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여왕 5월의 첫날 아침,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 우리 학교 학생들이 매주 명심보감을 통해 인성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은 인자하고 착한 마음을 갖게 하는 좋은 시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함께 가져본다. 조용한 시간 자신을 다듬는 시간은 많은 유익을 줄 뿐 아니라 마음에 행복과 기쁨을 가져다 줄 것이란 생각도 아울러 가져본다. 오늘 아침은 명심보감 계선편의 둘째 문장을 읽고 명상의 시간을 가졌다. ‘漢昭烈 (한소열)이 將終(장종)에 勅後主曰(칙후주왈)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 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이 말은 한나라의 소열 황제가 죽을 때 후주에게 조칙을 내려 말씀하시기를, “선이 작다고 해서 아니하지 말며, 악이 작다고 해서 하지 말라고 하셨다‘는 뜻이다. 後主(후주)는 소열 황제의 아들이고 이름은 선(禪)이다. 소열은 촉한의 초대 군주로 성은 유(劉)이고 이름은 비(備)이며 자는 현덕(玄德)이고 소열은 그의 시호이다. 將終(장종)은 세상을 떠날 때이다. 소열 황제가 죽을 때에 아들 선(禪)에게 유언을 한 말씀이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 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고 한 말씀이다. 평소에 건강하게 살아 계실 때 자식에게 얼마나 많은
오늘 아침은 명심보감 계선편(선행에 대한 글)의 첫 문장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繼善(계선)은 '선행을 이어나가라' '선행을 계속하라'는 뜻이다. 꾸준히 착한 일을 이어나가라는 뜻이다. 이 繼善篇(계선편)에는 10문장이 수록되어 있다. 그 중의 첫 문장이 ‘爲善者(위선자)는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하고, 爲不善者(위불선자)는 天報之以禍(천보지이화)이니라’이다. 이 문장의 뜻은 ‘선한 일을 하는 자는 하늘이 복으로써 갚아주고, 악한 일을 하는 자는 하늘이 재앙으로써 갚아주느니라’이다. 공자께서 가르쳐 주신 말씀이다. 그러면 善이 과연 무엇일까? 善의 뜻을 한자 자전에서 찾아 생각해 보았다. 그 중 하나가 ‘착하다’는 것이다. 착하다는 말은 국어사전에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음. 또는 그런 것’이라고 하였다. 착하다는 것은 결국 올바른 것,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성인군자들이, 선조들이, 지도자들이, 선생님들이 말하는, 지금까지 수없이 들어왔던 ‘올바르게’ 사는 것이 착하게 사는 것이다. 누구나 인정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올바름이 바로 착함이다. 그러니 선한 일을 한다는 것은 올바른 일을 하는 것이
엊그제 저녁식사를 하면서 잠시 TV를 본 적이 있다. 제주도에서 어부들이 자리돔 잡는 모습을 봤다. 봄에는 자리돔이 많이 잡힌다고 한다. 왜 자리돔이냐 하면 항상 그 자리에서만 자리돔이 잡히게 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자림돔을 잡는 모습을 보니 신기했다. 자리돔이 있는 곳으로 배를 타고 나가서 자리돔이 나타날 때까지 한참 기다리고 있다가 자리돔이 나타나니 그물을 치기 시작했다. 선장이 타고 있는 배 오른쪽에 두 작은 배가 보였다. 선장의 명(命)이 떨어지니 아주 빠르게 그물을 쳤다. 큰 배의 앞뒤와 작은 두 배가 사각형의 영역을 형성해서 그물을 함께 내렸다. 그리고는 큰 배로 함께 끌어올리는데 엄청 많은 자리돔이 잡혔다. 교육을 하는 필자의 뇌리에 여러 가지가 스쳐 지나갔다. 많은 가르침을 주었다. 가장 먼저 교육은 협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선장이 그물을 바다로 던지라고 명을 내렸을 때 한 사람도 노는 자가 없었다. 물끄러미 구경하는 자도 없었다. 방관자도 없었다. 아무도 비판하는 자도 없었다.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는 자도 없었다. 모두가 말없이 행동으로 움직였다. 모두가 협력자였다. 자기의 위치에서 바쁘게 그물을 내렸다. 모두가 그러했다
