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헌문편에 이런 글이 나온다. “古之學者爲己(고지학자위기)러니 今之學者爲人(금지학자위인)이로다”. 이 말은 ‘옛날 배우는 사람은 자기를 위하였는데 지금 공부하는 사람들은 남을 위한다.’는 뜻이다. 古之學者(고지학자) 즉 옛날에 공부하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위해 배웠다. 옛날의 배움에 임한 사람들, 소위 학자(學者)들은 몸을 위하여 배웠다. 다시 말하면 자기의 수양을 위해서 배운 것이다. 배움의 목적을 자기의 수양에 둔 것이었다. 자기의 사람됨이었다. 자기의 유익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古之學者爲己(고지학자위기)를 줄여서 爲己之學(위기지학)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기 자신의 수양을 위해 공부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성에 초점을 두고 공부에 임한 것이었다. 남을 위해, 나라를 위해, 세계를 위해 공부를 해야지 하는 마음이 없었다. 今之學者(금지학자) 즉 오늘날 공부하는 사람들은 남을 위해 배웠다. 남에게 유익을 끼치기 위해 공부하였다. 자신의 유익은 말할 것도 없고 남에게 유익을 주고 가족에게, 이웃에게, 국가에, 세계에 유익을 주기 위해 배웠다. 그런데 아쉬운 것은 자기 수양에 대한 것은 뒷전이었다. 古之學者爲己(고지학자위기)와 今之學者爲人(금지학자위
논어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哀公問 (애공문) 弟子孰爲好學 (제자숙위호학) 孔子對曰 (공자대왈) 有顔回者好學 (유안회자호학) 不遷怒 (불천노) 不貳過 (불이과) 不幸短命死矣 (불행단명사의) 今也則亡 (금야즉망) 未聞好學者也 (미문호학자야)” 해석은 이러하다. ‘애공이 물었다. 제자 중에 누가 배우기를 좋아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사람이 있어 배우기를 좋아했습니다. 노여움을 옮기지 않았고,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불행히도 단명하여 죽었습니다. 지금은 없습니다. (지금은) 배우기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라는 뜻이다. 안회라는 사람은 공자의 애제자다. 수제자라고 할 수 있다. 공자께서 자기의 제자 중에 가장 학문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안회만큼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였다. 얼마나 학문을 좋아하였기에 그 많은 제자 중에 안회만큼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였을까? 아마 안회는 학문 사랑하기를 임 사랑하듯 했을 것이다. 자나깨나 임 생각하듯이 자나깨나 학문 생각했을 것이다. 자면서도 학문 생각하고 깨어났어도 학문 생각했을 것이다. 자면서도 공부하는 꿈 꿨을 것이고 일어나서고 공부했을 것이다.
논어의 헌문편 헌문편(憲問篇)에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愛之란 能勿勞乎아 忠焉이란 能勿誨乎아.(애지란 능물로호아 충언이란 능물회호아)” 이 말의 뜻은 ‘사랑한다고 근로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충성을 다한다고 깨우쳐 주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말이다. 공자께서 하신 말씀이다. 이 말의 뜻을 좀 더 깊이 알려고 하려면 우선 이 문장이 어떻게 짜여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이 문장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대구로 이루어져 있다. 愛之(애지)가忠焉(충언)과 짝을 이루며 能勿勞乎(능물로호)가 能勿誨乎(능물회오)와 짝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愛之의 之와 忠焉의 焉은 같은 문장성분과 뜻을 가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之와 焉을 대명사로 보고 해석을 하면 이렇게 된다. 여기서 之는 ‘그를, 자식을, 아들을’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乎는 반문의 뜻으로 해석하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해석이 되어진다. ‘아들을 사랑하면 능히 수고롭게 하지 말 것인가?.’ 이 말은 아들을 사랑한다고 해서 어떻게 힘든 일을 시키지 않을 것인가?라는 뜻이 된다. 그렇다 아들을, 자식을 사랑한다고 해서 힘든 일을 시키지 않고 고생을 시키지 않고 수고를 하지 않도록 해
맹자 양혜왕 장구상 7장에 보면 우리가 익히 아는 맹자 양혜왕 장구상 7장에 보면 우리가 익히 아는 연목구어(緣木求魚)가 나온다. 이 말의 뜻은 나무에 올라 고기를 얻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것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 도저히 불가능한 것이다. 가당찮은 것이다. 이는 물을 끓여 얼음을 만들려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산꼭대기에 서 물고기를 구하려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또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내려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보면 우습기만 하다. 안타까움이 더해질 뿐이다. 그러니 내가 하는 일에 대해서도 가능한 일인지 불가능한 일인지, 방향이 옳은지 그른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가야 할 곳이 아닌데 가면 어떻게 되나? 시간만 낭비 아닌가? 다시 되돌아야 와야 할 것 아닌가? 방향이 틀리면 간 것만큼 되돌아야 와야 한다. 그러니 처음부터 불가능한 일을 가능한 것으로 우겨서도 안 되고 고집을 부려서도 안 된다. 방향 설정이 바른지, 그른지에 대한 분별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물고기를 구하려면 바다에 가야지, 물이 있는 곳으로
