서는 ‘교사’들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 연구회의 설립취지이다. 때문에 연구회는 직접 학생들과 함께하는 봉사활동은 물론 ‘봉사활동 길라잡이’ 발간, ‘학생봉사활동정보안내센터’ 홈페이지 운영, 도내 봉사활동 담당자 협의회 개최, ‘찾아가는 봉사활동 컨설팅’ 사업 등 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다.
충남학생봉사활동 교육연구회는 올해로 13년째이다. 학생들의 형식적인 봉사활동이 언론의 뭇매를 한창 맞던 2001년, 제대로 된 학생봉사활동을 한 번 해보자며 충남지역 선생님들이 의기투합한 것이 시작이었다. “봉사활동은 아이들을 성장시키죠. 처음엔 시큰둥하게 시작했던 녀석들도 뭔가 모를 찌릿찌릿함을 느끼면 확실히 달라져요. 그런 녀석들을 보면서 제 자신도 달라지더라구요.” 연구회 활동을 하면서 아이들보다 자신들이 더 성숙해진 것 같다는 연구회 선생님들은 주변 교사들과 행정당국의 무관심을 극복할 수 있었던 힘도 바로 봉사활동이 주는 ‘성장에 대한 믿음’이었다고 강조한다.
이제는 전국 어디에 내놔도 뒤지지 않는 봉사활동 노하우와 탄탄한 조직을 갖추게 되었지만 연구회는 여러 번의 아픔을 겪었다. “말도 마세요. 늘 예산이 부족했죠. 어떤 해는 아예 없어진 적도 있어요. 한두 명씩 떠나갔지만 이렇게 10여년 넘게 조직을 꾸려나갈 수 있었던 것은 ‘나눔’에 대한 신념 때문 아니겠어요? 올해는 담당 장학사가 우리들의 취지를 좋게 봐주고 예산을 확보해 준 덕분에 힘이 납니다.”라며 연구회 선생님들은 임광섭 충남교육청 장학사를 향해 엄지손가락을 올려보였다.
국제구호활동으로 유명한 한비야 씨는 “자기가 가진 불씨를 나누어 준다고 해서 불꽃이 줄어들지는 않는다”라며 ‘나눔’을 강조했다. 충남학생봉사활동 교육연구회 선생님들 역시 10여년의 자신들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국 각지의 교사들에게 나누어 주고 싶노라며 환하게 웃었다. 선생님들의 불씨가 전국에서 활활 타오르기를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