우리 학교는 매주 화, 목요일 아침 7시 40분부터 10분 동안 명심보감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두 국어선생님께서 번갈아 한 문장씩 읽고 해석해주고 나서 생각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독서 및 인성노트에 문장과 음과 뜻을 적은 후에 자기의 생각을 적는다. 이렇게 해서 학교생활의 하루를 열어간다. 벌써 16째 문장을 다루었다.명심보감을 통한 인성교육이 16번째 시간이 된 셈이다. 이 시간이 되면 필자도 명심보감을 펴놓고 강의를 듣고 자신의 되돌아본다. 오늘 문장은 ‘種瓜得瓜(종과득과)요 種豆得豆(종두득두)니 天網(천망)이 恢恢(회회)하여 疎而不漏(소이불루)니라.’ 이 말의 뜻은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으니, 하늘의 그물이 넓고 넓어서 성글되 새지 아니하느니라.’ 자연의 법칙에서 깨달음을 얻는다. 심는 대로 거두는 원리다. 농부가 가장 많이 그리고 직접 체험하는 바가 아닌가? 농사를 짓지 않아도 어깨 너머로 농사짓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콩을 심는데 팥을 얻지 못한다. 진실을 심으면 진실을 얻고 거짓을 심으면 거짓을 얻는다. 선을 심으면 선을 얻고 악을 심으면 악을 얻는다. 그런데도 잊어버릴 때가 많다. 실천을 하지
오유오무(五有五無)란 우리 학교에서 꼭 있어야 할 다섯 가지와 사라져야 할 다섯 가지를 말합니다. 오유(五有)는 ‘미소, 인사, 칭찬, 재치, 명상’이고 오무(五無)는 ‘사교육, 핸드폰, 흡연, 폭력, 타종’입니다. 우리 학교에 반드시 있어야 할 오유, 즉 ‘미소, 인사, 칭찬 재치, 명상’의 다섯 가지 항목은 즐겁고 여유로운 학생들이 모여 있는 학교를 의미합니다. 입시 경쟁에 찌든 인문계등학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단어들입니다. 특히 우리학교 같이 우수한 학생들이 모인 학교에서 과연 이같은 다섯 가지 항목의 여유로움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가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다섯 가지 항목은 완성도 높은 인성교육을 통해 오유를 반드시 실현해야 하고 충분히 이뤄낼 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 학생들은 미소를 잃어서는 안 됩니다. 하루의 시작도 웃음으로 시작돼야 합니다. 친구들의 만남도 웃음으로 시작돼야 합니다. 우리 선생님들과 만남도 웃음으로 시작돼야 합니다. 그래야 삶이 행복해집니다. 삶이 윤택해집니다. 삶의 여유가 생깁니다. 그리고 항상 웃는 모습으로 인사하는 것이 습관화 돼야 합니다. 또 친구를 보면 먼저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선생님을 보
맹자 양혜왕 하 3장에는 맹자와 제선왕의 대화가 나온다. 제나라 선왕이 "이웃나라와 사귀는데 좋은 방법이 있습니까? 하고 맹자께 물었다. 오직 어진 자라야 자기 나라가 큰데도 이웃에 있는 작은 나라를 업신여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지혜로운 자라야 자기 나라가 작은 것으로서 이웃의 큰 나라를 섬길 수 있다고 하였다. 맹자의 가르침에 제선왕은 감탄하였다. 참으로 훌륭하신 말씀이라고 하였다. 大哉(대재)!라고 하셨다. 교육하는 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점이 있다. 이소사대 (以小事大)’와 이대사소(以大事小)이다. 이소사대 (以小事大)는 ‘작은 것으로써 큰 것을 섬긴다’는 뜻이고 이대사소(以大事小)는 ‘큰 것으로써 작은 것을 섬긴다’는 뜻이다. 3장에서 맹자의 가르침 중 하나는 누구나 다 섬기는 자가 되어라는 것이다.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섬기고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기듯이 큰 사람은 작은 사람을 섬기고 작은 사람은 큰 사람을 섬기는 것이다. 그래야 모두가 평안하게 되는 것이다. 큰 자는 누구를 가르키나? 부유한 자를 말한다. 반대로 작은 자는 가난한 자를 말한다. 큰 자가 작은 자를 섬긴다는 것은 부유한 자가 가난한 자를 배려한다는 뜻이다. 부유한 자가 누