맹자 양혜왕 장구상 7장을 읽고서 교도(敎道)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맹자 양혜왕 장구상 7장을 읽어보면 왕도(王道)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제선왕(齊宣王)이 맹자께 물었다. “德何如(덕하여)면 則可以王矣(즉가이왕의)리잇고”하였다. 왕자(王者)가 되려면 어떤 덕이 있어야 합니까?라고 물은 것이다. 이 말을 듣고 맹자께서는 “保民而王(보민이왕)이면 莫之能禦也(막지능어야)리이다”라고 하셨다. 백성을 보호하는 왕이 되면 아무도 막을 없다고 하셨다. 왕자가 되려면 무엇보다 백성을 보호하는 왕이 되어야 한다고 하셨다. 왕은 백성을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선생님은 학생을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에게 주어진 학생들의 건강을 지키고, 안전을 지키는 것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되겠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편안하게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전학을 원하는 학생들 중에는 공부하는 분위기가 되어 있지 않아 학교를 옮기려고 한다. 주위의 학생들이 괴롭히고, 왕따를 시키니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있다. 이런 학생까지도 관심을 가져 괴롭히는 학생들이 없도록 보호해 주는 역할을
맹자 양혜왕 장구상 6장을 읽으면서 몇 가지 교훈을 얻게 된다. 우선 배우는 이들은 자기가 배우는 과목에서 예리한 질문을 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양의 혜왕의 아들인 양왕(襄王)을 하루는 맹자께서 만났다. 양왕을 만나 뵈었을 때 맹자께서는 놀라워하셨다. 왕답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멀리서 보아도 임금 같지가 않았고 가까이서 뵈어도 두려운 감이 없었다. 그러나 그분의 질문을 듣고 깜짝 놀라웠다. 예리한 질문이었다. 보기는 왕처럼 보이지 않았지만 질문의 내용은 왕으로서의 자격이 충분하였다. 갑자기 양왕은 질문하였다. 天下惡乎定(천하악호정)-'천하는 어디로 정착됩니까?' 하고 물으셨다. 또 孰能一之(숙능일지)오 : '누가 통일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으신 것이다. 배우는 이들이 항상 가져야 할 것이 양왕(襄王)과 같이 질문하는 자세이다. 배우는 이들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자꾸 물어야 한다. 예리하게 질문해야 한다. 선생님이 깜짝 놀랄 정도로 질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자기가 알고자 하는 바를 깨우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배울 점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모가 중요하지 않고 중심
맹자 혜양왕 장구상 5장을 읽으면서 어진 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우선 교육하는 입장에서 보면 학생들에게 어진 교육을 시킨다면 인성교육은 보다 잘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맹자께서 양혜왕에게 나라가 어렵고 힘들 때 어진 정치를 베풀도록 하셨다. 형벌을 되도록 줄이고 세금을 가볍게 하여 백성들이 열심히 밭을 갈고 쉽게 김매도록 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나서 장정(壯者)들에게 일없는 여가에(暇日가일) 효제충신(孝悌忠信)을 배우게 하여 집안에서는 부형을 잘 섬기고 바깥에서는 어른들을 공경하도록 지도하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면 효제충신은 물론 장정들의 사기가 돋아 몽둥이를 들고서라도 적의 견고한 갑옷과 예리한 무기를 두들겨 쫓게 할 수 있다고 하셨다. 그리고는 仁者無敵(인자무적)이라 하셨다. ‘어진 사람에겐 적이 없다'고 하셨다. 맹자께서는 어진 정치를 하면 백성들은 어질게 되어 있고 어진 백성들에게 적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가르치셨다. 적군이 아무리 뛰어난 무기를 갖고 강한 군대라 할지라도 어진 백성들이 하나가 되어 나가 싸우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고 가르치셨다. 어진 정치가 효제충신(孝悌忠信)의 밑바탕이 되어 어진 백성을 만들듯이 어진 교육이 학생들
