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육의 종말 헤르만 기섹케/ 내일을여는책 독일의 교육학자 헤르만 기섹케의 저서 '교육의 종말: 가족과 학교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 을 완역한 책. 1985년 출간된 이래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이 책은 교육학 분야에서는 보기 드물게 베스트셀러를 기록, 이제는 고전으로 자리잡고 있다. 학교와 이를 둘러싼 여러 제도들의 교육적 역할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기섹케는 이 책에서 '실물교육'에 대한 고민과 경험을 엮어내고, '이론교육'의 피할 수 없는 관념적 맹점을 극복하고 있다.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강대중 / 박영률출판사 직접 방문 또는 서면을 통해 인터뷰한 12개 대안학교들의 실태가 담겨있다. 저자는 누가 어떻게 교육시키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학생 개개인이 즐겁게 공부하고 배울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위탁교육 확대와 같은 대중적 처방이 아니라 교육제도를 학습자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러한 기본 가치 아래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현황, 운영자들의 고민과 해결과정, 법률적 쟁점 등을 자세히 언급한다. 훌륭한 교사가 되는 길 윤정일 외/ 교육과학사 훌륭한 교사란 어떤 교사일까. 또 훌륭한 교사가 되려면 무엇을 해야할
2002-07-08 00:0018년을 경남 통영시 인근의 낙도 5곳에서 보낸 박대현(64) 안선자(63) 부부. '섬마을에 심은 희망 나무'는 그들의 섬 마을 교사 생활을 정리한 회고록입니다. 회고록 곳곳에는 생활고에 지친 부모들의 무관심 속에 방치된 섬 아이들을 보며 느낀 그들의 안타까움과 애정이 담겨 있습니다. 부모의 뜻을 따라 교육자의 길을 걷는 세 자녀에게 감사하다는 영원한 섬마을 선생님. 작년 2월, 나란히 정년퇴임 한 부부는 서문에 이렇게 적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섬을 떠났다. 교직 생활도 마무리했다. 우리뿐 아니라 섬도 변했다.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나가면서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활기도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마음 속 깊숙한 곳에는 언제고 돌아가고 싶은 그때 그 섬이 남아 있다.”라고. 박대현/ 조선일보사
2002-07-08 00:00브라질의 빈민지역 레시페에서 태어난 프레이리는 굶주림과 고통의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합니다. 불현듯 '제제'가 떠오른 것은 아마도 그 때문이었을 겁니다. '제제'는 브라질 작가 바스콘셀로스의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의 주인공입니다. 실직한 아버지와 가난한 인디언의 딸을 어머니로 둔 제제. 오래 전에 읽은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기억 속으로부터 또렷이 달려나오는 대목 하나. 그 것은 아들이고 싶을 만큼 따르고 사랑했던 뽀르뚜가 아저씨가 기차에 치어 죽자, 제제가 기차를 향해 '살인자'라고 외치는 장면입니다. 살인자!! 제제의 외침은 그때나 지금이나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가난'이라는 브라질의 현실과 겹쳐졌습니다. 850만 평방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비옥한 국토를 가진 나라 사람들이 굶주림에 시달린다는 사실은 믿기지않는 일입니다. 인구의 70%이상이 문맹임에도 교육은 임금을 상승시키는 요인이라며 우민화(愚民化)정책을 답습하고 있는 나라. 교육을 명백한 정치과정으로 규정하고 의식화 교육이론을 이끌어 낸 프레이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난과 무지에 찌들어 있음에도 브리질 사람들은 삼바와 축구에 열광하는 여유와 선량한 낙천성을 지녔습니다. 제제 역시
2002-07-08 00:00“목표가 그것밖에 안 돼? 난 한국팀이 결승에 오르면 산낙지를 먹겠다.”- 2001년 울산 횟집에서 핌 베어벡 코치가 ‘한국팀이 월드컵 4강에 오르면 산낙지 먹는 걸 도전해보겠다’며 위기를 벗어나자, 히딩크 감독이 베어벡 코치를 나무라는 척하며 다른 음식을 먹으면서 'CEO 히딩크:게임의 지배'(바다출판사) 중‘He Thinks, He Says’란에 나온 말입니다. 기지와 재치가 넘치는 그의 말은 어느 인터뷰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자칫 허장성세나 언어유희에 그쳐버릴 수 있는 말에 신뢰성을 부여한 것은 히딩크가 말을 증명하고 실천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가 산낙지를 먹어보지 못하고 한국을 떠난 게 아쉽습니다.
2002-07-08 00:00수학동아리 김부윤·엄장일 옮김/ 보성각 구 소련시대의 레닌그라드에서 수학경시대회, 수학올림픽 등을 준비하는 중학생들을 위해 많은 대학교수,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모여서 수학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 그 결과를 종합한 수학 참고서. 수학을 생각하는 학문이라고 학생들이 여기도록 지도할 수 있는 책으로 미국 수학회가 96년 번역, 출간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각종 경시대회 준비, 영재학급 운영에 사용하면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21세기 자녀교육 김형태/ 한남대학교 출판부 교육은 시간과 공간이 교직(交織)을 이루는 관계망이다. 그렇다면 새로운 세기의 자녀교육은 어떤 교직을 통해 가능할까. 저자는 창의성 계발문제, 성교육, 가치관 정립, 좋은 아버지의 역할 등 현대 교육적 문제와 관혼상제와 태교를 비롯한 전통적 가정교육을 그 관계의 핵심으로 보았다. 아울러 미국, 일본, 유대인들의 자녀교육 방법과 상담을 통한 인간관계훈련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설명, 21세기 자녀교육의 해법을 제시한다. 수업연구와 실제 유택열/ 교육과학사 장학활동의 핵심은 수업장학이고 수업장학의 핵심은 수업연구다. 이 책은 저자의 35년 생생한 현장체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학에
2002-05-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