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신규교사라고 봐주는 법이 없다. 오히려 친구처럼 다가가려는 신규교사의 ‘간’을 보며 교사 위에 서려고 한다. 처음 품었던 ‘희망’과 ‘기대’는 어느새 상처투성이가 되고 열정은 식어버린다. 선배교사들은 학생들의 자존감과 소속감을 높이는 것이 ‘행복한 학급운영’의 비법이라고 말한다.
우리 반 아이들을 처음 만나는 3월 2일. 머릿속엔 온갖 생각이, 가슴속엔 갖가지 감정이 떠돈다. 평소 꿈꿔왔던 이상적인 학급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우리 반 아이들은 ‘특별히’ 내 말을 잘 들어주고 잘 따라와 줄 거라는 희망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신규교사라고 봐주는 것이 없다. 아이들에게 잘 해주고 좋은 선생님으로 인정받고 싶은 신규교사의 열정은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 아이들에게 이리저리 치이면서 상처받고 식어가게 된다. 학생들의 문제행동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낮은 자존감과 소속감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함께 생활하는 교실에서 서로 인정하고 배려하는 방법을 배워나간다면, 자존감과 소속감이 향상되어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줄어들 것이다. 그런 학급을 만들어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스스로를 인정하는’ 자존감 향상 시키기 학력중심사회인 우리나라는 학생들을 성적으로 판단하고 인정하려고 한다. 그래서 스스로 ‘나는 공부와는 관련 없다’고 단정 지은 학생들은 많은 패배감을 느낀다. 자신을 존중하지 않고 오히려 마음속에 분노를 간직할 수 있다. 이런 학생들은 공부 이외의 것으로 친구들 사이에서 인정받지 않는 한 자존감이 올라가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작은 수고스러움만으로도 학생들이 자신을 스스로 인정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 칭찬하기 교실에서 다른 친구들과 지내다 보면 분명히 누군가는 다른 사람을 배려해야 할 일이 있고, 다른 사람에게 양보할 일이 있다. 어떤 학생들은 인사를 매우 잘하고, 또 친구들을 잘 도와준다. 그리고 평소에는 매우 어려워하는 과목이지만 한 번 해보려고 시도하는 학생들이 있다. 교사는 아이들의 소소하지만, 긍정적인 행동을 눈여겨보다가 바로 칭찬하는 것이다. 이때 칭찬은 ‘○○가 오늘 조회시간에 수업 준비를 집중해서 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더라’와 같이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다른 미사여구를 많이 넣을 필요는 없다. 학생의 노력을 인정하는 진심만 담겨있으면 된다. 교사의 섬세한 관찰을 통한 칭찬 한마디가 학생의 자존감을 키우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 학부모에게 칭찬문자 보내기 학교에서 보인 학생의 긍정적인 행동은 바로 학부모에게 칭찬문자를 통해 전달한다. 위 학생의 경우 “어머니, ○○가 오늘 조회시간에 수업 준비를 집중해서 하고 있었네요. 아침부터 수업에 최선을 다하려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칭찬해 주세요^^”라고 칭찬문자를 보낸다. 학부모는 학교에서 아이가 얼마나 잘 생활하고 있는지 항상 궁금하고, 아이의 상황에 대해 목이 말라 있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사춘기를 지나면서 학교생활에 대해 부모에게 잘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런데 담임교사가 학부모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면서 아이를 칭찬까지 한다면, 학부모는 안심할 것이다. 나아가 배려해주는 담임교사에 대해서 고마움과 신뢰가 생기게 될 것이다. 학부모와 평소에 쌓아둔 신뢰 관계는 나중에 큰 힘이 된다.
● 학급 칭찬스티커 붙이기 칭찬스티커는 모든 학생을 학급의 중요한 일원으로 인정하고 공동체의식과 자존감을 키울 수 있는 제도이다. 칭찬스티커 결산 시간은 종례시간이 좋다. 그날그날 있었던 긍정적인 일들을 확인하면서 서로 칭찬하고 박수 쳐주다 보면 교실은 저절로 따뜻한 분위기가 형성된다. 반 친구의 작은, 긍정적인 행동이 우리 모두에게 득이 된다면 그 친구를 미워할 필요도 없고 괴롭힐 이유도 없어진다. 친구의 한마디에 울고 웃는 청소년 시기에 친구들에게 인정받을 기회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고 하지 않던가.
●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기 학생들의 긍정적인 행동은 단순히 칭찬과 칭찬스티커로 끝나지 않고,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위에서 언급한 학생의 경우 ‘(수업준비성) 아침 자습시간에 그날 배울 내용을 미리 준비하는 준비성을 보였음’이라고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이때 학생들에게 ‘학교생활기록부는 법적인 문서로서 기록된 내용은 50년 동안 보관된다’는 점을 교육하면 학생들의 긍정적인 행동을 더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입시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교생활기록부에 학생들의 일상생활이 그대로 녹아들어 간다면, 여타의 미사여구 없이도 그 학생의 인성을 알 수 있게 된다.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했다는 것도 학생과 학부모에게 알린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존재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 소속감 키우기 불량집단에 소속된 사람들과의 면담내용을 보면, 한 가지 공통된 주제가 나타난다. “불량집단은 내 가족이에요.”, “제가 거기 들어가기 전까지 저에게 관심 갖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어요.”, “그곳이 내가 정말로 소속되어 있는 유일한 곳이에요.” 그들이 표현하는 것은 일종의 ‘관계 맺음’ 즉,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이다. 학생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만약 학급에서 소속감을 얻을 수 있다면 굳이 문제행동을 벌여가면서 소속감을 만들고자 하지 않을 것이다.
● 학급 1인 1역 학급의 학생들은 언제 반에 소속되었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을까? 바로 학급에서 존재감이 있을 때가 아닐까? 존재감은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생긴다. 따라서 ‘1인 1역’을 통해 학급에서 해야 할 일들을 학생들에게 하나씩 부여해보자. 출석부 정리, 결석계 수합, 가정통신문 정리, 환경 미화, 유인물 배부, 중요 사항 전달, 봉사활동 내용 정리, 출결 체크 등 매일매일 학급에는 해야 할 일이 생각보다 많다. 담임교사가 학생들에게 모든 것을 해주려 하는 것은 위험하다. 학생들이 교사의 그러한 행동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 모습에 담임교사는 상처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한 발 뒤로 물러서서 학생들이 스스로 움직이면서 자존감을 얻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