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와 한국어가 아주 비슷하게 닮은 원인은 아무래도 고대 한국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그 기원을 찾아 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역사학자 이병도 씨는 그의 저서 ‘한국 고대사 연구’에서, ‘낙동강 유역의 변진족은 25개의 소국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그 중 12개 소국은 가야국으로써, 이들 가야국은 고대 이집트 문화가 나일강 유역에서 꽃피었던 것처럼 낙동강 유역에 가야 문화를 꽃피웠다’고 기술하고 있다. 낙동강은 경상북도의 태백산 황지(黄池)에서 부터 시작해 김해에 이르는 길이 5300㎞의 대하로서, 유역의 넓이는 34750㎡로 하구에는 삼각주 델타를 형성하고 있다. 풍부한 수량, 비옥한 토지, 온난한 기후로 일찍부터 농경문화가 꽃피었고, 양질의 철을 바탕으로 한 철기문화의 발달로 내륙의 타 지역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융성기를 구가했다고 한다. 가야국들 중에서도 특히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본가야(아라가야,下伽倻)인 구야국(狗邪国)이 특별히 번성하였는데, 이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함으로써 직접 바다로 나갈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춘 데다, 그들의 해운 기술이 크게 발달되었었기 때문이다. 당시 본가야는 주요 생산물의 집산지로서
2009-06-01 10:05공부론·정치론·자연론 등 주자학적 지혜 남겨 “배움은 완성된 인간이 되기 위한 삶의 과정” 평생 명예와 권력 뿌리쳐 퇴계의 일생에는 크게 세 단계의 전환이 있다. 첫 번째는 출생 이후 33세까지의 시기로서, 주로 집을 배경으로 공부한, ‘재가수학기(在家修學期)’라고 칭할 수 있다. 두 번째는 34세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한 이후 49세 지방군수직을 끝으로 사직서를 제출했을 때까지의 시기로서, ‘출사기(出仕期)’로 이름할 수 있다. 세 번째는 50세 관직을 떠난 후 고향에 돌아와 강학에 전념하다가 70세 세상을 떠날 때까지의 시기로서, ‘은거강학기(隱居講學期)’로 명명할 수 있다. 이상 세 단계로 보는 퇴계 일생은 빠르고 역동적이라기보다는 느리고 온화하며 점진적으로 전개되었다는 느낌을 준다. 겉으로 보기에 50세 이후 관직을 떠나 고향에서 강학에 몰두하기 전까지 퇴계의 삶은 특별히 남다른 점이 없다. 우리가 퇴계를 겨레의 스승으로 꼽는 근거가 주로 그의 ‘학문’과 ‘교육’에 대한 성취라고 보면, 그것은 50대 이후에나 본격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주요 저술들도 거의 이 때 쓰여 지고 제자집단과의 긴밀한 교육적 관계의 형성도 이 때 이루어진다. 그러
2009-05-18 09:42일본 가나의 ‘50음도’를 보면 첫말은 ‘아’이고 끝말은 ‘응’인데, 이것은 호랑이의 울음소리 ‘어-흥’을 나타낸 말이다. ‘아’는 모든 발음의 시작인 알파로써, 존경과 고귀함을 나타내는 말이다. 한국어의 ‘아버지, 아들, 아기’들의 고귀한 단어가 이 ‘아’ 에서 시작하는데, 이 ‘아’는 원래 고대어로 ‘위대한’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아’ 발음은 호흡을 입으로 크게 내 쉬는 것으로써, 그것은 ‘시작과 출발’을 의미한다. 반대로 ‘응’은 모든 발음의 끝인 오메가로, 위엄과 권위를 나타내는 말이다. 호흡을 코로 내쉬며 위엄을 나타내는 ‘응’은, 권위를 상징하며 아울러 종료를 의미한다. 우리가 절에 가면 절 입구의 양 옆에 두 인왕이 서 있는데 한쪽의 인왕은 입을 벌리고 있고, 다른 한쪽의 인왕은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여기서 입을 벌리고 있는 인왕은 ‘아’하고 악귀를 위협하는 것이며, 입을 꽉 다물고 있는 인왕은 ‘응’ 하고 공격의 자세를 취하는 표현이다. 이 인왕상 역시 짐승중의 왕인 호랑이의 표효를 상징한 것으로, 인간의 가장 용맹스런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고대 한국에서는 이 호랑이를 ‘산신령’이라고도 하였다. ‘삼국사기의 이두