맹자 양혜왕 장구상 4장에 보면 맹자의 가르침이 나온다. 양혜왕이 맹자의 가르침을 받기를 원하자 맹자께서는 사람을 죽일 때 몽둥이로 죽이나 칼로 죽이나 똑같음을 말씀하셨다. 그리고 칼로 죽이는 것이나 악정(惡政)으로 죽이는 것과도 똑같음을 말씀하셨다. 맹자께서는 칼이든 몽둥이든 악정(惡政)이든 모두가 똑같음을 알고 칼로도, 몽둥이로도, 악정(惡政)으로도 사람을 죽여서는 안 됨을 가르쳐 주셨다. 4장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 하나 있었다. 우리들은 말로써 사람을 죽일 때가 많은데 말로써 사람을 죽이는 것도 칼로, 몽둥이로, 악정(惡政)으로 죽이는 것과 똑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자주 상대방을 통해 마음이 상할 때마다 말로써 그 사람을 죽일 때가 많다. 마음에 상처를 준다. 마음에 자국이 사라지지 않도록 한다. 평생에 자국을 만들어 놓는다. 시멘트 바닥에 발자국을 남기면 지울 수 없듯이 사람들의 마음에 새겨진 자국도 평생 지울 수 없다. 그게 쌓이고해서죽음에 이르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말로써 사람을 죽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말로써 남에게 상처를 주는 일도 사람을 죽이는 것임을 알고 조심해야 한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하지만 말은 사람을 죽이기
명심보감 정기편에 “不干己事(불간기사)를 莫妄爲(막망위)하라.”는 말이 나온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뜻이다. 자신을 세우기 위해서는 이 말을 깊이 새겨둘 필요가 있다. 不干己事(불간기사)는 자기와 관계없는 일이다. 자기가 구하는 것도 아니고 자기가 원하는 것도 아니다. 자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 것이다. 그런데도 남의 일에 참견하기를 좋아하고 남의 일에 간섭하기를 좋아한다. 이래가지고는 자기를 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不干己事(불간기사)를 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을 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상관없는 일에 참견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기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도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을 하지 말라고 하였다. 남의 일에 함부로 간섭하고 참견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은 것이다.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은 남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다. 남의 일에 참견하는 것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은 것이다. 남의 일이 자기 일인양 착각을 하면서 간섭하는 것은 과오임에 틀림없다. 과오도 보통 과오가 아니다. 큰 과오다. 남의 일에 간섭을 받는 입장에 서 보면 남의 일에 간섭을 해서는 안 되겠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사소한
명심보감 정기편에 보면 태공(太公)은 “勤爲無價之寶(근위무가지보)”라 하여 부지런함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보배라고 하였다. 소학(小學)에는 “벼슬하는 사람들이 힘써야 할 일이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청(淸)이요, 둘째는 신(愼)이요, 셋째는 근(勤)이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명심보감 정기편에 대개 노는 것은 보탬이 없고 오직 부지런함만이 공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고금에서 '근(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많이 보게 되는데 특히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근(勤)'에 대한 말씀은 근(勤)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 내용을 소개하면 이렇다. “부지런함(勤)이란 무얼 뜻하겠는가?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며, 아침 때 할 일은 저녁 때 하기로 미루지 않으며, 밝은 날에 해야 할 일을 비오는 날까지 끌지 말도록 하고, 비오는 날 해야 할 일도 맑은 날까지 천연시키지 말아야 한다. 늙은이는 앉아서 감독하고, 어린 사람들은 직접 행동으로 어른의 감독을 실천에 옮기고, 젊은이는 힘드는 일을 하고, 병이 든 사람은 집을 지키고, 부인들은 길쌈을 하기 위해 밤중[四更]이 넘도록 잠을 자지 않아야 한다. 요컨대 집안의 상하 남
명심보감 계선편에 착한 일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착한 일에 대한 것이 나오면 따라서 악한 일에 대해서도 같이 언급이 된다. 그 중의 하나가 한나라 소열황제인 유비가 자기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될 아들에게 한 말씀이 나온다. “漢昭烈(한소열)이 將終(장종)에 勅後主曰(칙후주왈) 勿以惡小而爲之(물이악소위지)하고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하라”는 말씀이다. 악한 점이 작다는 이유로 해서는 안 되며, 선한 점이 작다는 이유로 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여기서 將終(장종)은 죽음에 임하여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여 후주(後主) 즉 뒤를 이을 임금인 자기 아들에게 한 유언의 말씀이라 하겠다. 칙(勅)은 당부하다, 경계하다의 뜻이 있다. 그러기에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여 자기의 아들에게 당부의 말을 한 것이다. 어느 때보다 죽을 때에 하는 말이 가장 영향력이 있다. 죽음에 임하면 가장 의미 있는 말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의 위치가 높은 사람일수록 말의 영향력은 크다 하겠다. 한소열이 죽음에 임하였고 왕의 위치에서 말을 했으니 그 말을 깊이 새겨두어야 할 말이고 평생을 남겨두신 말씀으로 살아야 할 것이다. 이 말씀은 비록 아들인
