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연구재단 발간 도서 및 자료를 무료 배포한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이나 단체는 신청양식을 빠짐없이 작성, 홈페이지(www.historyfoundation.or.kr)의 도서신청서 '첨부 1'을 내려 받아 전자우편(dongbuk2012@hanmail.net)으로 신청하면 된다. 기간은 11월6일까지.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 작은 아시아 국가들이 어려움을 딛고 세계적인 경제 강국들로 성장한 원동력은 무엇일까. 28, 29일 인하대에서 열린 ‘아시아 교육의 기적’을 주제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세계 석학들은 아시아 국가들의 기적적인 발전, 그 원동력을 ‘유교 문화’로 꼽았다. 김영 인하대 사범대학장은 기조강연에서 “동아시아의 전통적 한자문화권 국가들은 문(文)・ 예(禮)・덕(德)을 정치의 이상으로 삼는 유가적 숭문(崇文)주의의 전통이 강했다”며 이런 것들이 오늘날 아시아 교육 기적의 사상적 기반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동아시아 전통교육의 기저에는 명명덕(明明德)과 유교무류(有敎無類)의 교육관, 선학(禪學)과 호문(好問)의 학문자세, 회인불권(誨人不倦)과 교수생도(敎授生徒)의 전통, 지덕합일(知德合一)과 지행일치(知行一致)의 교육사상이 교육기적의 기반이라는 설명이다. 량쥬에 홍콩 시립대학 석좌교수도 “유교주의에선 절약과 근면 그리고 성취를 위한 지속적 노력 등 세 가지를 중요시 한다”며 “결국 이런 것들이 동아시아에서 기적을 이루어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녀교육을 위해 근면 절약하고 희생하는 부모와 그 기대에 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형일)과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권재철)은 31일 반포동 팔레스호텔에서 정보·연구 교류 협정 체결식을 갖는다. 이번 체결식은 고급인력의 효과적인 양성 및 원활한 이행에 대한 교육계와 노동계의 다각적인 정책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보교류 및 공동 활용을 통해 ‘학교교육과 노동시장의 효과적 연계’라는 국가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체결식을 통해 그 동안 단절되어 왔던 교육 분야와 노동 분야의 정보가 ‘School to Work Information System' 으로 통합・운영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됨으로써, 정보의 수집·DB구축·활용에 있어서 획기적인 전환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가 2008학년도 입시부터 논술 비중을 10%에서 30%로 대폭 높이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논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대의 이 같은 움직임에 주요 대학들이 동참하면서 논술에도 사교육 광풍이 불어 닥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급하게 배운 티가 나는 ‘뻔한 답안’은 낙제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하지만, ‘통합논술’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가오는 논술준비에 대해 교사들의 고민은 만만치 않다. 20일 한국교총 소회의실에서 열린 논술 전문가 좌담은 현장교사들의 이러한 고충과 대학의 입장 등을 듣는 자리였다. 좌담은 이원희 한국교총 수석부회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참석자= 우한용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 박인기 경인교대 교수, 김혜남 서울 문일고 교사, 임형태 서울 경신고 교사, 최영하 서울 성보고 교사, 최진규 충남 서령고 교사, 황충일 인천 강화고 교사 우한용 “통합논술은 국어과만으로 준비할 수 없지 않습니까? 협의체를 구성하고 교사부터 논술의 두려움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김혜남 “통합논술은 현장과 너무 큰 괴리가 있습니다. 문제형태를 바꾼다고 공교육의 현실이 쉽게 개선되지는 않습니다.” 최진규 “논술 비중 높이는 것에 찬성합니다. 궁극적으
대학교수 2위, 초등 교사 4위. 교수와 교사의 직업윤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홍근 연구위원은 17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21세기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를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직업인들의 직업의식·윤리 수준을 5점 만점으로 설문한 결과 1위는 평균 3.68점을 받은 프로 운동선수가 차지했다. 대학교수(3.64점), 의사(3.61점), 초등학교 교사(3.58점), 법조인(3.56점), 직업군인(3.47점), 시민사회운동가(3.40점), 언론인(3.34점)이 중상위권에 올랐다. 기업경영자(3.24점), 연예인(3.15점), 고위공무원(3.12점), 노조간부(3.08점) 등은 중위권에 머물렀다. 하위직 공무원(3.07점), 공장근로자(3.04점), 택시운전기사(2.97점), 시의회의원(2.80점), 국회의원(2.56점)은 하위권으로 분류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3~4월 17개 주요 직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조사대상은 18~64세의 8700명이다.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이 마련한 '제4회 교과서 관련 수필 작품 공모전'에서 청도 금천중 서상희 교사가 ‘헌 교과서가 준 선물’로 금상의 영예를 안았다 초등부는 신은별(안산 청속초), 중등부는 김유미(수원 필보중), 고등부는 박빛나(서울 자양고) 학생이 각각 금상에 선정됐다. 학생ㆍ일반인들이 교과서의 쓰임과 중요함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도록 이끌기 위해 개최된 이번 수필 공모에는 초등 147 편 등 479편이 응모, 모두 64 명이 입상했다. 시상식은 20일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회의실에서 열린다.
