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은 곧 우리 민족의 혼’ 민족주의적 언어관 한글문화창조·문자 과학화·한글세대 형성에 기여 주시경 선생을 통해 한글을 만나다 외솔 최현배는 1898년 10월 19일 경상남도 울산군 하상면 동리(現 울산시 중구)에서 최병수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외솔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어른들의 칭찬을 한 몸에 받았으며, 6살 때 서당에 다녔고, 울산 일신학교(現 병영초)에서 신식 교육을 받았다. 일신학교를 졸업한 후 외솔은 혼자 경성에 올라와 한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시험을 봤다. 전국에서 75명만 뽑는 수제들의 학교에 합격했지만 불행하게도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로 나라를 일제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따라서 학교 이름도 경성고등보통학교로 바뀌고 교장도 일본인으로 바뀌었다. 나라 잃은 슬픔과 울분에 방황하던 외솔은 김두봉의 안내로 한힌샘 주시경 선생을 만났다. 상동교회에서 열린 조선어 강습에서 주시경 선생을 처음으로 만나는 것이다. 상동교회는 당시 전덕기 목사가 담임목사였는데 독립운동의 본산지로서 많은 애국지사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여기에서 외솔은 주시경 선생을 통하여 ‘한글’과 ‘나라사랑’이라는 두 주제를 만난다. 이로서 주시경 선생은 외솔의 연원한 스승이 됐고, 국
2009-10-12 09:47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는 교육문제. 그러나 그 원인과 해결책 모두 지나친 교육열에 떠넘기는 데에 그치고 만다. 이에 한국교육학회장을 역임하고 평생을 교육학 연구에 매진했던 정범모 전 한림대 총장이 우리 교육의 고질화된 병폐에 대해 짚어내고 해법을 제시한 교육의 향방이 발간됐다. 저자는 우리 교육의 현실을 애꾸눈 원숭이 나라에서 두눈박이 원숭이가 주변의 놀림에 결국 눈 한쪽을 도려내는 우화에 비유하며 정상과 비정상이 도착돼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현재의 입시열풍을 비판하며 인재를 확보하는 정도(正道)는 적절한 교육에 의해 길러내는 것이지, 평가에 의해 골라 뽑는 것은 미개 사회의 특징이라고 꼬집는다. 학교 성적 우등생으로 뽑아 들이는 영재학교, 영재반의 영재는 시험선수일 뿐으로, 영재는 집단 교육만으로는 탄생하지 못한다고 제언한다. 이 책을 통해 교육과정의 구조나 지원구조, 교사론에서부터 교육의 방향을 결정짓는 인간관, 사회관, 지식관 등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2009-10-08 10:19백제가 완전히 멸망하자 나당 연합군은 약속대로 그 창끝을 고구려로 향하였다. 당시 고구려는 연개소문 장군의 막부정치로 강성함이 유지되었으나, 그가 임종을 맞을 즈음에 위기가 찾아왔다. 그는 세 아들을 모아놓고 화살 3개를 주며, “이를 분질러 보아라”라고 하였으나, 아무도 이를 꺾지 못하자, 하나씩 주면서 다시 꺾으라고 하였다. 이에 세 아들이 하나씩 화살을 꺾자, “내가 죽으면 우리 고구려의 운명은 이 화살과도 같을 것이다. 너희 셋이 힘을 합치면 고구려는 유지 될 것이고 흩어지면 망할 것이니 부디 명심하여 잊지 말거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세 아들은 서로 권력을 잡으려고 다투다가, 결국은 장남 남생은 신라로 투항하고 두동생도 역시 갈등해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나당 연합군의 공격에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무너졌다. 668년 9월, 700백년을 이어온 긍지 높은 고구려의 기상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된 것이다. 웅장했던 기마민족의 영광! 영웅스럽기까지 하던 우리 민족의 만주사가 우리의 역사 속에서 지워져가는 비통한 순간이었다. 이로써 6000년 전 인류 최초의 홍산문명을 만들어 대륙을 누비던 기마민족은 여기에서 그 빛을 잃게 된 것이다. 돌이켜보면 고대에
