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30.6℃
  • 맑음강릉 28.4℃
  • 구름조금서울 31.2℃
  • 맑음대전 29.9℃
  • 구름조금대구 30.7℃
  • 구름많음울산 26.6℃
  • 구름조금광주 29.8℃
  • 흐림부산 25.8℃
  • 맑음고창 28.6℃
  • 구름많음제주 25.8℃
  • 맑음강화 27.0℃
  • 맑음보은 28.9℃
  • 맑음금산 29.2℃
  • 구름많음강진군 28.4℃
  • 구름많음경주시 28.2℃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과학 기술 관련 토론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우리의 삶을 편하게 해주고 있지만 고민해봐야 할 문제들도 있다.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우리는 깊이 있는 사유나 고민의 시간을 잃게 되는 한편 도덕적·철학적 사유가 뒷받침되지 못하는 과학기술은 살인적인 무기로 돌변하기도 한다. 우리 아이들은 미래 과학기술 발전의 주체이기에 토론을 통해 이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와 사고를 가지게 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최근 한 케이블 방송의 드라마가 큰 화제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드라마는 현재 30대의 향수를 자극했다. 당시의 음악과 유행하던 옷이 소재가 됨으로써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당시의 휴대전화였다. 큼지막한 크기는 현재의 시각에서 보면 어마어마하게 느껴진다. 필자의 기억이 맞다면 처음 컬러 휴대전화가 나온 것이 2001년으로, 이전까지 흑백 휴대전화가 전부였던 상황에서 컬러로 된 화면(지금에 비하면 흐리고 조악한 색상이지만)은 혁명적인 변화였다. 그 휴대전화를 보며 한 친구가 장난스런 말투로 했던 말이 떠오른다. “이러다 전화기로 텔레비전도 보고, 인터넷도 하겠네.” 그 말은 이미 실현된 지 오래다. 우리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기술은 빠르게 진보하고 있다. 어제의 최신 제품은 이미 낡은 것이 되어버리는 세상이다.
과학기술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각종 질병과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해주었고, 빠른 속도와 엄청난 힘으로 우리 인류의 삶을 편하게 해주고 있다. 그러나 과연 과학기술의 발전이 우리에게 좋기만 한 것인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모습은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집중하고 있다. 책과 스마트폰을 횡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스마트폰으로 어떤 일을 하고 있으며 어떤 정보를 얻고 있는가 냉정하게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깊이 있는 성찰이 배제된 흥미위주의 단편 지식을 손쉽게 얻고 있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스마트해진 것은 사람이 아니라 기계 자체가 아닐까?
과학기술의 발전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우리 삶을 이끌고 있다. 올바른 방향 판단과 적절한 제어는 반드시 필요하다. 도덕적이고 철학적 사유가 뒷받침되지 못한 속도는 살인적인 무기로 돌변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의 업적이 인류에게 원자폭탄으로 변해 돌아온 것은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인간의 방향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확인시켜준다.
과학기술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다. 우리 아이들은 과학기술 발전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과학기술과 관련된 심층적인 논의와 고민이 필요하다. 토론의 과정을 통해 과학기술의 방향성과 기저를 이루어야 할 철학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 관련 문제에서의 쟁점 추출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