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경기도 김포의 한 중학교로 부임을 했다. 고등학교에서만 20여년을 근무하다가 처음으로 중학교에 발령을 받은 것이다. 사실, 새로운 학교로 부임을 하게되면부담스럽고 낯설기 마련이다. 그런데 내 경우는 조금도그런 마음이 생겨날 수가 없었다. 그것은 따스한 마음으로 맞이해 주는 교육공동체가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처음 중학교에 부임하면서 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나는 긍지와 보람으로 행복한 웃음을 지을 수 있었다. 학교에 부임하던 그날을 아직도 난 기억하고 있다.파주에서 자유로를 지나 30분 거리에 위치한김포 시내를 관통하여 위치한 학교, 장릉산 자락에 위치한 73년 전통의 학교였다. 내 눈에 들어온 것은 학교내에 걸려 있는 가슴을 울리는 글들이었다. "내 안에 꿈을 꽃 피우는 곳, 김포중학교" 그 글들이 왠지가슴에 뭉클하게 다가온 것은 무엇 때문일까?진정 사랑과 꿈이 있는 학교이기 때문이리라. 진정 학교에는 사랑이 있었다. 꿈이 있었다. 그리고 교육공동체만이가질 수 있는 배려와 희망, 위해주모가 관심이 있었다. 우리 학교 정문에는 큼직막한 글씨로 이런 글이 쓰여 있다. "나는 김포중학교를 사랑합니다." 물론교실에는 물론이고교내 곳곳에그 포근한 사랑이 담
2010-06-09 09:16요즘 날씨가 변덕이 심하다. 어제는 아주 더웠는데 오늘은 그렇지 않다.성난 바람이 소리를 내며 더위를 몰아가고 있다. 날씨가 변덕이 심하니 당장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그래도 성장하기 위해 말없이 자신을 이겨내는 모습들이 아름답다. 오늘 아침 우리학교 명심보감을 통한 인성교육시간에 다룬 문장은 정기편(몸을 바르게 하는 편)의 두 번째 문장이다. “大丈夫當容人(대장부당요인)이언정 無爲人所容(무위인소용)이니라.” 이 문장의 뜻은 ‘대장부는 마땅히 남을 용서할지언정 남에게 용서를 받는 바가 되지 말지니라’이다. 여기서 當은 마땅할 당으로 must에 해당하는 한자다. 無는 莫(막), 勿(물)과 같은 뜻이며 금지의 뜻을 나타낸다. 그리고 ‘爲~A 所~B’는 'A에게 B를 당하다, A의 B하는 바가 되다'의 뜻(피동형)으로 ‘남(A)의 용서받는(B)가 되지 말지니라(금지)’로 해석하면 된다. 大丈夫(대장부)는 사전에서 씩씩하고 건강한 사내라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렇지만 필자는 이렇게 정의를 내리고 싶다. 대장부는 '남자만을 뜻한다고 볼 수 없고 남자든 여자든 모두에게 해당된다' 하겠다. 마음이 건강하면 남녀 할 것 없이 대장부다. 의지가 굳세면 남녀 할 것
2010-06-09 09:05꼴찌만세 “윤정엽, 자 책을 한번 읽어보아라.” 선생님의 지명에 나는 비실비실 일어서며, 선생님의 눈치를 살핍니다. 아직도 책을 자신 있게 읽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 25쪽을 읽어보아라.” “우리 도 동네...,사라암드을은, 모두 항께,......” “그래 됐어. 그 다음 이 두리 읽어보아라.” 맨 앞에 앉은 두리는 동글동글한 얼굴에 어울리는 이름을 가져서 쉽게 친해지는 친구였습니다. 영순이는 곧 자기도 읽어야 할 차례이기 때문에 빨리 돌아오는 것에 가슴을 졸이고 있었습니다. “우리 동네 사람들은 모두 함께 논으로 나가서 모내기를 합니다.” “그만, 아주 잘 읽는군. 그 다음엔 영순이.” 영순이는 가슴이 두근두근해서 잘 읽을 수 있을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커다란 논에는 모를 날라다 펴놓은, 노은 .... 것들이 주욱 늘어서 있습니다.” “됐어. 그럼 그 다음.......” 영순이는 어쩌다 쉬운 부분을 틀리게 읽었지만 선생님이 자기에게 잘 읽었다고 얘기해 주신 것이 기분이 좋았습니다. 나는 이제 초등학교 2학년이고, 나이는 아홉 살, 5학년짜리 언니와 그 위로 올해 중학교에 입학한 오빠가 한 분 있어서, 우리 집의 막내이자 귀염둥이입니다.우리 식구들은
2010-06-09 09:00까만 도시락 밥 성구암 선생은 1960년도 중반에 접어드는 1964년에 학교의 선생이라는 직업을 가지고 생활전선에 뛰어들게 된 병아리 선생님이었다. 그러니까 선생님이 되어서 국민학교, 지금의 초등학교에 발령을 받은 것이었다. 그 때만해도 우리나라는 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때여서 농업이나 수산업 등 1차 산업에 의해서 생활을 하는 국민이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이었고, 나머지가 약간의 상업이나 공업, 그리고 가장 부러워하는 대상인 공무원 등 사무직의 순서였다. 