2009-10-07 09:37백제와 일본의 혼인 동맹은 그저 허무맹랑한 일본 역사 이야기일까. 2000년대 실제로 충남 공주에 있는 무녕왕릉 발굴조사에서 나온 왕의 위패에서, 그가 태어난 것은 일본 규슈북단의 가라쓰(唐津=원래는 韓津)의 앞섬인 가가라지마(加唐島)라고 하는 기록이 발견됐다. 이는 왕녀가 산달이 되어 친정인 일본으로 아기를 낳으려고 아츠카로 돌아가는 도중에 조산해 이 섬에서 태어난 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이 가가라섬 ‘가거라’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잘 가거라’라는 말이란다. 무녕왕(武寧王)은 백제 25대 왕으로써 501~523년까지 재위하였고,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북방영토를 넓히고 농업에 힘을 썼으며, 특히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한 왕이었다. 이야기를 돌려 고대의 소가 세력은 점점 비대해져 천황을 능가하게 되고, 백제의 명을 업신여기는 일이 잦아짐에 따라 백제는 그 대책으로 새로운 밀사 가마다리(鎌足)를 파견한다. 가마다리는 백제의 특사를 분장해 왕의 선물을 진상하는 척 하다가 갑자기 단도를 빼어 대신 소가이루카를 죽이는 대정변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일본사의 3대사건인 ‘대화개신’(大化改新)으로 645년 6월 13일의 일이다. 이리하여 다시 백제에 충성하는 가마다리
2009-09-15 15:57한때 ‘사대모화의 화신’으로 낙인…1980년대 이후 재평가 ‘나말여초’ 전환기의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 우리 것 부각, 민족의식을 사회통합의 원동력으로 삼아 불교·도가·유교 체득한 천재성 갖춰 최치원의 사상적 경향을 살펴볼 때, 그는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유자(儒者)로 자처하면서도 불교 및 도가사상에 정통했으며, 그 밖의 여러 사상을 한 몸에 체득했던 천재적인 사상가로서 한국사상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단순한 문장가가 아니요, 사상가이며 철학자였으며, 사변적이거나 논리적인 이론가가 아니었고 삶을 통해 도를 실현하고자 했다. 그의 철학사상은 차원이 높고 정연한 체계와 구조를 이룬다. 최치원은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12세 때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이기도 했다. 근자에 와서는 한국과 중국의 친선·우의를 다지는 차원에서 그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다. 최치원은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평가 받지 못했다. 일찍이 민족주의 사학자 단재 신채호는 김춘추·최치원
2009-09-07 10:29백제가 망했다는 비보가 전해지자, 야마토 조정은 곧바로 내륙이 아닌 바닷가 항구인 나니와(오사카)로 수도를 옮겼다. 그리고 661년 1월에는 또 다시 지금의 후쿠오카인 나노쓰로 천도를 감행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시 한 번 백제구원을 위한 당시 야마토국의 비장한 각오를 엿볼 수가 있다. 660년 8월 백제의 수도 사비성은 그렇게 어처구니없이 무너져 버렸다. 의자왕과 왕자들은 자결하고 페르샤 융단이 깔려 있었다던 그 화려한 왕궁은 한줌의 재로 화하였다. 이러한 급보가 일본 야마토(大和)조정에 전하여 진 것은 660년 10월, 그러니까 백제가 망하고서 두 달 후의 일이다. 당시 일본의 천황은 여제(女帝)로 사이메이(斉明)천황이었다. 청천벽력인가? 날벼락인가? 지금까지 하늘처럼 믿고 의지했던 피로 맺어진 동맹국 백제가 갑자기 사라진 것이다. 사실 사이메이 천황은 모계가 백제혈통이었으며, 당시의 재상인 후지하라 가마다리는 645년에 백제에서 건너가 재상을 살해하고 정권을 쥔 인물로 모든 군사권이 그의 수중에 있었다. 이때 일으킨 정변을 일본은 대화개신(大化改新)이라 하며, 이로써 왜가 일본이란 국명으로 바뀐다. 이를 본따 훗날 명치유신(明治維新)을 만드는
2009-09-01 10:23사람들은 시계가 항상 똑같은 걸음걸이로 간다고 하지만 나의 생각은 그렇지 않아. 내가 친구들과 재미있게 축구를 하거나 올 컬러로 된 만화책을 보거나 엄마 몰래 컴퓨터 게임을 할 땐 눈 깜짝할 사이에 저 멀리까지 달려가던 시계가 이것저것 생각하고 계산해야 되는 수학 시간이나 자글거리는 땡볕 속에서 운동회 연습을 할 땐 달팽이처럼 느릿느릿 걸어가는 것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지. 시계도 가끔씩은 우리들처럼 두 다리 쭉 뻗고 편히 쉬거나 가슴이 콩닥거리도록 달리고 싶을 때가 있는 게 틀림없어.