2008년 실시 예정이던 전면 주5일 수업이 2009년으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16일 열린 주5일 수업 대책반회의에서 교육부는 2009년 이후 전면 실시하는 안을 새롭게 제안했다. 교육부 김양옥 초중등교육정책 과장은 “2008년까지는 현행대로 월2회 주5일 수업을 실시하고 내년 2월 개정 고시할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09년부터 전면 주5일제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무리 없는 주5일제 전환의 현실적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 안은 2009년 주5일 수업을 전면실시하고 새 교육과정을 전 학년 동시 적용하되 교과교육과정과 이에 따라 개발되는 교과서는 2009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한다는 것이다. 주 40시간 근로자 비율이 2009년 이후 50%이상으로 확대 예상되는 것도 이 안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전면 주5일 수업 체제가 되면 수업 시간은 주당 2시간 정도 줄고 수업 일수도 현행 연간 220일 가운데 10% 범위(최대 22일) 내에서 평균 15일 정도 감소하게 된다. 교육부는 이 외에도 현행보다 주당 1~2시간 감축해 2008년 전면 실시하는 안과 2007~2010년까지는 현행대로 월2회 실시하고 새 교육과정이 전 학년에 걸쳐 적용되는 2011년 이후 전면
지난 9일 김이경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연구실장이 교육부 용역을 받아 내놓은 '저출산 및 학교교육 변화에 따른 교원정책 수립 기초자료 조사ㆍ정책 연구자료'에 대한 교육계의 관심이 뜨겁다. ‘초등 교원의 공급 과잉을 막기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신규 채용이 이뤄지면 안 된다’는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을 만나 보고서에 대한 몇 가지 논란에 대해 들어봤다. - ‘향후 5년간 초등교원을 신규 채용할 필요가 없다’는 보도로 무척 시끄러웠습니다.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채용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한 적은 없습니다. 정책 변수를 감안해 소요 교원 수를 예측했을 때 2012년이 되면 신규 채용이 없어도 초등 교원의 수가 소요 교원 수보다 많아지게 된다는 분석을 내놓을 것인데, 이를 확대해석한 것으로 보여 집니다. 보고서에서는 소요 교원 수의 변화에 따라 신규 채용 교원 수를 즉각적으로 변화시키기는 어려우므로 중・장기적으로 내다보며 점진 감축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습니다.” - 교육부에서는 2006~2020 중장기 교원수급 계획의 소요 교원 수 추정결과와 김 실장님의 보고서는 차이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차이는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요.
유-5-3-4-4제가 가장 합리적 학제 개편의 대안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한국교육개발원 제1회의실 열린 ‘미래학제 탐색을 위한 쟁점 토론’에서 김영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유-5-3-4-4제는 초등 수학연한을 줄여 상・하급 학생 간의 이질성을 최소화하고 고교교육을 충실히 하자는 것”이라며 “고교 4년 과정을 전・후반기로 나누어 전반기 2년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후반기 2년은 선택과정으로 운영해 진학 및 취업 준비 교육에 집중토록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고교 4년제는 신중한 진로선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동일한 고교 내에 직업・진학 교육과정을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실업계 기피현상과 그로인한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고교 수업연한 연장으로 인한 입시스트레스 가중과 사교육비 부담, 직업교육 홀대에 대한 인식 전환이 없는 한 취업준비생에 대한 소외감 증가, 초등 수업연한 단축으로 인한 국제적 통용성 등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고 김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또 김 연구위원은 “유-5-3-4-4제를 기본으로 하되 학제운영의 다양화도
중・고교 환경교사의 73%가 비전공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환경교육・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 방안’세미나에서 심무경 환경부 민간환경 협력과장은 이같이 밝혔다. 심 과장은 “05년 기준으로 초등교에서 재량활동시간에 환경영역 교육을 선택한 학교는 30.6%며 중고교의 선택과목 운영 비중도 19.5%(중학 11.8%, 고교 30.3%)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환경교육진흥법(안)이 부처 간 이견으로 폐기되는 등 제도적 기반이 미약한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심 과장은 “현재 중・고교 환경교사의 73%가 비전공자”라며 “비전공자의 교육은 질 저하는 물론 신규 환경교육전문가의 배출을 가로막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초등의 경우 교육대학 커리큘럼에 환경관련 강의조차 개설되어 있지 않다”며 환경교육에 대한 무관심을 꼬집었다. 