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어떻게 선플운동을 시작하셨습니까?
“2007년 모 가수가 자살한 사건이 있었는데 한 사람이 악플로 인해 죽음에까지 이르렀다는 것이 너무 충격적이었습니다. 강의 내용을 구상하다 학생들에게 이 문제에 대한 과제를 내주기로 했죠. 제 강의를 듣는 학생 570명에게 악플로 고통받는 유명인의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찾아서 그 내용이 왜 잘못됐는지 분석하고 격려의 선플을 10개씩 달라고 과제를 냈습니다. 단순히 학생들에게 인터넷의 폐해를 알려주려고 시작했던 일이 일주일 만에 5700개의 선플이 달리면서 세상에 알려지고, 사회 운동으로까지 번지게 된 것이죠. 그해 5월 뜻을 같이하는 분들과 함께 선플달기국민운동본부를 만들었고 2년 동안 열심히 뛰었습니다.”
‘왜 영어 선생님이 선플운동이냐’라는 질문을 가장 많이 받으실 것 같습니다.
“다른 것 같지만 사실은 같습니다.(웃음) 저에게는 결국 ‘소통’의 문제입니다. 영어는 외국인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이고, 인터넷도 사람들 사이의 소통의 도구입니다. 이런 소통을 통해 조그마한 의견 교환부터 국가분쟁까지 일어나죠. 선플은 인터넷을 매개체로 대화하는 좋은 의사소통입니다. 선플운동을 통해 사람들이 사회를 따뜻하고 아름답게, 제대로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선뜻 운동에 나서기는 쉽지 않았을 텐데요. 무엇이 이사장님을 선플운동에 앞장서게 했나요?
“점점 사회적으로 연륜이 쌓이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사회에서 많은 혜택을 받은 만큼 뭔가 기여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사회환원운동이 영어교육과 선플운동과 같은 의식개혁운동이라고 봅니다. 좋은 인터넷 문화를 정착시키고, 이로 인해 서로 용기와 희망을 주는 문화를 만들어 가면서 사람들의 생명을 살릴 수도 있는 생명운동을 펼친다는 데 남다른 보람을 느낍니다. 이 세대에서 끝나는 운동이 아니라 다음 세대도 이어갈, 그런 의미 있는 운동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평소에도 사회운동에 관심이 많으셨습니까?
“개인적으로 우리는 2만 달러가 아니라 적어도 4만 달러의 국민소득을 가질 수 있는 뛰어난 민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거 없이 남을 비방하고 깎아내리는 일부의 잘못된 행태가 국가 발전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2005년 국악의 ‘추임새’를 응용해 다른 사람들을 격려해주자는 ‘추임새 운동’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사회운동을 펼친다고 당장 의식개혁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이런 시도들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봅니다.”
“칭찬보다 악플이 우세한 인터넷 세상” 악플에 대한 대처법이 여러 가지가 있을 텐데 특히 ‘선플’을 생각하신 이유가 있나요?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생활에 많은 편리를 가져왔지만 반대로 잘못 사용하면 목숨을 빼앗는 가공할만한 무기도 될 수 있는데 그것에 대해 사람들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아요. 익명성을 담보로 상대방을 깎아내리고 비난하며 인격을 모독하는 일이 너무 쉽습니다. 발상을 전환해서 악플이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이라면, 악플의 반대인 선(善)플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최근 악플의 폐해를 막기 위한 사이버 모욕죄 도입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별한 법을 통한 규제보다는 인터넷 실명제와 캠페인을 통한 자율 시행이 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안전벨트를 예로 들면, 옛날에는 안전벨트를 매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지만 요즘에는 모든 운전자가 매고 있습니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으면 벌금을 내기 때문이고,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캠페인을 한 덕분입니다. 이렇게 적절한 규제와 캠페인이 지속적으로 된다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 기르는 선플운동”
선플 운동은 어떻게 추진하고 계십니까?
