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원 문학상 동화 부문에는 34명이 응모를 했다. 인원수로 봐서는 결코 많지 않은 수이지만 한 명이 여러 편씩 응모한 것을 계산하면 적지 않은 수이다. 응모자가 교장 ․ 교감 ․ 교사 ․ 장학사 등 교원 가족들이 골고루 참여해 바람직했다. 두 심사위원이 모든 작품을 돌려 읽은 전체적인 소감은, 우선 동화가 어떤 성격의 글인지 잘 모르고 그냥 교단에서 일어나는 생활의 단편을 소개한 글이 많아 아쉬웠다. 이런 작품일수록 사건이 미약하거나 플롯 구조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안타까웠다. 동화 소재로 교단 생활이 들어가지 말란 법은 없지만, 내가 몸담은 영역이 교단이니 교단 생활을 소개해야만 된다는 사명감 같은 생각은 떨쳐 버려야 한다. 그 생활은 다른 교원도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내용이 되어 신선미가 떨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동화는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초자연의 세계까지 작품의 현실로 끌어들여 그것을 있음직한 이야기로 꾸며낸 글’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고, 동식물과 무생물이 사람처럼 생각하며 말을 하는 내용이 많다. 그런 면에서 견주어볼 때 응모작들이 너무 교단 현실 이야기에 국한된 생활 동화가
2005-12-12 14:57생각지도 않았던 큰 선물을 받고나니 무척 기쁘고 행복합니다. 글을 쓴다는 것이 무엇인지 모를 때부터 소설이나 동화가 재미있어 부지런히 읽었습니다.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었지만 막연하게 생각했던 짝사랑이 하나씩 이루어지고 있어 행복합니다. 동화는 우리가 보고 있는 세상 말고 또 다른 세상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순진무구하고, 정직하면서도 환상적인 어린이의 세계. 그러나 번번이 아이들의 시각으로 접근하지 못했기에 그 세상을 만날 수 없었습니다. 늘 동화의 세계를 그리워만 했습니다. 그런데 요즈음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있을 때가 즐거워지기 시작한 것입니다. 아이들의 상상의 세계가 무한하다는 것도 알았고 내게도 동화적 상상력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조금은 늦게 출발했지만 아이들이 읽으면 정말 재미있는 동화를 쓰고 싶습니다. 분에 넘치게 축하를 많이 받았습니다. 가르침을 주신 은사님들, 동료선생님들, 서른여섯 명 우리 반 아이들 (그들이 있어 동화를 쓸 수 있었습니다). 항상 그리운 얼굴로 남아있는 내 친구들,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 모두가 있어 또한 행복합니다. 기회를 주신 한국교육 신문사와, 부족한 작품을 뽑아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깊은
2005-12-12 14:56“우리가 아이를 잘 못 기르고 있는 것 같아요.” 퇴근 후 넥타이를 풀고 있는데 아내가 눈물을 글썽였다. 얘긴즉 오늘 작은녀석이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콜라회사 견학을 갔단다. 입구에서 마개를 딴 작은 콜라병을 하나씩 나눠주었는데 출구에서 그 병을 회수하더란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이들은 콜라를 다 마셨거나 아니면 남은 채로 그냥 병을 내주고 밖으로 나오는데 우리집 아이만 반 넘게 남은 그 콜라를 즉석에서 마구 마셔대더란다. 고개를 뒤로 젖히고는 가느다란 목이 막혀 캑캑거리면서 …. 그랬을 것이다. 제 부모를 닮아 몹시도 소심한 그 녀석은 음식을 아끼면서 먹는 버릇이 있었다. 그 콜라병도 통째로 다 주는 줄 알고 평소처럼 몹시 아끼면서 마셨을 것이다. 그리고 아내의 말은 우리가 애들을 너무 인색하게 키우지 않느냐는 뜻일 것이다. 눈물 글썽이는 아내의 말을 듣는 나도 마음은 편치 않았다. 그래서 내가 ‘여섯 살짜리 어린아이가 그렇게 남은 콜라를 그냥 내주는 것보다는 아까워하며 마시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라고 말했다. 아내는 안쓰러운 표정이 다소 누구려지긴 했지만 여전히 가슴 아픈 모양이다. 평소 작은녀석은 제 형보다 훨씬 말도 많고 탈도 많고 또 까탈스러웠다. 그리
