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룡을 찾으러 가자=경상도와 전라도, 경기도 등지에 흩어져 있는 공룡뼈, 공룡알, 공룡 발자국을 찾아 여행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 공룡 화석지를 안내하고 있다. 한눈에 보는 공룡지도 등을 수록, 방학이나 주말을 이용해 공룡의 숨결을 직접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안정호|파란하늘 ▶사기=사마천의 역사서 ‘사기’는 단순한 역사서가 아니라 문학, 철학, 의학, 음악에 이르기까지 당시 인간 사회의 여러 모습을 기록한 책이다. 백이·숙제, 관중·포숙, 한비, 오기 등 130편으로 구성된 ‘사기’ 중에서 청소년들에게 권장하고 싶은 부분만 골라 엮었다. 청소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도 다듬었다. 사마천|평단 ▶세상에서 가장 큰 지혜를 주는 동화=오랜 기간 사랑받아온 세계 명작들을 동화로 꾸몄다. 톨스토이, 셰익스피어 등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세계적인 작가의 작품과 그리스·로마신화의 트로이 목마, 성경에 실린 솔로몬의 재판 등 9편이 수록됐다. 중요문장은 글자색을 달리해 아이들이 눈여겨볼 수 있게 했다. 레프 톨스토이 외|글수레 ▶왕, 왕따 옥황상제=딱딱하고 어려운 말이 많이 나오는 환경관련 서적의 틀에서 벗어나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2005-08-18 12:36‘원놀이’로 훈장 자질도 가늠 다양한 지식 터득 놀이를 통한 교육이 꽤나 발달했었다. 서당놀이라 하는데 이 놀이를 통해 지리 역사 수신 사회 등 다양한 지식과 지혜를 터득시켰던 것이다. 이를테면 팔도군현도(八道郡縣圖)란 놀이가 그것이다. 한양을 중심으로 조선 팔도의 고을이 길로 연결되어 있어 주사위나 윷을 던져 누가 먼저 한양에 도달하느냐로 승부를 가렸다. 물론 옆길이나 뒷길로 빠지는 함정이 있어 재미를 돋군다. 이렇게 자주 놀다보면 팔도의 고을 이름과 어떤 고을 옆에 무슨 고을이 있는 등 지리공부가 절로 되게 마련이었다. 군현뿐 아니라 팔도의 명승지와 명산 명찰 서원 특산물 등을 연결시킨 팔도유람도(八道遊覽圖)도 있어 문화 산업지리도 놀이를 통해 터득시켰다. 고을 이름 모둠놀이라하여 짝을 갈라 이편에서 한자하나를 골라 던져주면 저편에서 그 한자를 웃글씨로 한 고을 이름을 있는대로 대게하는 놀이다. 이를 테면 ‘江’자를 던져주면 江華·江陵·江界·江景 하는식으로 대어나간다. 칠언대구(七言對句)라 하여 셋이서 2·2·3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을 만드는 지식유희다. 이를테면 첫째가 태정(太定)하면 가운데가 태세(太世)하고 맏이가 이를 받아 문단세(文端世)로 마무
2005-08-16 11:59▶아빠가 들려주는 과학사편지=생활 속 전기 자기의 성질과 현상을 연구한 과학자들과 그들이 밝혀낸 법칙과 현상을 담고 있다. 기원전 600년 경 그리스 사람들이 발견한 정전기 이야기를 시작으로 정전기가 생기는 이유,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에 이용되는 정전기까지 상세하게 들려준다. 최상훈|고래실 ▶주머니 속 곤충도감=곤충을 이름별로 찾아볼 수 있고 야외에서도 편히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은 곤충도감. 친근한 곤충 200여종의 사진과 사는 곳, 겨울잠 자는 곳, 나타나는 때 등의 정보들을 실었다. 곤충에 대한 개괄적 설명과 채집과 관찰, 표본 등의 정보도 제공된다. 조영권|황소걸음 ▶시끌벅적 일본 원정기=노빈손의 세계 역사탐험 시리즈 4번째편. 일본의 역사와 유물, 전통문화, 오락문화, 최근의 한일관계 등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다방면을 살폈다. 현재 EBS에서 방송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의 재미있는 문체와 만화 일러스트가 읽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한희정|뜨인돌 ▶준비됐나요?=15세 사춘기 소녀가 고모와 함께 풀어쓴 성 이야기. 변화를 겪는 여자 아이들의 신체에 대한 지식을 전해준다. 아이들이 물어보기 쑥스러워하는 질문에 대해 쉽고 구체적인 답변을 담았다. 부모
2005-08-11 14:01"노력없이 얻은 財는 災" 아들에 훈계 오늘에 되살리고 싶은 어머니를 통한 사도(師道)는 비일비재하다. ‘일사유사(逸士遺事)’라는 문헌에 나오는 김학성 어머니 이야기도 그중 하나다. 순조무렵 한양에 한 청년 과부가 아들 둘을 어렵사리 기르고 있었다. 셋방 살면서 품을 팔고 삯바느질을 하여 근근히 풀칠하고 사는데 어느 비오는 날도 마루에 나와 삯바느질을 하고 있었다. 한데 처마에서 떨어지는 짚시랑물 소리가 이상하게 들렸다. 흙위에 떨어지니 울음소리가 나지 말아야하는데 마치 쇠판위에 떨어지는 듯한 소리가 났다. 수상히 여겨 그 소리 나는 곳을 파 보았더니 큰 가마솥이 묻혀 있는지라 그 솥뚜껑을 열어보니 금 패물이 가득 차있음을 보았다. 전화(戰禍)가 잦아 피난을 자주 떠나야했던 한양의 명문 귀족이나 부자집에서는 피난을 떠날때 이 금패물들을 남몰래 땅속에 묻고 떠나는 관행이 있었다. 살아 돌아오면 다시 파내어 가질수 있지만 오고 가는 도중에 죽어 묻은 지도 묻은 곳도 모르게 된 지하자원이 적지 않았다. 김학성 모가 우연히 발견한 이 금패물 솥도 그런것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김학성 모는 그 솥을 다시 그 땅속에 묻고 전세돈만 받아 오막살이 하나를 구해 이사