맹자 양혜왕하 2장에는 文王之囿(문왕지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周(주)나라 文王(문왕)의 동산에 관한 이야기다. 囿(유)는 苑(원)에 담을 친 것을 말하는데 옛날 사계(四季) 중에 농시(農時)가 한가한 때 여기에서 사냥하면서 무사(武事)를 강습(講習)하기 위하여 넓은 무용(無用)의 토지에 유(囿)를 만들었다고 한다. 文王之囿(문왕지유)란 문왕이 나라 동산 즉 울을 치고 새 · 짐승을 기르는 임야(林野)라고 하면 된다. 거기에는 꽃, 채소, 과일나무 따위를 가꾸는 곳이고 나무가 무성하며 짐승이 많이 있는 곳으로 보면 된다. 제선왕(齊宣王)이 맹자께 물었다. 文王之囿(문왕지유)가 사방 70리(七十里)나 된다고 하는데 그렇게 컸느냐고 물었을 때 맹자께서 백성들은 그것도 오히려 적다고 했다고 하니 제선왕은 과인의 동산은 사방 4십리인데도 백성들이 오히려(猶) 크다고 여기는 것은 어쩐 일입니까라고 물었다. 문왕의 동산은 70리인데도 거기에는 꽃이나 나무를 베러 가는 사람들도 마음대로 갈 수가 있고 꿩 잡고 토끼 잡는 사람들도 마음대로 갈 수 있었다. 그래서 백성들과 함께 갖는 셈이 되었으니 백성들이
2010년 강북교육청의 교육목표는 ‘알찬 실력과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력 인재 육성’이다. 올해도 크게 학력증진과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성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인성교육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옛날에도 인성교육을 아주 중시하고 있었다. 특히 인성교육을 잘 하신 분 중의 한 분이 공자이시다. 공자께서는 논어 이인편 11장에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君子(군자)는 懷德(회덕)하고 小人(소인)은 懷土(회토)하니라”고 하셨다.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땅을 생각한다라는 뜻이다. 군자(君子)가 소위 교육하며 기르고자 하는 인물이다. 군자 같은 인물을 길러내려고 한다. 소인(小人) 같은 인물이 아니다. 군자와 소인은 반대되는 인물이다. 금년 한 해 동안 군자 같은 인물을 길러내고자 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다. 군자는 어떤 사람이며 소인은 어떤 사람인가? 군자는 덕을 생각하는 자이다. 여기서 懷(회)는 염(念)이나 사(思)와 같은 뜻이다. 생각하다. 마음 속에 품고 있다는 뜻이다. 군자는 덕을 생각한다. 군자는 덕을 가슴 속에 품는다. 그러면 덕은 무엇인가? 밝고 크고 옳고 빛나고 착하고 아름답고 부드럽고 따스하여 사람으로서의 길을 행
'맹자 권2 양혜왕하(梁惠王下) 1'을 읽었다. 이 글에는 맹자와 선왕이 대화하는 내용이 나온다. 음악에 대한 대화이다. 선왕이 음악을 좋아한다는 말을 듣고 음악에 대한 것을 주제로 대화를 나눈 것이었다. 맹자께서는 선왕이 음악을 매우 좋아한다면 왕노릇을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시 말하면 제나라가 잘 되어 갈 것이라고 했다.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전제조건이 있었다. 음악을 좋아하면서 혼자 즐기지 말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즐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혼자서 음악을 즐기는 것과 (적은)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즐겁겠습니까?” 하고 맹자께서 물었다. 그러니 선왕께서는 “(적은) 사람들과 함께 즐기는 것이 더 즐겁겠지요.”라고 했다. 그런 후 “적은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는 것과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즐겁겠습니까?”하고 물으니 선왕께서 “많은 사람들과 함께 즐기는 것이 더 즐겁겠지요." 맹자께서는 선왕에게 "이제 왕께서 백성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신다면 왕 노릇을 잘 하시게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이 이야기 속에서 배울 것이 있다. 맹자께서는 왕이 백성들과