2009-05-18 09:40‘50음도’는 ‘고대 가야인들의 자장가’지만 그냥 단순한 자장가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 짧은 노랫말 속에 ‘고대 가야인들의 민족성’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원전 250년 전 경상도 일대에 살던 가야족은 기마민족의 후예였지만, 일찍부터 이곳에 정주해 농경민족으로 탈바꿈하고, 또다시 바다를 향하는 해양민족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곰과 호랑이’로 대표되는 호랑이를 믿는 ‘태양족’ 이었는데, 단군신화를 보면 호랑이는 동굴의 어둠을 싫어해 뛰쳐나갔다고 하며, 곰은 끈기 있게 인내해서 인간으로 변해 하늘의 신 환인과 통정해 ‘단군’을 낳았다고 한다. 이는 북방계 호족과 곰부족의 혼인동맹을 의미하며, 이로써 호랑이부족의 도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로 신화는 오랜 고대사의 함축이기 때문에, 그 한 줄의 신화 속에는 수백, 수천 년의 역사가 함축되어져 있는 것이다. 여러 학설을 종합해 볼 때, 해양 기술을 가진 가야족들이 일본에 도래한 것은 기원전 250년경으로, 우수한 농경 기술과 철기로써 일본의 ‘야요이(弥生)문화’를 열었던 것은 확실하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AD 42년에 즉위한 구야국(狗邪国, 아라가야
2009-05-11 13:20‘내 아이 큰 인물로 키우는 101가지 지혜(동화사)’는 김상수 경북 교육연구원장이 40여년 간의 교직경력을 바탕으로 낸 교육칼럼집이다. 현장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30여권의 저서를 낸 교육 전문가인 만큼 그가 학교 현장에서 느낀 생각들을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자녀 교육의 참고가 될 만하다. 그가 보여준 101가지 지혜는 딱딱한 교훈이 아니다. 저울에 무게를 다는 아이들, 급식을 먹으러 온 1학년 학생들 등 학교에서 만난 학생들과의 소소한 일상, 선생님과 학부모와의 경험, 자신의 자녀와의 일화 등에서 얻은 교육적 생각들을 4계절로 나눠 자연스럽게 풀어냈다.
2009-05-04 11:34끼르, 끼르, 끼르 ~ 어디선가 들려오는 귀에 익은 소리가 잠자는 나의 영혼을 깨운다. 아! 이 소리는? 마치 까마득한 우주 저편에서 나를 부르는 듯 다가오는 경쾌한 음색의 주인공은 분명 매가 틀림없다. 황조롱이 매다. 녀석이 나를 찾아 온 거야! 놀라움과 반가움에 반사적으로 눈을 뜬다. 방안은 고요하고 날은 훤하게 밝아 늦잠을 잦음을 알 수 있다. 머뭇거릴 수없는 그 순간 용수철처럼 몸을 일으킨다. 녀석을 빨리 맞이해야 한다. 그리고 녀석의 비상하는 모습을 좀 더 가까이에서 바라볼 수 있는 호기를 놓쳐서도 안 된다. 그리고 베란다를 향해 잰걸음으로 다가가 사방을 훑어본다. 예상은 하였지만 역시나 매는 보이지 않는다. 다시 한 번 반대편 창문가로 달려가 아예 머리를 내어 밀고 이리 저리 살펴보지만 녀석의 모습은 끝내 보이지 않는다. 공허한 마음에 밖을 바라보니 아침 햇살이 눈부신 창밖엔 성큼 가을이 다가와 있었다. 녀석을 만나지 못한 아쉬움이 크지만 이내 허탈한 마음을 진정시키려 한다. 부엌에는 나의 이러한 괴이한 행동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집사람이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일요일의 느지막한 아침상을 차리고 있다. 황조롱이 매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몇 년 전…