2005-08-05 10:37졸업 후 오래도록 기억하는 선생님들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친 분일까. 정말 잘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일까. ‘미국 최고의 교수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뜨인돌)는 이 질문의 답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뉴욕대학교 ‘최고 교수법 연구소’ 소장인 저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동한 100여 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15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최고의 교수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 저자는 최고 교수들의 교수법을 여섯 가지로 요약하고 있는데, 첫째 최고의 교수들은 자신의 전공 이해가 뛰어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문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파악하고, 학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예화나 인상적인 질문을 통해 근원적인 이해를 구한다. 대개의 교수들이 지식 전달자에 만족하는 데 반해, 이들은 학생들이 이해의 지평을 넓혀 그 이해가 학생들이 생각하고 행위하고 느끼는 방식에 지속적이고 본질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학습에 중점을 둔다. 둘째, 최고의 교수들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에 초점을 두고 강의 준비를 한다. 그래서 질문의 폭이 넓고 깊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경로를 통해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최고의 교수들은 학교가 학생에게 요구하
2005-08-04 09:09'빗질하지 않은 텁수룩한 머리에 사슴을 닮은 선한 눈빛. 어수룩한 얼굴. 그래서 보는 것만으로 왈칵 눈물이 쏟아질 것 같은 선량함. 한번 한 약속은 결코 어기지 않는 투박하지만 바위 같은 신의를 가진 남자. 그래서 기적 같은 사랑을 얻은 남자'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푸른역사)의 공동저자인 소설가(이기담)의 가슴속에 있던 온달의 모습입니다.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어려서부터 들어온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들 속에 가라앉아있던 온달의 이미지도 이기담 선생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소설가와 역사가(임기환)가 만나, 고증되지 않은 하나의 이야기를 더듬어 가는 과정은 상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녹녹치 않았습니다. 설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의미를 건져 올리려는 소설가의 풍부함과 고증을 통한 진실의 전달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사가의 엄격함. 3년이라는 기간 동안 이기담 선생은 온달의 이미지를 놓지 않았고 그의 상상력이 실증의 선을 벗어나려할 때, 임기환 교수는 옷자락을 붙잡아 제자리에 도로 앉혀두었기 때문입니다. 처음의 순박하고 바보스럽던, 그리고 기적 같은 사랑을 통해 기적 같은 변화를 겪은 온달은 그렇게 점점 구체화되어갑니다. 소설가는 마침내, 온
2005-08-04 09:0770년대 석유, 천연가스 부존 가능성 제기로 분쟁 시작 중국의 일방적 영유권 주장으로 아세안의 결속을 강화 6개국 걸친 국제분쟁, 무력 충돌은 중·베트남간만 발생 해양자원 공동개발 이해 일치하면 평화적 해결 여지도 20세기 이후 해양 영유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각국에서는 장기적인 해양 전략을 통해 자국의 해양 영유권을 확보하기 위한 각축전이 전개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육상의 국경문제는 어느 정도 정리되었지만, 해양의 영유권은 모호한 채로 남아 있어 새로운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영토분쟁은 대부분 정치적으로 비화되어 상대국 국민들의 민족주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도화선 구실을 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영토분쟁은 역사적인 이유로 특히 민감하다. 즉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으로 비롯된 식민지, 반식민지 상황의 경험으로 상호 배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어 신뢰를 구축하기 어렵다. 특히 해양 영토분쟁은 뚜렷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고 당사국 사이의 협상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상호 불신과 민족 감정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동남아시아 각국 해양 영유권 분쟁의 특징은 중국과 여타 국가의 대립이라는 점이다
