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9 (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Z세대답게’ 세상을 바꾸는 요즘 아이들

<3편> Z세대 특징별 지도방법③

결과가 같다면, 과정도 같아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그렇다. 하지만 삶은 다르다. 결과가 같더라도 과정은 천차만별이다. 누군가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해서 결과에 이르는 반면, 누구는 태어나보니 ‘금수저’여서 손쉽게 결과에 다다르기도 한다. 또 어떤 이는 ‘운 좋게도’ 느닷없이 좋은 결과를 얻기도 한다. 이처럼 인생의 과정에 놓인 ‘통제할 수 없는 변수’들은 사람들을 희망에 들뜨게도, 좌절하게도 한다.

 

물질적 풍요 속에서 살아가는 듯 보이지만, 태어나면서부터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Z세대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라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그래서 이들에겐 ‘과정’이 더욱더 중요한 가치가 된다.

 

#부러진 펜 #로또취업

얼마 전 터진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 사태를 바라보며, 고등학생 딸아이는 “좋은 대학(좋은 회사)을 가기 위해서 놀고 싶은 거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했는데, 그 과정이 무시당하는 것 아니냐”며 분노를 나타냈다. 분노의 핵심은 ‘과정의 불공정’이었다. 퇴근길, 지하철역에서 서명운동을 하고 있던 정규직 청년의 호소 역시 자신들의 노력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닐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서명 후 쥐여준 연필엔 ‘#부러진 펜’이 적혀있었다.

 

Z세대는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공정하지 않은 세상’을 바꾸려 하지 않는, 혹은 방치하거나 조장하는 것에 대해 굉장히 분노한다. 예전처럼 ‘좋은 게 좋은 것’, ‘어쩔 수 없는 희생’ 같은 말은 통하지 않는다. 게다가 Z세대는 사회적 이슈를 텍스트가 아닌 동영상으로 접한 세대이기 때문에 민감성이 더 크다. 더불어 이 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그 부당함을 자신도 당할 수 있다는 생각에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처지를 공감하고 연대한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결집하고, 사회적 분위기를 압박한다.

 

다음 시대의 주인공, Z세대가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마치 40여 년 전, 민주화를 위해 거리로 나섰던 청년들처럼 말이다. 물론 지금의 Z세대는 이념적으로 사회적 이슈에 앞장서기 보다 부당함·불공정성·불의함 등에 맞서는 개념이다. 잘못된 거 잘못됐다고 그때그때 얘기하는, 바로 그런 세대임을 보여준다.

 

# 일본 불매운동 # 착한소비

일본 불매운동도 같은 맥락이다. 과거에도 일본 불매운동은 있었지만, 얼마 안 가서 흐지부지되곤 했다. 그러나 이번만큼은 꾸준히 유지되었고, 유니클로를 비롯해 일본 맥주, 자동차 등은 큰 타격을 입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Z세대의 멋진 사고방식이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필요는 하지만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라 여겼던 기성세대와 달리 Z세대는 ‘멋지고 세련된 당연한 일’이라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반일 불매운동이 한창이던 지난해 7월 당시 Z세대는 ‘일본인에게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51%로 모든 세대를 통틀어 가장 많았음에도 불매운동 참여율은 76%에 달했다.

 

최근엔 오뚜기 기업의 선행이 알려지면서 ‘갓뚜기’라는 애칭을 얻었고, 매출이 급상승했다. 반대로 미스터피자, 남양유업 등 갑질논란이 있는 기업은 불매운동을 하며 철저히 지갑을 닫는다. 기왕이면 착한기업의 물건을 사고자 하는 Z세대의 ‘미닝 아웃’ 소비는 기성세대가 잘못임을 알면서도 ‘관행’처럼 여기며 지나쳤던 사회 부조리를 바로잡는 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업들이 진정성 있게 고민하고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Z세대답게 돈을 벌어서, Z세대답게 사용한 미담 사례가 있다. 작년 프로게이머 13명이 “평소 생명이 위급한 사람을 살리기 위해 희생을 감내하며 노고를 아끼지 않는 이국종 교수님과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을 존경해왔다. 제가 좋아하는 게임으로 외상센터에 도움을 드릴 수 있어 기쁘다”며 우승상금으로 받은 2억 5백만 원을 이국종 교수팀에게 기부한 것이다. 정말 멋지지 않은가?

 

이처럼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것처럼 보이는 Z세대는 오히려 ‘내 돈을 가치 있는데 쓰겠다’는 착한소비를 통해 사회적 분위기를 서서히 변화시키고 있다. 요즘 애들이 세상을 새롭게 바꿔나가고 있는 것이다.

 

# 졌잘싸 #메달색깔은 중요하지 않아

‘졌잘싸(졌지만 잘 싸웠다)’는 결과가 아닌 과정을 중요시 여기는 Z세대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이기고 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얼마나 최선을 다했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과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 과정에서 만끽하는 소소한 기쁨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이들에게 행복의 기준과 가치는 남이 아닌 내가 세우고, 부여하며, 따르는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남들이 추천하는 안전한 길보다 내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것을 찾는 주인공들에게 공감하고 응원을 보낸다.

 

그들의 생각에 어른들도 공감했고, 어느 순간부터 우리나라 스포츠중계에서 “메달색깔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최선을 다한 선수들의 노력을 격려해야 한다”는 멘트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비인기종목의 설움을 딛고 은메달을 따낸 컬링 여자국가대표팀과 2019년, 36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한 U-20 청소년 축구대표팀에게 왜 우승을 하지 못했느냐며 안타까워하기보다, 오히려 더욱 격렬한 응원으로 끝까지 잘 싸운 그들의 노력에 박수를 보낼 수 있었던 것도 변화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지금의 10~20대는 어떤 세대로 기억될까?

시간이 지나면 누군가는 나이를 먹고, 누군가는 태어난다. 신세대는 항상 있었고 늘 연구대상이었다.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 우리는 왜 이토록 ‘지금의 세대’를 버거워할까. 아마도 각 세대가 겪은 시대적 경험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함께 살아가는 3대가 겪은 경험은 도저히 같은 나라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이다. 식민지와 한국전쟁을 거친 80대 노년층은 늘 생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새마을 운동과 한강의 기적을 일궈낸 50~60대는 ‘헝그리 정신’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 고도의 산업경제와 무너지는 경제를 함께 겪은 30~40대 역시 집단의 이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열정’을 불살랐다.

 

조금은 개인적이고, 이기적이지만 그들의 방식대로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한 지금의 10~20대는 어떤 세대로 기억될까? 나는 ‘Z세대답게’ 세상을 바꿔나가는 요즘 아이들에게서 ‘희망’을 본다. 소신 있게, 잘못된 거 잘못됐다고 그때그때 얘기하는 아이들을 ‘말대꾸하는 버릇없는 아이’로만 바라보지 않는다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아이들을 ‘생각 없이 일부터 저지르는 개념 없는 아이’로만 생각하지 않는다면 분명 이들은 세상을 더욱더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낼 것이다. 모든 세대가 이전 세대의 걱정을 뒤로하고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사회를 성장시켰듯이 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