“우선 매해 11월 첫째 주 금요일을 ‘선플의 날’로 선정했습니다. 올해는 11월 6일이었는데 그날 잠정적으로 30만 명 정도가 선플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운동본부 홈페이지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참여도가 높았어요. 선플운동을 널리 알리기 위한 선플만화, 선플송을 제작하고 UCC 대회도 여는 등 다양한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또 선플운동을 함께 할 학교도 모집하고 선플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와 지도서도 만들어 배포하고 있죠.”
사회 운동으로 시작하셨는데 특히 학교에 집중하시는 것 같습니다.
“선플운동은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앞으로도 사회를 이끌어 갈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을 배려하고 용기를 주는 운동이라는 점에서 인성교육을 위해서도 아주 중요합니다.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가듯, 어릴 때부터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제대로 의식교육이 된다면 가장 바람직하고 좋은 일이죠. 학교에서 근본적으로 교육되고 사회운동도 활발히 펼친다면 세월이 흐를수록 더 우리 사회를 빛나게 해줄 운동이 될 것입니다. 특히 유치원,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첫 시작, 아름다운 댓글로 합시다’라는 캠페인을 벌이고 싶어요. 선플운동에 선생님들께서 많이 동참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영어 교육 전문가이신데, 우리 영어교육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한국 사람이 영어를 못하는 이유는 제대로 된 영어를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외국인과 얼마나 유창하게 대화할 수 있느냐인데 우리가 배우는 영어는 실용영어 중심이 아니라 입시준비를 위한 독해와 문법입니다. 일반적인 학교교육으로는 영어로 대화할 수 없기 때문에 회화를 배울 사람은 사교육에 의존하거나 어학연수를 떠날 수밖에 없고 정작 중요한 회화는 대학생이 돼서야 시작하죠. 공교육에서 영어가 잘되려면 실용영어 중심으로 가야 합니다. 그 부분에서는 사교육이 앞서 있기 때문에 그들이 가진 장점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해요.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교사 연수로 새로운 교수방법을 도입하고 이것을 평가해서 교실 현장에 도입한다면 우리 공교육 영어도 성공할 수 있습니다.”
영어를 공부하는 데 있어 중요한 키워드가 있다면.
“영어도 훈련입니다. 박지성 선수는 30만 번의 킥 연습을 해야 한 골을 넣는다고 합니다. 그에 비하면 우리는 열 번 정도 외워본 다음 영어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에게 운동하느라 바쁜 박지성 선수도 영어를 하는데 공부만 하는 너희들이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합니다.(웃음) 박지성 선수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영어를 잘하게 된 것은 자신과 직접 관련된 ‘축구’라는 전문분야를 위한 영어훈련을 집중적으로 했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자기 분야와 관련된 생활영어를 만들어서 집중적으로 훈련한다면 영어는 결코 높은 장벽이 아닙니다.”
“내 경쟁력은 Creative”
이사장님만의 경쟁력은 무엇입니까?
“제 경쟁력은 크리에이티브(Creative)입니다. 어떤 일을 할 때 남이 하지 않는 분야를 준비합니다. 창의력이 없으면 새로운 것을 시작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끊임없이 생각하고 활동하는 것 자체가 저에게 젊음과 활력을 주고 깨어나게 하죠. 지금도 내년 G20 정상회의를 준비하기 위한 ‘대한민국 국격 높이기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어요. 문을 열고 나오면서 다음 사람을 위해 문잡아 주기, 상대방과 대화하며 치지 말기 등 상식만 갖춘다면 어렵지 않게 실천할 수 있는 일들입니다. ‘88 올림픽’으로 세계에 우리나라를 알렸듯이 ‘G20 정상회의’도 우리나라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런 기회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저력을 보여주고 외국 손님맞이를 위해 국격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생각들을 해내고 실천하며 남다른 보람을 느낍니다.”
앞으로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
“제가 하는 일이 대학에서의 영어교육이기 때문에 더욱더 열심히 해서 학생들이 영어로 제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가르치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입니다. 또 내년 선플의 날에는 100만 개의 선플을 달성하고 더 나아가 중국, 일본, 미국 등에 선플운동을 널리 알려 인터넷 세상에 1억 개의 선플을 다는 게 제 목표이자 희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