채근담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醴肥辛甘(농비신감)이 非眞味(비진미)요 眞味(진미)는 只是淡(지시담)하며 神奇卓異(신기탁이)가 非至人(비지인)이요 至人(지인)은 只是常(지시상)이라” 이 말은 뜻은 ‘진한 술, 기름진 고기와 맵고 달콤한 음식이 진미가 아니요, 진미는 담백한 것이며, 신기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는 사람이 지인이 아니요 지인이란 그저 평범하다’라는 뜻이다. 우선 여기서 말하는 至人(지인)은 군자(君子)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군자란 다름 아닌 바른 성품을 지닌 인격자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모델이 누가 될 수 있나? 평범한(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있다. 탁월한 사람, 훌륭한 사람만이 至人(지인)이 될 수 있다면 어떻게 되겠나? 평범한 사람은 모두가 좌절하고 포기하고 말 것이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가르쳐 주고 있는 것이다. 배우는 이들은 모두가 지인(至人)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평범한 사람은 모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수한 사람은 모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말씀이다. 진한 술, 맛있는 음식, 매운 맛, 단맛이 참맛이 아닌 것이다. 이런 것들은 모두가 순수한 맛이 아
2009년 한 해가 서서이 저물어가고 있다. 교육에 몸담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감사와 보람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건강한 가운데 우리에게 주어진 교육의 사명을 다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 해를 되돌아보면 많은 사람들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져온 것은 사실이다. 자녀들을 둔 부모님은 말할 것도 없고 교육을 사랑하는 모든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특히 새 정부가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애써왔다. 하지만 교육의 중심에 서 있는 우리 선생님들만큼 교육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가진 분은 없다고 본다. 어느 누구보다 교육에 대한 사랑을 실천한 분은 교단을 묵묵히 지켜온 우리 선생님들이 아닌가 싶다. 어느 누가 선생님만큼 학생들이 몸담고 있는 학교를 사랑했겠는가? 학생들의 학부모님이 선생님만큼 학교를 사랑했겠는가? 학교를 내 집처럼 사랑한 분은 학교를 지키는 선생님들과 교직원들과 학생들이다. 학교를 청소하고 관리하며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해 애쓴 분이 바로 선생님들과 교직원들과 학생들 아닌가? 이분들은 한결같이 현장에서 손수 몸으로 실천하신 분들이다. 학교를 사랑한답시고 학교에 와서 손수 청소를 하며 관리 유지하신 분들
오늘 아침 식사시간에는 감사가 넘쳤다. 비록 초라한 밥상이었지만 풍성한 감사를 할 수 있는 식단이었다. 무슨 감사일까? 다름 아니라 과일의 풍성함에 대한 감사(感謝)이다. 접시에 담겨진 감과 사과의 풍성함이다. 정성에 대한 감사(感謝)이다. 감과 사과를 접시에 정성껏 깎아 담아준 것에 대한 감사(感謝)이다. 이렇게 보면 감사할 것이 월요일 첫날부터 찾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평소에는 삶의 고달픔 때문에 감사(感謝)가 잘 나오지 않는다. 감사(感謝)를 잘 찾지도 않는다. 감사(感謝)가 잘 보이지도 않는다. 감사(感謝)가 생각나지도 않는다. 삶이 고달파 감사(感謝)의 마음이 생기지도 않는다. 사는 것이 고달파 감사(感謝)보다 불평이 더 많다. 감사(感謝)하며 살면 행복자라고 할 수 있는데, 불평하며 살면 불행자라고 할 수 있는데 무엇 감사할 것 있다고 감사하면서 사냐?고 반문하면서 불평과 불만만 쏟아낸다. 정말 불행자인양. 스스로 불행자로 자처하면서 불평만 하고 불만으로 가득 찬 삶을 사는 것은 자신을 해롭게 하는 것이리라. 11월을 감사(感謝)의 달로 만들어 보자. 아니 감사(感謝)가 생각나는 달이 되게 해보자. 무엇을 감사(感謝)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오늘 날씨는 지금의 마음상태를 나타내는 것 같다. 