2005-12-12 14:55세상살이란 참으로 알다가도 모를 일인가 봅니다. 남들도 이런 생각을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자신 있게 살아온 내 삶의 역정을 돌이켜 보면 이 자신감이 오히려 오류(誤謬)의 돌부리가 되어 내 발목을 잡은 경우를 봅니다. 잘못된 판단이야 마땅히 그러했겠지만 당시로서는 당당했던 일 아니, 지금 생각해 보아도 정당한 일마저도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내가 다소 자기질책형(自己叱責形)이기 때문인 탓도 있겠지만, 생각해보면 아마도 인간사의 사연들은 그 내용 자체만으로는 선악을 구분 짓기도 불분명한데다가 방법이나 과정의 여하에 따라 그 선악의 결과도 사뭇 달라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생활의 이런 이치를 진작 깨달았으면 그 체취가 향기로 배어나오는 수필이 될 터인데도 나는 오래 동안 이 부분에 소홀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나이 덕분이기도 하겠지만, 삶의 향기가 직접적 재료가 되는 수필을 생각하면서 비로소 나의 삶을 구체적으로 반추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래 동안 시조(時調)를 쓰면서 같이 부대껴온 낙동강물은 이미 하구를 향해 도도히 굽이지는데 나의 샛강은 아직도 소용돌이입니다. 이건 분명히 하류에서 서성이는 나의 번민입니다. 그러나 오히려 이 때문에 늦은 나
2005-12-12 14:53수필은 규범적인 형식이 없는 갈래이다. 그러므로 어떤 형식이든 빌어다 쓸 수 있으며 필자 나름대로 자유로이 형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반면, 글 전체의 긴장과 밀도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특성 탓인지, 필자가 같아도 작품 간에 완성도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일부 작품보다 전체 작품, 나아가 필자 위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역량이 엿보이는 필자들을 뽑은 뒤, 집중적으로 그분들의 작품을 돌려 읽고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세 필자(「눈길」의 곽흥렬, 「선유도」의 강기석, 「부모 개구리의 망각증」의 서태수)가 마지막에 남았다. 「눈길」의 필자는 삶을 찬찬히 관찰하고 사색하는 자세가 호감을 준다. 글의 짜임새가 약하고 마무리 부분에서 작위성이 느껴져 균형이 흔들리는 게 아쉽다. 「선유도」의 필자는 말을 깎고 다듬는 노력이 흡사 시인과도 같다. 수필에서도 그런 노력은 필요하겠으나, 독자가 체험 내용에 젖어들기 전에 말이 먼저 튀어 오르지는 않게 조절함이 좋을 듯하다. 「부모 개구리의 망각증」의 필자는 체험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역량과 태도를 지니고 있다. 대상을 바라보는 섬세하고 균형 잡힌 시각도 장점이다. 그래서 표현이 다소 거친 데가 있지만 당
2005-12-12 14:53엄마에게 편지쓰는 거다 선생님 말씀에 아이들 마음은 쪼르르 엄마에게 달려갑니다 구석에 앉은 아이 얼굴을 책상에 묻고 편지지 가득 써 내려간 하얀 글씨, 콧물 마침표 마지막 눈물 자국 그림을 그려 넣습니다 오늘 밤 꿈속에서 하늘나라 가신 엄마를 만나면 꼭 전해드리려고요 - 배산영 경기 경일초 교사
2005-12-12 14:43동시에서는 어디까지나 眞情性이 중요하다. 물론 그것은 동심을 기본으로 하고 어린이 생활을 시의 대상으로 담보했을 때만 그렇다. 성인시에 비해 동시는 응모된 작품의 편수가 적었다. 허지만 이번에 너무나 감동적인 동시 두 편을 수상작으로 선보일 수 있어서 심사위원들은 기뻤다. 시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울림, 즉 감동이다. 읽고 난 뒤 감동이 없는 시라면 어찌 그것이 좋은 시이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올해 뽑힌 동시는 성인시보다 하나도 뒤지지 않는 작품이라 칭찬을 드리고 싶다 終審에 오른 작품은 「시골버스」(장극조),「세상에서 제일 큰 콩」(유재란),「하늘나라로 가는 편지」(배산영), 「할머니 마음」(손한성), 「졸업사진」(이희규) 등이었다. 리얼리티가 있다는 점에서 다이내믹한 어법이 눈부시다는 점에서 시상이 단순하면서 아름답다는 점에서 각각 장점이 있으나 우리는 「하늘나라로 가는 편지」를 당선작으로 「졸업사진」을 가작으로 뽑는데 쉽게 의견일치를 보았다. 전자는 내용이나 표현이 공히 감동적이라는 점이 최대의 장점이다. 시의 구조화에도 탁월한 능력이 있다. 함께 응모한 「새와 나무」도 좋은 점수를 받았다. 비하여 「졸업사진」은 리얼리티가 있고 진정성이 있는 작품이다.