심 과장은 “미국은 1972년 ‘국가환경교육법’을 제정했고 일본도 2003년 ‘환경교육추진법’을 제정해 환경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라며 “환경교육진흥과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고교-전문대간 통합학제를 마련하고, 도시와 농촌의 학제를 근본적으로 달리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 제1회의실 열린 ‘미래학제 탐색을 위한 쟁점 토론’에서 정기오 한국교원대 교수는 “5・31 교육개혁이후 고교-전문대학간 2+2 연계교육이 실업교육 정상화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양측 이해관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고교-대학간 구조조정 차원의 학교지배구조 통폐합 절차를 통해 고교-전문대 통합 학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단선형 학제아래 급증한 진학 물결이 소도읍 이하 고교의 폐교위기를 초래하고 있다”며 “교육의 호환성과 통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도시와 농촌의 학제를 근본적으로 달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도시의 경우, 시장에게 교육자치권을 부여하고 자립형 사립고교와 기초 자치도시의 시장이 설립・운영하는 공립고교를 중심으로 발전시키고 농촌지역은 도교육감을 중심으로 교육의 공공성과 교육기회 확충 체제를 강화하는 ‘복선형 학제’의 도입이 적절하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또 “카페테리아(Cafeteria) 교육과정에 그치는 고교 2-3년 교육과정은 문제”라며 “지나치게 다지화돼 있는 실업
수준별 이동수업이 중학생의 영어·수학 성적 향상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은 교사 자율에 맡겨 가르친 학교보다 성적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최근 열린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 논문 ‘학업성취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 현재 150개 중학교 1학년생 6727명을 상대로 학교·가정생활의 특성, 학업성취도, 생활환경 등을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조사 자료 를 분석)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수학은 학급을 학생 수준별로 나눠 이동수업을 한 학교의 평균 점수가 교사 자율에 맡겨 수업한 학교에 비해 5.36점이나 낮았다. 학급 안에서 동질집단이나 이질집단으로 모둠을 지어 가르친 학교도 교사 자율에 맡긴 학교보다 0.88점에서 많게는 4.44점까지 평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영어는 학급 간 이동수업을 한 학교의 평균이 교사 자율에 맡긴 학교보다 0.32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안에서 동질집단을 이뤄 수업을 한 학교는 평균이 3.85점이, 학급 내 이질집단을 편성한 학교는 1.8점이 높게 나타났다. 양 교수는 “이 결과가 수준별 이동수업의
제5회 전국평생학습축제가 30~10월1일 ‘International Policy Dialogue: Challenges in Implementing Lifelong Learning for Adults’ (미래를 향한 도전, 학습하는 성인)를 주제로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국제회의를 겸해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각국의 평생학습정책 방향 및 주요 의제 보고, 현재 추진 중인 평생학습 사례 소개, 정책 주요 이슈와 문제점 진단 및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세계 16개국 33개 기관의 국외 평생학습 정책전문가 36명과 국내 평생학습 정책 전문가 80명이 참석하는 이번 축제의 주요 참석인사는 Washington Mbizvo (짐바브웨 교육부차관), Vernon Jacobs (남아프리카공화국 성인기초교육훈련원장), Han MIN (중국 국가교육개발연구소장), Carolyn MEDEL-ANONUEVO (유네스코 상임집행위원), 고형일 (한국교육개발원장), 김광조 (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 이삼열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김기석, 성경희 (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 집행위원) 등이다.
△ 기획처장 유균상 △ 교육정책연구본부장 이혜영 △ 교육혁신지원본부장 정택희 △ 교육혁신지원본부 교육통계센터 소장 김창환
초등 입학연령의 만5세 하향화에 대한 유아교육계의 반대가 거세다. 26일 한국교육개발원 주최로 한국교총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래학제 탐색을 위한 쟁점 토론’에서 문미옥 서울여대 교수는 “유치원은 지난 57년간 법으로 이미 ‘학교’였으며 만3~5세라는 유치원교육 대상연령을 인정하지 않고 정부가 초등 입학연령을 5세로 하향화하겠다는 것은 유아교육의 후퇴를 의미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문 교수는 “유치원 교육을 ‘취학전 교육’이라고 칭하는 것 자체가 오류”라며 “유치원은 법에서 규정하고 학제인 만큼 ‘초등학교 취학전 교육’이라고 불러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학제개편 논의에 있어 유치원이 학교가 아니라는 생각 자체부터 집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문 교수는 초등 취학연령 5세 안에 대해 “유치원 교육은 놀이와 생활교육을 통해 개성과 창의성, 자율성을 기를 수 있는 노하우를 축적하는 시기”라며 “OECD 국가들도 대부분 만 6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공립 병설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조직문화의 영향으로 유아교육의 특성을 살린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며 “초등 빈 교실 활용이나 경제활동 인구의 빠른 사회진출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