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맑음동두천 9.6℃
  • 구름많음강릉 9.5℃
  • 맑음서울 10.2℃
  • 맑음대전 11.3℃
  • 맑음대구 14.4℃
  • 맑음울산 12.7℃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0.5℃
  • 구름많음제주 14.5℃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11.6℃
  • 맑음강진군 12.9℃
  • 맑음경주시 13.3℃
  • 맑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혼자 노는 아이

처음부터 혼자 놀기를 좋아했던 아이들은 없다. 더 이상 상처받기 싫어서 스스로 마음의 문을 닫았을 뿐이다. 빛이 강하면 그림자가 긴 것처럼, 상처가 많을수록 마음의 빗장은 단단해진다. 하지만 이 아이들도 자신의 말을 들어 줄 누군가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 스스로 상처를 치유하고, 다시 친구 앞에 설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이들의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보자.

‘스따’라는 말이 있다. 타인과 어울리기를 적극적으로 거부하고 ‘스스로를 왕따시키는 사람’을 말한다. 학교에도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왕따’와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왕따’가 있다. 교실에서 누구와도 어울리지 않은 채 혼자서 책을 읽거나, 핸드폰을 하거나, 잠을 자는 아이들…. 이들은 친구가 없어도 힘들지 않다고 말한다. 오히려 학급 친구들이 자기에게 말 거는 것이 귀찮고, 친구를 사귀라고 하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짜증 날 뿐이다. 상담하려고 시도하면 마음의 문을 닫고는 자신은 괜찮다고, 그냥 내버려두라는 말만 반복한다. 정말 괜찮은 것일까? 왜 스스로 친구를 멀리하는 것일까? 이 아이들을 도울 방법은 무엇일까?

더 상처받기 싫어 ‘관계 맺기’ 거부하는 아이들
친구들과 ‘관계 맺기’를 거부하는 아이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 번째는 지속적인 왕따 경험이다. 이 아이들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조언대로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다. 그러나 실패만 경험할 뿐이었다. 그래서 이제 ‘더 이상 상처받기 싫어서’ 친구 사귀기를 포기했다. 어차피 노력해봤자 안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공통점은 이른바 ‘덕후(maniac)’ 경향성이다. 무엇인가 몰두하고 있는 세계가 있다. 이 아이들에게는 정신적인 피폐함을 채워 줄 무언가가 필요했을 것이다. 어떤 아이는 ‘아이돌’에 빠져 ‘사생팬(사생활까지 쫓는 팬)’이 되고, 어떤 아이는 코스튬 플레이나 애니메이션, 특정 캐릭터 등에 몰입한다. 과거에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서 소통할 기회가 적었다. 그러나 요즘엔 인터넷상에서 동호회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들끼리 욕구를 해소하고, 그러면서 더욱 다른 친구들과는 멀어지는 경향이 급증하고 있다. 굳이 자신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사람들과 힘들게 관계를 맺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내 얘기를 들어 줄 누군가가 필요하다’
상담도 부질없는 짓이라고 생각한다. 선생님의 관심은 감사하지만, 지금 상태가 오히려 편하다고 한다. 이런 심리적 상태인 아이들에게 “그래도 친구를 사귀어야지. 혼자 있으면 심심하잖아. 다시 한 번 노력해보는 건 어때?”라는 말은 ‘알지도 못하는 참견’일 뿐이며, 다시 ‘고통의 시간’ 속으로 밀어 넣는 격이 된다.

이 아이들의 외로움은 생각보다 크다. 감정을 꾹꾹 참아내느라 에너지 소비도 심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도 많다. 애써 외면하지만 자신을 향한 타인의 시선을 감당하기엔 아직 어리다. 견디다 견디다 ‘필요 없다’던 상담실 문을 열고 들어오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아이들이 건네는 말은 ‘힘들다’가 아니다. 대부분은 ‘자랑’을 하러 온다. “쌤, 이 사진 좀 봐요. 지난주에 코스프레(코스튬 플레이를 줄인 일본식 표현)하고 왔어요.”, “쌤, 제가 더빙한 애니메이션인데 들어보세요.”, “쌤, 이번 주 샤이니 컴백했는데 봤어요?” 말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어 줄 누군가가 필요해서 찾아 왔다는 것을.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단계별 전략을 살펴보자.

이 아이들에게 다가설 때는 조심스럽게, 천천히 다가가야 한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관심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묻고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친분을 쌓고, 신뢰감을 얻어야 한다. 하지만 이 아이들은 자신들의 관심사를 좀처럼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한다. 공부나 건전한 취미가 아니라서 ‘인정받기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방법으로 말문을 연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