2005-12-12 14:42놓는다고 한 것이 제대로 놓은 징검돌 하나 없이 흔들리는 징검다리 위에서 허우적거리다 운좋게도 지푸라기 한줄 잡은 기분이다 아직 튼튼한 동아줄이지 못하여 물 속에 빠지면 어쩌나 마음 한쪽 걱정이 고개를 들긴 하나 그럴 수록 더디다해도 한걸음한걸음 거짓없이 흔들리며 제자리를 찾을 징검돌을 놓으며 길을 가겠다. 훗날 내가 놓은 그 돌다리 위를 폴짝폴짝 뛰어 건너며 물수제비뜨는 아이들을 바라볼 수 있다면 더 무엇을 바랄까 내마음을 아이의 키만큼 낮추고 아이의 열린 마음으로 세상 이곳저곳에 숨어있는 별과도 같은 반짝이는 보물들을 찾아 매일 떠나야겠다. -배산영 경기 경일초 교사
2005-12-12 14:41몽골 元 제외한 정복왕조는 모두 ‘만주’에서 흥기 고유 풍습 유지, 한족에 변발 등 ‘만주화' 강요도 한족중심 역사기록, 만주를 ‘변경’으로 인식케 해 한족의 ‘북방 정복왕조 편입’이 실체에 더 가까워 중국의 한족왕조는 한 번도 남쪽으로부터 정복된 적이 없다. 당나라 이후 천여 년 간 중국의 일부 혹은 전부를 지배한 왕조 중 한족왕조 송(宋)(960-1279)과 명(明)(1368-1644)을 제외한 거란(契丹) 요(遼)(916-1125), 여진(女眞) 금(金)(1115-1234), 몽골(蒙古) 원(元)(1206-1368), 그리고 만주(滿洲) 청(淸)(1644-1910)은 모두 북방민족이 세운 정복국가였다. 북방민족 기마병의 뛰어난 기동성과 궁술에 의거한 강력한 군사력은 중원 한족왕조에게 끊임없는 위협의 존재였다. 이러한 군사·정치적인 열세에 처해 있던 한족왕조들은 문화적 중화주의(中華主義)의 ‘우월감’으로 만회하려 했는데 그 중화주의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 역사서술이었다. 한족 중심적 역사기록의 편견과 왜곡은 만주지역을 한국과 중국의 변경지역이며 주변의 ‘선진’ 문화 영향을 받은 오지로만 인식하게 했다. 하지만 동아시아 역사에서의 만주지역은 고유의 문
2005-12-05 11:43▶동화로 풀어본 62가지 경제이야기=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경제 원리를 동화로 풀어냈다. 기회비용, 화폐의 역할, 국제수지와 환율, 경쟁과 시장구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등 책에서 읽으면 자칫 딱딱하게 느껴지기 쉬운 62가지 주제들을 동화 형식으로 쉽게 만들어 아이들에게 부담 없이 경제교육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김상규|북이즈 ▶목민심서=조선 시대 목민관이 지켜야 할 자세와 알아야 할 지식을 정리한 다산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풀이한 책. 단순히 목민관의 역할을 나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청렴하고 검소한 선비의 자세,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 등 정약용의 평상시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장승희|풀빛 ▶북극곰, 투가=북극곰 투가와 엄마, 여동생 에이푼 가족은 다른 힘센 북극곰들에게 시달리곤 한다. 투가는 얼음덩이를 타고 다니다 통조림 공장 근처에서 인간과 만나게 된다. 새끼를 낳기 위한 부모의 준비와 양육 등 새끼가 어미의 품에서 벗어나 독립하기까지의 과정을 철저한 조사를 통해 자세히 담고 있다. 셜리 우즈|푸른숲 ▶다금이=다금이는 엄마가 돌아가신 후 다금이는 아빠와 함께 중국집 ‘달빛 아래서 먹는 짬뽕’을 운영한
2005-11-24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