2009-04-30 14:32‘세계 대백과 사전’을 보면, 일본어의 ‘가나’ 즉 50음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50음도는 일본풍(和風)으로 ‘이즈라의 소리’라고도 하는데, 헤이안(平安)시대(784~1191)부터 사용되어졌다- 이것을 보면 50음도는 1191년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음에 틀림이 없고, 여기에 나오는 ‘이즈라’라는 신라 시대의 ‘이두’를 가리키는 말이다. 신라 신문왕(682년)때 설총(薛聡)이 집대성한 ‘이두’(吏讀)는 한자의 음을 그대로 이용해 만든 글자로써, 쉬운 한문을 그대로 쓰거나 또는 일부분을 따서 만들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다-如, 을․를-乙, 가-可, 니-尼의 아래 글자를 따서 匕, 든-等, 하-為’ 등으로, 이를 문장으로 하면 ‘하다가-為如可, 이니-是匕, 있거든-有去等, 이오나-是平乃’ 등으로 음만을 따서 표현 했다. 이런 이두는 점차 간략화가 진행돼, 한자의 일부로써 그 말을 대치하게 되고 표현도 자유로워지자, 신라 시대의 시조인 ‘향가’등은 대부분 이 이두로 쓰여 짐으로써, ‘신라의 문예부흥 시대’가 꽃피는 것이다. ‘이즈라의 소리’는 ‘이두의 노래’라는 뜻인데, 일본의 가나인…
2009-04-23 09:56이 책은 호프스태터(Douglas R. Hofstadter)가 1979년에 출판한 논픽션(nonfiction)으로, 1980년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여러 나라에서 스테디셀러가 될 정도로 세계적 반향을 일으킨 작품이다. 제목만으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안목, 식견이 통합돼 정교하게 구성돼 있다. 수학자 괴델, 미술가 에셔, 음악가 바흐. 이들은 물리적으로 유사한 공간, 시간 속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주로 활동하거나 업적을 쌓은 분야 역시 상관을 찾기 어려울 만큼 서로 멀다. 그런데 저자는 이들을 ‘영원한 황금 노끈’으로 묶어내면서 인간의 의식과 자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 책을 읽는 과정이 고통스럽고, 그 결과가 통찰에 이르는 데는 미흡했다고 할지라도 독서의 재미는 매우 쏠쏠했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이 책을 읽는 내내 나의 독서의 과정이 매우 역동적이고 입체적이었다는 점이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동원하면서 읽어야 독해가 되는 까닭에 ‘아는 만큼 본다.’는 말이 구구절절 옳은 말임을 실감하면서, 수없이 인터넷을 검색하고, 사전을 찾았다. 에셔의 도록을 찾아 관련 판화를 보면서, 바흐의 카논을 들으면서 저자의
2009-04-23 09:52알프스 산하면 하이디, 초록지붕하면 빨간 머리 앤이 떠오르듯 우리에게도 생각만으로 용기를 주는 소설 속 주인공은 없을까? 이런 생각으로 시작된 김정희(필명 김소담)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교육연구사는 자주 다니는 대전의 계룡산에 눈이 커다란 제자였던 김다혜를 내려놓았다. 지난 2001년 동화 ‘감꽃 목걸이’로 본지 주최의 교원문학상 공모에 당선됐던 김 연구사가 글을 쓰고 서울대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있는 딸 권소진씨가 그림을 그려 자연동화 ‘계룡산 자연친구 다혜야’(함께 북스)가 탄생했다. IMF외환위기 당시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대전 계룡산 인근의 외갓집으로 가게 된 12살 김다혜. 12년 후 초등학교 교사가 돼 계룡산의 소나무꽃 송화초로 부임한 첫날, 예전의 담임선생님을 교장으로 만나면서 다혜는 과거의 추억으로 떠난다. 책은 자연 속에서 11명의 학급친구들과의 우정을 다져가는 다혜의 성장기를 담았다.
2009-04-20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