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콜라주 시 창작하기란?
‘콜라주’란 종이·사진·천 등 다양한 재료를 조합하고 붙여서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미술 기법이다. ‘콜라주 시’는 이를 시 창작에 접목한 것으로, 서로 다른 출처의 텍스트 조각들을 오려 붙이는 콜라주 기법으로 새로운 의미가 탄생되며 만들어진 시를 말한다. 기존 시의 구절들을 사용하거나, 일상에서 채집한 단어들, 신문 기사나 광고 등 다양한 매체에서 수집한 단어들로 시를 창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창작한 시 구절’을 수집하고 이를 적절히 조합·변형하며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표현을 덧붙이는 방식으로도 하나의 시를 창작할 수 있지 않을까? 생성형 인공지능의 결과물은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기반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결국 최종적으로는 아이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진솔하면서도 창의적인 시를 창작하는 것으로 나아가야겠지만, 아이들이 ‘시를 써보자’라는 말을 들을 때 느낄 막막함과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그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비계(scaffolding)’로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싶었다. 또한 인공지능이 쓴 시와 인간이 쓴 시를 비교하며 ‘시’란 무엇인지, ‘시를 창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학생들 스스로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싶었다.
이러한 생각에서 ‘AI 콜라주 시 창작 수업’을 설계하게 되었다. 인공지능이나 에듀테크를 수업에 활용할 때는 늘 수단과 목적이 전도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편이다. 내가 생각한 이 수업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관련 역량(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성찰·계발 역량.
• 성취기준: [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
① 인공지능이 쓴 시와 사람이 쓴 시를 비교하며, ‘문학’의 한 갈래인 ‘시’의 특징을 이해하고 시를 보는 안목과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조건을 파악한다.
② 인공지능과 협업하며 AI 콜라주 시를 완성하고, 시 창작의 자신감과 언어적 감수성, 시 창작 능력을 기른다.
③ 인공지능을 창의적 글쓰기 도구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고, 인공지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성장을 위한 도구로 삼는 태도를 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