이 고장에서는 특히 농업을 빼고 나면 한 반에 한 명이나 두 명 정도의 아이들이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정도였으니까. 아마 이 반에서는 농사를 짓지 않은 집은 송자네 한 집 뿐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농촌 사람들의 부러움을 가득 받는 교사라는 직장에서 근무하게 된 것만도 여간 기쁨이 아니었으므로 성구암 선생은 무엇이나 최선을 다하기로 했었다. 그렇지만 성구암 선생이 발령을 받은 학교는 요즘 사람들의 생각으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도 없는 참으로 보잘 것이 없고 허술하기 그지없는 모습이었다. 우선 학교 모습을 보면 밖에서 보이는 것으로는 마을 앞에 덩그랗게 선 교실 네 칸, 국기 게양대 하나, 흙으로 벽을
2010-06-07 16:25'고3 담임' 교육 현장의 3D 중 첫 손가락 꼽아도 서운할 만큼 그 어려움이 크다. 고3 담임을 맡은 기간은 새벽밥 먹고 집을 나서 저녁별 보고 귀가해야 한다. 그러니 가정은 한시적이긴 해도 소홀할 수밖에 없고 동창회나 친목회 등 세상살이는 아예 담을 쌓아야 한다. 업무분장이 끝나고 담임들끼리 처음 모였을 때다. 신참 담임부터 돌아가면서 아이들 명단이 담긴 봉투를 뽑았다. 내 차례가 왔을 때는 선택의 여지도 없이 봉투 하나만 남았다. 가벼운 긴장이 흘렀다. 봉투를 열고 아이들 명단을 확인했다. 한숨부터 나왔다. 결국 녀석과 한 배를 타게 됐다. 솔직히 녀석만은 명단에 들어있지 않기를 바랬다. 고2 때, 녀석의 학교생활은 엉망 그 자체였다. 해가 중천에 뜨고 수업이 시작된지 한참이 지나서야 터벅터벅 교실로 들어섰다. 미안한 마음도 없었다. 당당하게 교실에 들어서면 수업은 안중에도 없었다. 잠을 자거나 아니면 잡담을 나누기 일쑤였다. 물론 녀석을 윽박지르거나 타일러도 보았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내 방식대로 생활하는 데 무슨 참견이냐’는 태도였다. 고2 담임도 포기했었다. ‘녀석은 그냥 놔두세요. 사고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다행이에요’라고 했다. 괜히 골치 아
2010-06-06 14:08우리는 칭찬, 축하에 익숙할까, 인색할까? 그렇다면 비판과 질책에는? 보는 관점에 따라, 개개인의 경험에 따라 다르게 답이 나올 것이다. "기쁨을 나누면 두 배가 되고 슬픔을 나누면 반으로 줄어든다"는 말도 있다. 필자는 근래 남들이 보기에는 이상한(?),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가지 실험을 하고 있다. 아마도 상대방은 이런 사실을 모를 것이다. 왜? 알려주지 않았으니까.필자의 실험 의도는 칭찬과 축하의 문화를앞장서서 퍼뜨리려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악플을 추방하고 선플을 달자는 국민운동본부도 있다. 선플은 착할 '선(善)'자와 '리플'(Reply의 준말)의 합성어. 그러니까 선플은 건전한 댓글을 의미한다. 악플에 충격을 받아 죽은 연예인도있으니 악플의 폐혜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오죽하면 국민적 선플달기 캠페인이 벌어지고 이를 적극 추진하는 단체까지 생겼을까. 필자가 하는 실험은 간단하다. 별 거 아니다. 그러나 그 효과는 크다고 본다. 필자는 지난 스승의 날을 맞아'제6회 한국교육대상'(한국교직원공제회 주관)을 받았다.이 사실은 한국교직원신문에선정과수상 소식이 각각 한 차례씩 보도되었다. 이 언론보도를 보고 필자에게 자발적으로 전화를 주거나 문자메시지를…
2010-06-04 21:51필자는 지난 주 학구 내에 있는 진흥교회가 운영하는 노인대학(학장 황의일)강단에 섰다. 특강 요청을 받고 가장 고민한 것은 주제다. 어르신들 앞에서 일장 훈시를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삶의 지혜를 알려 드릴 수도 없단 생각이 들었다. 작년 특강에서는 교단에 불어닥친 회오리 바람, 즉 교단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 했으나 수강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말하는 이의 수준에는 맞으나 듣는이의 요구나 필요성 면에서는 잘못 선정된 주제가 아닐까. 이번엔 어떻게 할까? 주어진 시간은 30분 정도다. 수준을 너무 높게 잡으면 안 되고. 그 결과 노인들의 질문을 받기로 했다. 질문하시는 분께 드리려고 '비타민 C' 작은 선물도 10개 준비했다. 그 대신 질문의 범위는 학교,교육, 서호중학교, 필자로 국한했다. 어떤 질문이 나올까? 첫번째 할머니다. "교장 선생님은 나이도 어려보이는데 어떻게 일찍 교장이 되었나요?" 필자에 관한 질문이니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겠다. "예, 저는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이 선생님을 부러워해 자식들이 교사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선생님의 좋은 점을 들어가며 자식들이 선생님이 되었으면 원이 없겠다고 하셨죠. 그래서 6남매 중
