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중심 활동 수업은 왜 필요한가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오래된 명제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교육 트렌드가 학생활동 중심으로 빠르게 옮겨 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만으로는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과 협력?배려 중심의 미래 핵심 역량을 길러줄 수 없기에 암기식 수업을 최소화하고,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자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토론 수업, 프로젝트 수업 등 학생 참여·활동형 수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고 지향하는 수업의 모습도 마찬가지입니다.
학생 활동중심 수업은 언뜻 보면 수업 안에서 교사의 역할이 축소되고 그 축소된 만큼 학생 활동이 채워지는 것으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학생 활동중심 수업을 이끌어 내기 위한 수업 전 교재연구(학생의 현재점 진단 포함)와 수업 디자인은 강의식 수업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교사에게 많은 준비 시간과 능동적 에너지를 요구합니다.
기존의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교사에게 맞추어진 가장 쉬운 수업인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자유학기제를 3년째 시범 운영하며 수업 변화의 요구를 어렵지만 외면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과 해결점의 기저에는 일개 교사들이 해결할 수 없는 학교 현장의 녹녹치 않은 여건과 특목고나 대학의 학생 선발 방법 등 경쟁 체제의 사회적 분위기가 거대한 빙산처럼 수면 아래 존재하고 있습니다. 교사들은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철학이나 시행의 방향성 등은 너무나 공감하고 수업에 대해 조금만 관심이 있는 교사라면 누구나 자유학기제가 자신의 수업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놀이터의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문제는 교사들이 자유학기제라는 의미 있는 놀이터에서 수업으로 마음껏 자신의 역량을 펼치고 동료성을 발휘하여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현실적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자유학기제 수업,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수업은 크게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융합수업, 주제통합 수업과 학생 참여?활동형 수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중학교 교육과정이 교과목별로 구분되어 있고 교사 공동체도 이에 따라 분리되어 왔기 때문에 교과목 내에서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서 상호 협력적 관계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습니다.
즉, 기존의 수업이 나 혼자 혹은 교과 내에서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던 수업이었다면 자유학기제 속 수업은 핵심 성취기준,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안에서는 물론 교과 밖에서도 서로 소통하며 교육과정을 나누고 통합해야 하는 것입니다.
나 혼자만이 아니라 교사와 교사,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들이 함께 공유하고 나누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교과 협의회, 교육과정 협의회, 제안 수업, 수업 평가회 등 교사들끼리 함께 해야 하는 협력적 활동이 너무나 많아졌습니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입니다. 그런데 학교 안의 상황은 교사들에게 이런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습니다.
교사는 가르치는 본연의 업무와 담임교사로서 30여 명의 학급 학생들의 생활지도는 물론 행정업무 감축이라는 구호가 무색할 정도로 날로 증가하고 있는 각종 행정업무 처리와 부정기적으로 국회를 비롯한 상급기관 등에서 요구하는 반복적이고 일회적인 자료 취합 등 교사의 수업력 제고와는 거리가 먼 과중한 업무에 지쳐 있습니다. 여전히 수업이라는 가장 중요한 일보다는 시급을 다투는 필요한 일에 시간을 빼앗기고 있는 것입니다. 그 속에서 교사들은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수업모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자유학기제를 촉발제로 한 수업의 변화에 부담을 느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