2005-08-02 15:04학교가 父性을 대신할 수는 있어도… 이기적인 아이들 요즈음 아이들의 인성이 너무 이기적이요 남을 배려하는 정신적 정서적 배려가 전혀 결여 돼 있음이 자주 지적되고있다. 그가장 큰 요인이 어머니가 스승으로서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자녀의 사람됨을 위하여 잘잘못을 따져 끊고 맺음을 엄연히 하는 것이 부성원리(父性原理)요 잘잘못을 가리기 이전에 감싸고 포용하는 것이 모성원리(母性原理)다. 인간에게 있어 가장 최초의 그리고 가장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교육이 가정교육이요 그 스승이 바로 아버지와 어머니다. 한데 가정에 아버지 어머니는 있어도 스승은 증발하고 없다. 부성원리는 학교 교육으로 계승될 수 있지만 인성 형성의 주춧돌인 모성 교육은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스승으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은 막중한 것이다. 그 스승으로서의 어머니로 가장 훌륭한 세분을 꼽는데 바로 학자 이율곡의 인성을 길러낸 신사임당과 서성(徐省)의 충의를 길러낸 어머니 이씨 그리고 명필을 길러낸 한석봉의 어머니를 든다. 이들이 명사가 되었기에 어머니의 스승으로서의 훌륭함이 드러난 것일 뿐 그에 못지않은 어머니 스승이 비일비재하다. 순조 때, 호조판
2005-08-01 15:14▶나는 하늘을 날고 싶다=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행기계에서 우주 범선까지, 항공공학의 역사와 미래를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고 있다. 각 장마다 비행기와 비행선, 헬리콥터 등의 비행 원리와 구조를 정리했으며 국내 모형 항공기 대회, 더 읽어 볼만한 책을 소개해 항공공학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이동호|랜덤하우스중앙 ▶황우석의 꿈=‘배아줄기세포 연구’로 세계를 놀라게 한 과학자 황우석 교수의 꿈과 도전을 동화 형식으로 구성했다. 이 책에서는 농촌 마을에서 태어난 황우석 교수가 가난을 딛고 꿈을 하나씩 이루어가는 모습, 화려한 업적 뒤에 숨겨진 그의 인간적인 모습과 고뇌, 도전정신을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상화|동서문화사 ▶한글의 슬기와 세종대왕=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된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배경과 글자의 원리, 역사, 미래를 다룬 책. 한글에 대한 각종 자료 사진과 함께 세종대왕 기념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세종대왕의 일대기화를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이 먼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생생한 현실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한문희|꿈이있는세상 ▶하루 동안의 공부파업=소년 루도빅은 빡빡한 일정을 피해 잠만 쿨쿨 자는 것이 유일한 소원이다. 루도빅은 자신의 고민을 베개에게
2005-07-27 13:13아버지가 글 동냥해 千字文 만들어 천명이 쓴 천자문 세조 때, 석학인 金守溫(김수온)은 책을 빌리면 책장을 찢어 옷소매속에 간직하고 길을 오가면서 외웠다. 외우고나면 버려버리므로 한질을 다외우면 책 한권이 없어지곤했다. 언젠가 申叔舟(신숙주)에게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古文選(고문선)’이 있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빌려왔다. 한데 가보로써 곁에서 놓지않던 이 책을 갚는다는 날 갚지않은지라 마르내에 있는 그의 오두막집을 찾아갔다. 방문을 열어보니 그 고문선을 낱장마다 찢어 벽과 천장에 누덕누덕 붙여놓고 있었다. 앉아 외우고 누어 외우느라고 그러했다고 했다. 김수온은 어릴적 서당 다닐때부터 외우고나면 책장을 버리는 奇癖(기벽)이 있었는데 그러해야만이 암송농도가 진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극히 예외적인 일로 그같은 교과서 파괴는 불가능한 일 이었다. 옛날 자제의 교과서를 만들어주는 부형의 노고만으로도 그러할 수가 없었다. 천자문 가르칠 나이가 되면 아버지는 글동냥이라하여 鄕試(향시)이상의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이 고을 저 고을 찾아다니며 한 두자씩 써 달라해서 자식의 교과서를 만들었다. 어쩌다 알음을 통해 고명한 분의 글씨를 얻으면 그 글자만을 종이로 가려 아무나…
2005-07-25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