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의 상황에서 무력화되는 인간 작년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에볼라가 세계를 공포에 떨게 했다. 치사율이 90%에 이르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바이러스 때문에, 우주도 정복할 기세의 우리 인류가 한 순간에 무력화될지도 모를 일이다. 알베르트 카뮈의 <페스트>는 14세기에 유럽을 휩쓸며 당시 유럽인들의 생존을 위협하였던 페스트가 평화로운 바닷가의 한 도시에서 갑자기 다시 나타난다는 이야기이다. 발병 당시, 유럽 인구가 1/5로 감소하고, 경제 기반 자체가 흔들릴 정도로 엄청난 시련을 안겨줬던 무시무시한 질병이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다는 설정은 오늘날의 재난 작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이 작품은 2차 대전 이후 최고의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중요한 작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카뮈에 대해 ‘실존주의적 작가’라는 아주 어렵고도 추상적인 칭호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어려운 설명을 떠나 그의 작품 <페스트>가 시대의 고전으로 읽힐 수 있는 것은 공포의 상황 속에서 인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그렸다는 점 때문이다. 고전은 시대를 초월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페스트>는 우리에게 어떤 점을 생각하게 할까?
-줄거리 오랑시에 살고 있는 리외(의사)는 어느 날, 쥐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피를 쏟으며 죽어가는 것을 본다. 얼마 후, 오랑시의 몇몇 사람들의 임파선이 굳고, 종양과 반점이 생기며, 고열까지 동반하면서 48시간 만에 사망하는 사건이 생긴다. 리외는 의사들과 의논한 끝에 페스트로 판정하고, 행정당국에게 폐쇄 조치를 하도록 건의한다. 결국, 오랑시는 격리되고, 사람들은 페스트의 한 가운데 갇히게 된다. 사망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행정당국과 리외를 비롯한 오랑시의 의사들은 위생 문제와 시체처리 문제, 격리 문제, 치안 문제와 혈청 보급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이에 오랑시에 머물면서 주변 사람들을 세심하게 관찰해왔던 타지인 타루와 성실한 공무원 그랑, 오랑시에 취재하러 왔다가 페스트로 인해 격리 조치된 랑베르, 그리고 유명한 신부 파늘루를 중심으로 보건대가 조직되어, 자구책이 마련되기 시작한다. 리외를 포함한 이 다섯 인물은 페스트라는 적과 힘겹게 싸우며, 성실하게 자신의 맡은 일을 하고, 우정을 쌓아가지만 각기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페스트의 위용이 극에 달할 즈음, 파늘루 신부는 신앙과 인간의 사이의 문제에서 고뇌하다 생명을 잃게 되고, 타루 또한, 페스트의 기세가 꺾여 잦아들 때, 페스트에 걸려 숨을 거두게 된다. 리외는 절친한 친구 타루의 죽음과 오랜 지병으로 오랑시 바깥 지역에 요양하고 있던 아내의 사망 소식을 들음과 동시에 오랑시가 페스트로부터 해방됨을 목격하게 된다. 페스트의 흔적을 애써 지우려는 듯, 활기에 찬 오랑시의 시민들의 모습을 보며, 리외는 아직도 곳곳에 숨어 인간의 삶을 덮칠 기회를 엿보는 페스트의 기운을 느낀다.
2. ‘페스트’ 들춰 보기 이 작품은 단순히 의학 소설이나 재난 소설과 다른 차원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인간 보편의 심리와 다층적인 접근, 당시 시대 상황과의 관련성 등 다양한 의미가 추출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