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빈곤 아동 정서격차도 심각

교육격차 해소 지금이 골든타임②

마음속 시한폭탄 ‘코로나 블루’

 

우울·중독 등 문제 가려 있다
개학 후 한번에 터질 수 있어

 

교사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의료 전문가 투입도 준비해야

 

 

[한국교육신문 김예람 기자] “처음에는 학교에 안 가서 좋았는데 집에만 있으니까 점점 아무것도 하기 싫고 답답해요. 며칠 전에는 나도 모르게 뛰쳐나가서 혼자 이리저리 거리를 쏘다니다가 왔어요. 친구도 잘 못 만나고…. 언제까지 이런 생활을 해야 할지 막막하니까 더 불안해요.”(경기 A중 3학년)
 

지난 1년간 코로나19를 경험하며 우리는 학교가 학업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해왔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학교가 멈추자 학업 외에도 아이들의 소속감과 정체성 형성, 또래 활동, 정서 함양 등 중요한 발달과업도 함께 정지돼버렸다. 그중에서도 ‘코로나 블루’, 즉 우울감이나 무기력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는 아이들에게 매우 취약한 요소다. 
 

실제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지난 12월 실시한 ‘아이들이 평가하는 코로나 한 해’ 설문조사에서 ‘코로나 블루’를 체감했다는 아이들은 49.6%에 달했고 대부분 ‘밖에 나가지 못하는 스트레스’(33.1%)를 호소했다. ‘지난해보다 올해 더 불행해졌다’고 응답한 학생은 사회계층 수준으로 비교할 때 상층(21.1%)보다는 중층(29.1%)이, 중층보다는 하층(39.7%)이 더 많았다. 가족이나 지역사회의 지원 여부에 따라 정서 격차가 또 다른 교육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빨리 기초학력을 비롯한 아이들의 정서와 심리, 중독과 방임·학대 등 보이지 않는 부분의 문제까지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적극적으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두르지 않으면 고위험군 아동의 삶을 돌이킬 수 없을지도 모르는 ‘골든타임’이라는 것이다.
 

김현수(정신의학과 전문의)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장은 “코로나는 아동의 삶, 특히 빈곤 아동의 삶을 더 악화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몰아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단지 학력 격차 문제가 아니라 삶 전반이 회복되기 어렵게 되는 것이 문제이며 빈곤층에서 극빈층으로 하향 이동할 가능성이 늘어날 것이 뻔히 예측돼 지금이라도 이들의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조치를 하지 않으면 이들에게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디지털 교육환경 격차가 워낙 크고 부모의 차이도 다양하기 때문에 빈곤층 아이들의 정서적 케어는 점점 더 빈약해질 수밖에 없다”며 “지금은 학력 격차보다 정서적 돌봄에 집중하면서 아이들의 관계성 회복에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소희(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장은 “등교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동안 인터넷이나 게임중독, 등교 거부, 학대나 방임 등 문제가 있던 아이들의 어려움이 한층 심화 됐을 것”이라며 “3월 등교 개학 이후 그동안 가려져 있던 문제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앞으로 더 적극적인 개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위험 아이들을 걸러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이 학부모와의 연락을 통해 학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스트레스나 업무로 여기보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안부 전화하듯 접근해주면 더 커질 수 있는 문제도 미리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사가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라 판단해도 학부모의 선입견이나 무관심으로 치료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부모 스스로 우울감으로 자포자기하거나 스트레스를 아이에게 푸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도 문제다. 그는 “이런 경우 교사의 관찰과 권유가 상담기관으로의 연결에 매우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며 “역할을 교사들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올해부터는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의료 전문가들이 직접 학교에 방문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의 찾아가는 사업을 도입하고 지금부터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관련 학생 정서지원과 관련된 정보는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홈페이지(www.smhrc.kr)에서 교사용 뉴스레터를 다운 받아 볼 수 있으며 심각한 자·타해 위험이 있는 고위험군 학생의 경우 교사와 학교 요청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전화 상담을 연결할 수 있다. 365일 24시간 이용 가능한 SNS 모바일 상담서비스 ‘다 들어줄 개’를 활용해도 좋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