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시험감독 때였다. 시험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 학생이 손을 들어 질문을 했다. 그 학생은 평소에 학과에는 관심이 없고, 학교급식 식단표를 보물처럼 간직하며 아이들에게 오늘의 식단을 전달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아이였는데 수학시험시간에 질문을 할 것이 있다하여 나는 깜짝 놀랐다. 그러나 그 학생의 심각한 질문은 나를 더 놀라게 만들었다.
“선생님 대결이라는 말이 무엇입니까?” 마침 교장선생님께서 출장 중이어서 교감선생님께서 결재를 하셨는데 대결이라는 말이 궁금했던 지 시험과 관계없이 질문한 것이었다. 뜻하지 않은 질문에 어이가 없어 어떤 말을 해야 할지 잠깐 생각을 하는 사이에 다른 학생이 점잖게 안다는 듯이 대답을 했다.
“대결, 음, 그건 한 판 붙자는 말이다”라는 예상을 뛰어 넘는 답이 그 순간에 나왔다. 그리고 연이어 터지는 질문들. “선생님 교장선생님과 교감선생님이 대결하면 누가 이겨요?”
팔이 더 긴 교장선생님께서 이기실 것 같다느니, 체격이 좋으신 교감선생님께서 이기실 것 같다느니, 호기심으로 가득 찬 교실을 금방 시끄러워졌다. 많은 학생들이 잠시 시험이라는 것에서 벗어난 듯 즐거운 난리가 났다.
“한 판 붙으면 누가 이길지 알 수 없고 나중에 알게 되면 가르쳐 줄 테니 문제나 풀도록 해라”는 말에 아쉬운 표정의 아이들은 시험을 이어갔다.
시험 참관을 오신 학부모님과 나는 눈을 마주치며 소리 없이 웃었다. 그리고 질문을 한 학생은 점수를 하늘에 맡기고 여유 있는 표정으로 돌아갔다. 그 날 오후 시험을 잘 쳤느냐는 나의 물음에 다 틀리는 줄 알았는데 생각지도 않게 3개가 맞았다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서 하는 말은 “선생님 오늘의 식단은요……”
사람에게는 저마다 살아갈 능력을 준다고 했다. 그 학생에게 준 능력을 우리들은 찾아 주어야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