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와 과학교사 중에서 누가 더 학생에게 과학을 잘 가르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과학교사의 ‘승’이다. 과학 교사는 학생에게 ‘과학(내용, CK)을 가르치는 방법(교수법, PK)에 대한 전문적 지식’ 즉 과학 PCK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번 달에는 ‘과학과 PCK 요소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을 관찰 분석’하는 전략을 소개한다.
과학자는 과학적 지식은 많지만 과학 교사보다 과학을 더 잘 가르치는 못한다. 왜냐하면 과학자에게는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전문적 지식(교수법, PK)’이 없기 때문이다. PCK란 ‘내용/교수/지식’으로 번역되며 교과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이미 1986년부터 교직의 전문성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Shulman(1986)이 교직의 전문성을 주장하면서 PCK 이론을 제안했다. PCK 요소는 표현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내용에 관한 지식, 교수법 지식, 평가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제 PCK 요소를 기반으로 한 5월의 수업전략을 살펴보자.
▣ 동료장학, 학부모 공개수업은 이렇게 4월과 5월은 공개수업이 많은 달이다. 이때 ‘PCK 기반 수업전략’은 요긴하게 활용된다. 또한 자신의 수업장면을 동영상으로 찍어서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피드백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보다 성공적인 공개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공개수업 전략을 소개한다.
전략 1 _ 지적 희열을 느끼게 하는 동기유발 전략을 사용한다. 학생들의 인지과정과 오감을 자극하는 교수기법, 예를 들어 상호소통하는 대화 활용 동기유발, 놀이를 통한 동기유발, 다양한 매체를 통한 동기유발 등을 활용한다.
전략 2 _ 수업의 첫 단추인 발문은 중하위권 수준으로 한다. 모든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수업을 위해서는 ‘상’수준의 발문을 피해야한다. 또한 교사가 묻고 답하거나, 1문 1답 형식의 발문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교사 탐문(질문 뒤에 나오는 질문), 힌트주기, 칭찬, 격려, 인정, 경험발표를 통한 발문을 적극 활용한다.
전략 3 _ 학생 눈높이에 맞게 마중물 대화를 활용하는 수업을 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맞장구치기 - 적극적 유형 : ‘좋았어, 그래, 잘했어, 적극적으로 고개를 끄덕이기’ 등 - 중도적 유형 : ‘으-음, 아-아, 어-어, 눈짓’ 등 ▶ 실마리 제공하기 - 학생들의 오답이나 부분정답을 정답에 대한 실마리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참여 유도 ▶ 격려하기 - ‘~하니까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군, 그런 점도 있지...’ 등 부정확한 답변이나 오답을 제시한 학생에게 사용 ▶ 기다리기 - 발문 후 충분히 생각하고 답을 하도록 시간적 여유 주기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