2009-08-31 15:36아침부터 매미가 제 울음을 굵은 체에 쳐서 볶는다 발가벗겨진 말복 햇살이 테팔 프라이팬에서 탁탁 튀어 따끔따끔하다 붉은 꽃 배롱나무가 고개 젖히며 몸을 털고 있다 전봇대에 납작 엎드린 털매미, 참매미, 애매미 상수리나무 어깨와 겨드랑이에 다닥다닥 붙은 쓰르라미, 깽깽매미, 두눈박이좀매미들 혼성합창경연중이다 정오쯤부터 개울 건너, 산 너머 재수생, 대학생 매미들까지 무더기로 프라이팬을 들고 몰려온다 동네 참깨, 들깨 죄다 퍼 날라 달달 볶는다 한쪽에선 기름에 지글지글 녹두지짐이, 육적굽기, 계란말이, 꼬치꿰기 야단법석 시끄럽다 앞마당 마른 솔가지 타는 화덕 국 끓는 열기에 옷이 다 젖는다 벽오동나무는 옆에서 부채질을 하고 있다 큰어머님, 작은어머님, 고모님, 누님들 까부르고, 뒤집는 프라이팬에 매미울음이 한 줌씩 뛰어들어 노릇노릇 익어간다 어머니의 첫 기일이다
2009-08-26 12:30가야 멸망 후, 한국은 본격적인 삼국 시대로 접어든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세력 다툼은 그 도를 더해 결국에는 중국의 당까지도 끌어들이는 합종연횡(合縦連横)이 일어나는데 요점만 적으면 다음과 같다. 589년에 중국을 통일한 수(隋)는 만주일대와 요서를 지배하고 있는 동이족(東夷族=말을 잘 타는 동쪽의 오랑캐) 고구려(高句麗)에 대한 근심을 제거하기 위하여 두 차례에 걸친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첫 번째는 수문제가 군사 30만으로 쳐들어 왔으나, 홍수와 전염병으로 대패해 철수했으며, 두 번째는 수양제가 113만 대군으로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까지 쳐들어왔으나, 살수(지금의 청천강)에서 을지문덕장군의 30만군에 크게 패하여, 살아 돌아간 자가 겨우 2700명에 불과하였다고 한다.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인해 결국 수나라는 건국 38년만인 618년에 망하게 된다. 고구려의 강인함과 한민족의 위대함이 섬광처럼 빛나는 시기였다. 수를 이은 당나라 역시 당태조가 직접 진두지휘하여 고구려 공략에 나섰으나, 안시성(安市城)전투에서 양만춘(陽万春)장군이 쏜 화살에 한쪽 눈을 잃고 철군한 당 태조는 화병으로 죽고 만다. 이렇듯 강한 고구려가 백제와…
2009-07-21 1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