검은 구름이 푸른 하늘과 빛나는 태양을 가리고 바람과 함께 비를 뿌리고 있다. 바깥은 암흑이다. 바람소리도 보통 소리가 아니다. 그뿐 아니라 낙엽마저 바닥을 뒹군다. 비바람이 그치고 나면 찬바람과 함께 추위가 몸을 더욱 움츠리게 하고 마음을 착잡하게 만들 것이다. 극성을 부리는 신종플루는 그칠 줄 모른다. 들려오는 소식마다 마음을 우울하게 한다. 예쁘고 귀여운 어린 자식을 신종플루의 희생양이 되어 부모의 눈에 눈물을 뿌리게 하니 가슴이 내려않지 않을 수 없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학생들에게 신종플루 예방접종을 한다고 하니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좀 더 빨리 접종이 이루어졌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관계되신 분들께서 지혜를 짜서 온 국민들이 신종플루 예방접종을 해서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날이 속이 오기를 기대해 마지 않는다. 그런데 또 아쉬운 것은 학생들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면서 왜 선생님들에게 동시에 접종을 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어제 오후 어느 선생님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신종플루에 감염되어 대학수학능력시험 감독을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정말 안타까웠다. 선생님이 아니었더라면 신종플루에
소학 3편 경신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敬勝怠者吉(경승태자길)하고 怠勝敬者滅(태승경자멸) 이니라)” 이 말은 부지런한 자는 길하고 게으른 자는 망하다는 뜻이다. 敬(경)을 ‘부지런하다’라고 본 것은 대구가 되는 怠(태)가 ‘게으르다’의 뜻이기 때문에 그렇게 풀이한 것이다. 敬勝怠者吉(경승태자길)을 문장구조에 맞게 해석을 하면 敬이 怠를 이기는 자는 길한다가 된다. 敬者가 怠者를 이기면 吉하고 怠者가 敬者를 이기면 멸한다고 한 것이다. 그러면 敬者는 어떤 자인가? 여러 가지로 해석해 볼 수가 있다. 문맥에 맞게 怠者와 반대되는 사람이니 敬者는 부지런한 사람이라 하면 된다. 부지런한 사람은 어떻게 되나? 길하게 된다. 흥하게 된다. 장래가 보인다. 희망이 보인다. 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배우는 이들은 부지런해야 한다. 공부하는 일을 게을리하면 얻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실력도 쌓을 수 없다. 학력이 향상될 수도 없다. 나쁜 습관만 가지게 된다. 그러니 학생들은 배우는 일에 게을러서는 안 된다. 배우는 일에 부지런하면 끝이 보이게 되어 있다. 열매가 있게 마련이다. 부지런하지 않고 열매만 바랄 수 있겠는가? 땀 흘리는 농부를 보라. 부지런하지 않으면 곡식
요즘 신종플루로 인해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부모님들은 자녀가 신종플루에 감염될까봐 걱정이고 감염된 자녀로 인해 부모들도 감염될까봐 걱정이다. 어서 속히 백신을 맞아 예방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예방접종을 앞둔 괴담이 나돈다고 하니 정말 마음이 편치 않다. 어려울 때 왜 나쁜 말, 무서운 말을 퍼뜨려 국민들을 불안하게 할까? 아무런 근거도 없이 말이다. ‘신종플루 백신을 맞으면 죽는다’는 말을 왜 책임 없이 퍼뜨리는지 모르겠다. 신종플루 백신을 맞아 예방해야 하는데 무슨 저의로 신종플루 백신에 대한 혼란을 가져오도록 하는지. 이래서는 안 된다. 신종플루 백신을 맞지 않으면 신종플루 감염자가 더 많이 생길 텐데. 온 국민이 신종플루백신을 맞아 신종플루에 감염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말이다. 정말 안타깝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나쁜 말은 사람을 죽인다. 마음에 상처를 준다. 마음에 자국이 사라지지 않도록 한다. 시멘트 바닥에 발자국을 남기면 지울 수 없듯이 사람들의 마음에 새겨진 자국도 평생 지울 수 없다. 그게 쌓이고 해서 죽음에 이르게 하고 있는 것이다. 배우는 이는 모두 군자이다. 실력도 있고 성품도 좋은 군자이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