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를 강조하는 속도 이데올로기는 삶의 질을 망가뜨릴 수 있다. 하루 종일 종종거리며 너나없이 빠르게 달려가는 동안 우리는 소중한 관계로부터 멀어진다. ‘엄마’를 찾는 아이들에게 ‘잠깐만’을 외치며, 자신의 행복도 잠시 유예하고, 친구들과의 만남도 뒤로 미룬다. 돈을 벌기 위해서 바쁘게 쫓기듯 살아야 하고, 돈을 쓰는 데에도 바쁘다. 돈이 있어도 바쁘고, 돈이 없으면 더욱 슬프게 바쁘다. 돈이야말로 사람들을 느리게 살도록 놓아두지 않는다. 좀 느리게 가면서 의미 있게 관계 맺자. 좀 느리게 살면서 진실로 풍성하게 인생을 발견하자.
속기(俗氣)가 넘치는 유치한 여행을 말해 보라면 어떤 것이 있을까. 명품 쇼핑에 눈먼 여행이 우선 떠오른다. 돈 자랑의 욕망이 허영의 깃발을 드높이는 여행이다. 유흥 중심으로 가는 여행도 천박하기로는 금메달감이다. 진정한 견문은 안중에도 없고 쾌락의 욕구를 은폐하는 수단으로 여행이 존재하는 격이다. 이런 여행을 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일종의 욕구 장애를 가진 사람이라 할 수밖에 없다. 또 이런 여행을 조장하는 사회 문화적 풍토가 있다면 그 사회는 병든 사회라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평범하고 정상적인 사람들의 여행 취향에도 속된 기운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여행 과시욕이다. 남 안 가 본 곳을 나만 가보았다는 식의 자랑이 흔하다. 나 이번에 어디어디 다녀왔고, 작년 해외여행에서는 또 어디어디 많이 가 보았고, 내년에는 또 어디어디 수많은 곳을 가 볼 것이라고 자랑하는 사람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이것은 여행의 내공이 전혀 쌓이지 않은 사람들이 범하는 유치함이다. 이런 욕구가 지나치면 여행의 본질을 놓칠 수 있다. 그것도 한꺼번에 여러 행선지를 되도록 많이 끼워 넣고서는 ‘견문의 허세’를 부리는 것이다. 비행기 타고 나라 밖 나가는 일이 국민 일반에게 허용되지 않던 시절에 가지고 있던 외국 여행 못해 본 것에 대한 열등의식을 우리가 아직도 문화 유전자처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실제로 이런 의도로 여행 상품을 기획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 아무튼 한번 나가서 여러 나라 들러보게 하는 것으로 열등감 해소를 부추기는 여행사의 마케팅 수법으로 생겨난 여행 프로그램이 많다. 한번 떠나는 김에 온갖 여러 도시를 여행 동선(動線)에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다. 견문의 내용보다는 ‘그곳을 나도 다녀왔다’는 열등감 채우기에 급급한 여행이 되는 것이다. ‘남 가 보지 않은 곳을 나는 이렇게 많이 가 보았다’는 것에 여행의 방점을 찍는 것은 여행이라고 하기에는 좀 민망하다. 아주 솔직하게 지적하면 여행에 관한 허영심 채우기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