2010-06-02 22:42오늘 명심보감을 통한 인성교육시간에는 명심보감 효행편의 마지막 문장을 배웠다.효행편은 모두 7문장으로 되어 있는데 문장마다 부모님에게 효도해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똑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지루하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말씀을 순종하는 이들에게는 문장마다 새롭게 다가온다. 오늘 마지막 문장은 “孝順(효순)은 還生孝順子(환생효순자)요 忤逆(오역)은 還生仵逆兒(환생오역아)하나니 不信(불신)커든 但看簷頭水(단간첨두수)하라 點點滴滴不差移(점점적적불차이(니라.” 이 말은 뜻은 ‘효도하고 순한 사람은 또한 효도하고 순한 자식을 낳을 것이며, 성질이 일그러져 거스르는 사람은 또한 그렇게 일그러져 거스르는 자식을 낳을 것이다. 믿지 못하겠거든 저 처마끝의 낙수를 보라, 방울방울 떨어져 내림이 어긋남이 없느니라’라는 뜻이다. 부모에 효성을 다하면 자식들로부터 효도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효도하는 집안에는 대를 이어 효도하게 될 것이고 거역하는 집안에는 대를 이어 거역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만큼 효도를 잘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효도하지 않는데 자식이 효도하겠는가? 내가 거역하는데 자식이 효도하겠는가? 자식들은 배운대로…
2010-06-02 22:35"아름다운 글로, 행복한 세상을" 내가 속해 있는 교육현장에서 입에 침이 마르도록외치는나의 비전이자 이상이다. 아니나에게 주어진값진 사명이 아닐까 생각한다.사실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일은 어느한 사람의 노력으로는성취하기 어렵다.그 세상에 속해 있는 구성원이 함께 장미처럼환한 웃음으로 활짝피어날 때행복이 되는 것이다. 올 봄에 나는 김포의 한 중학교에 부임했다.남학생들로 구성된 우리 학교는 처음 분위기는 사실 삭막하기 그지 없었다. 환한 웃음보다는 딱딱하고 경직된 모습 그 자체였다.그것도 중학교 1학년 개구장이 녀석들의 담임이 되었으니 여간 고된 일이 아니었다. 늘 크고 작은 다툼이 일어나고천방지축 이러지리 뛰어다니다 보니 손과 발목에깁스를한 녀석들이 한 두명씩 나타나기 시작했다.급기야는병원에 입원하는 친구까지 생겨나게 되었다.그래서 시작한 일이 모둠을 구성해서 모둠일기 쓰기를 시작했다. 처음 만나서서먹서먹한 친구들 간에 돌아가면서 친구들을 격려하는 '칭찬이'가 되고, 솔선수범하여 모둠원들을 이끌어가는 '이끔이'가 되고, 하루의 일과를 정리하여 기록하는 '기록이'가 되어 보기도 하는 것이다.모둠원끼리 하루의 일과를 반성하고 평가하면서 하루의 생활을 글로 표현
2010-06-01 11:22우리 학교 1학년 '서호사랑 봉사학습 체험교실'에 참가한 학생들, 거짓말을 할 줄 모른다. 순수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칭찬해야 할 지….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봉사활동 출발하기 전에 '자기 소개 및 참가 동기 발표' 시간이 있다.대부분의 발표 내용이 이렇다. "봉사활동 4시간 따기 위해 참가했어요" "엄마가 참가하라고 해서 왔어요" 등이다. 서호사랑 팀장인필자(서호중학교 교장 이영관)은 동기유발을 위해 발표를 시키고 교육적으로 유도하지만 마지못해 참가했다는 시큰둥한 표정이다. 발표가 귀찮으니 빨리 서호 저수지에 가서 쓰레기 줍고 끝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봉사활동에서 사전 오리엔테이션이 중요하다. 시작 전 마음가짐은 더욱 중요하다.한 학생의 발표가마음에든다. "저는 서호에 대해 알고 싶어서 이 프로그램에 참석했습니다." '서호사랑 봉사학습 체험교실'이 지난29일 오후에 서호천과 서호저수지, 농촌진흥청에서 열렸다. 서호중학교 학생 14명. 학부모 2명, 선생님 3명 등 총 19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출발 전에 프로그램 참가 시 유의사항을 듣고 서호천을 따라 서호로 향했다. 서호천의 쓰레기를 주우며 맨 처음 도착한 곳은 항미정. 이곳에서 항미정의 유래,…
2010-05-31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