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거친 아이들과 함께 하기

“넌 학생이고, 난 선생이야.” 10여 년 전 대한민국을 열광케 했던 이 대사의 장면은 ‘체벌’ 장면이었다. 학생인권조례가 발표되기 전까지 체벌은 ‘효율적인 학생 통제 수단’이었다. 하지만 이제 시대가 달라졌다. 변화하는 제도에 발맞추지 못한다면 ‘선생질’하기 힘들어 진다. 교사를 명예퇴직으로 내모는 원인 1위는 ‘학생생활지도의 어려움’이다. 교사의 소진(burnout)을 막을 수 있는, 강력하게 아이들을 휘어잡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체벌금지에서 교권침해로
신규로 발령받았을 때의 일이다. 선생님들은 너나할 것 없이 어린 시절 갖고 놀던 플라스틱 칼을 들고 다니셨다. 이름하여 ‘규정매’. 그제야 임용고시를 준비하면서 체벌이 가능한 매의 길이와 굵기, 체벌 가능 부위 등을 본 기억이 났다. 불과 10여 년 전의 일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학생인권조례가 발표되고, ‘효율적 학생 통제 수단’이었던 체벌이 금지되었다. 어떻게 학생들을 다루어야 할지 걱정 어린 목소리들이 교무실을 채웠다. 변화된 제도에 발맞추지 못하는 교사들의 소식이 이어졌고, 그 소식이 줄어든다 싶을 때부터 교권침해 소식이 들려왔다. 그러더니 급기야 교권보호위원회가 학교마다 설치되었다. 교사들의 고민이 현실화된 것이다.

교사들의 반복되는 실수, 문제행동을 알면 ‘대처법’이 보인다
드레이커스(R. Dreikurs, 1992)는 모든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고 ‘소속감’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다고 본다.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 처음에는 사회가 바라는 긍정적인 행동을 하지만 그 행동으로 소속감을 얻지 못하면 부정적인 행동을 해서라도 소속감을 얻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런 부정적인 행동들이 갖는 잘못된 목표를 드레이커스는 ‘관심 끌기, 힘의 과시, 보복하기, 무능함 보이기’의 4가지로 제시했다.

‘관심 끌기’는 학생문제행동의 80%가 추구하는 목표로, 때로는 긍정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은 긍정적인 행동으로 관심 끌기에 실패하면 부정적인 행동을 통해서라도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에게 무관심은 도덕적인 것보다 견디기 어려운 것이다. 관심 끌기 행동에 대응하는 첫 번째 원칙은 바로 ‘의도적 무시’이다.

교사들은 문제행동을 보면 반사적으로 반응하게 되는데, 이것이 교사들이 하고 있는 첫 번째 실수이다. 교사는 문제행동을 지적하고 싶은 욕구를 꾹 참고 철저히 무시하는 대신,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학생에게는 관심을 갖고 반응하고 인정해주어야 한다. 또한 문제행동을 하던 학생이 그 행동을 그치고 긍정적인 행동으로 변화했을 때, 그 순간을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표현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어야 한다.

관심 끌기가 실패하면 ‘반박, 거짓말, 짜증, 의문 제기’ 등 보다 더 격렬한 형태로 행동한다. 이런 행동의 목표는 ‘힘의 과시’이다. 힘을 과시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힘을 드러내는 것이 집단에서 인정받는 길이라 여긴다. 여기서 교사들의 두 번째 실수가 나타난다. 교사는 이런 학생들을 만났을 때 힘겨루기를 통해 학생의 힘을 제압하려고 한다. 그러나 오히려 힘을 드러낼 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학급뿐만 아니라 수업에서도 1인 1역 등을 통해 특정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좋다.

힘을 과시하는 행동이 벌로 이어지면 학생들은 낙담한 나머지 ‘일진되기, 위협하기’ 등 더 공격적인 행동으로 ‘보복하기’를 시도한다. 이들은 자신이 집단에서 미움 받고 있으며, 집단에 소속될 기회가 없다고 확신하기 때문에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보복이고 그래서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보복하기’의 목표를 가진 문제행동은 매우 공격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런 학생을 만나면 교사는 매우 화가 나서 똑같이 공격적인 말과 행동을 쏟아내게 된다. 이것이 바로 교사의 세 번째 실수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