명심보감 정기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耳不聞人之非(이불문인지비)하고 目不視人之短(목불시인지단)하고 口不言人之過(구불언인지과)라야 庶幾君子(서기군자)니라.” 이 말은 ‘귀로 남의 잘못을 듣지 말고, 눈으로 남의 단점을 보지 말고, 입으로 남의 허물을 말하지 않아야만 거의 군자라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人의 뜻을 살펴보면 여기서 人은 그냥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남, 즉 타인이란 뜻이다. 非(비)와 短(단)과 過(과)는 모두 같은 뜻으로 쓰여 있음을 보게 된다. 非(비)가 무엇인가? 잘못이다. 그릇됨이다. 허물이다. 나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이다. 과오다. 短(단)은 短(단)도 단점이다. 그릇됨이고 허물이고 나쁜 것이고 옳지 않은 것이고 과오다. 過(과)는 무엇인가? 이것도 마찬가지다. 허물이고 그릇됨이고 나쁜 것이고 옳지 않은 것이다 과오다. 庶幾(서기)는 ‘거의’라는 뜻이다. 거의 서, 거의 기다. 그러므로 庶幾君子(서기군자)는 거의 군자라는 뜻이 된다. 군자란 학식과 덕행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여기서 君子(군자)란 완전한 사람, 학식을 갖출 뿐만 아니라 덕을 이룬 자를 말한다. 그러면 어떤 사람이 거의 군자라 할
명심보감의 1편은 계선편(繼善篇)으로 선과 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첫머리에 선과 악을 다룬 것은 선과 악이 그만큼 사람에게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사람됨의 판단기준 중의 하나가 선악이다. 선을 행하는 이는 바라는 사람이고 악을 행하는 이는 바라지 않는 사람이다. 선을 행하는 이는 누구나 원하는 사람이고 악을 행하는 이는 누구나 원하지 않는 사람이다. 선을 행하는 이는 좋은 사람이고 악을 행하는 이는 나쁜 사람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선은 좋은 것이고 선은 바라는 것이고 선을 원하는 것이지만 선을 행하기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 반대로 악은 바라지도, 원하지도 않지만 자기도 모르게 악을 행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아무런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 선을 행하면 복을 받게 되어 있고 악을 행하면 화를 입게 되어 있지만 사람들은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있다. 깨닫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명심보감 첫머리에 공자께서 하신 말씀을 언급하신 것이다. 선한 일을 한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으로 갚으며,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로 갚는다고 하신 것이다. 이 말씀 속에는 선한 일을 해라, 선한 일을 꾸준히 해라, 악한 일을 하지 말라, 악한 일은 그치라고 하는 뜻이 포
명심보감 정기편에 “定心應物(정심응물)이면 雖不讀書(수부독서)라도 可以爲有德君子(가이위유덕군자)니라.”라는 말이 나온다. 이 말은 ‘마음을 안정하고 사물에 응하면, 비록(雖) 글을 읽지 않았다고 해도 덕이 있는 군자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핵심어는 ‘定心(정심)’이다. 定心(정심)이 무엇인가?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우선 위에서 해석을 했듯이 마음을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마음에 안정이 없다면 사물을 바로 바라볼 수가 없는 것이다. 마음이 안정이 되어야 무슨 일이든지 안정되게 잘 할 수 있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定心(정심)은 마음을 착하게 하다의 뜻이 있다. 마음이 착해야 말도 행동도 착해진다. 마음이 악하면 말과 행동도 악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마음을 착하게 해서 모든 일에 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定心(정심)은 마음을 침착하게 하다는 뜻이 있다. 마음을 침착하게 해야 모든 일을 침착하게 잘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마음이 침착하지 않으면 하는 일마다 실수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定心(정심)은 마음을 확고하게 정하다는 뜻이 있다. 마음을 확고하게 정하지 않으면 흔들릴 수밖에 없다. 하는 일마다 일관성이 없게 된
맹자 권제일 3장에서 교육가족에게 특히 강조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 학교교육에 대한 충실이다. 맹자께서는 “謹庠序之敎(근상서지교)하여 : 그리고 학교 교육에 충실하여, 申之以孝悌之義(신지이효제지의)면 :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에게 우애하도록 가르치면, 頒白者不負戴於道路矣(반백자불부대어도로의)리니 : 반백의 노인이 짐을 지거나 이고 거리를 다니는 일이 없게 될 것입니다.”라고 하셨다. 학교교육을 충실하게 하는 것이 자신의 삶을 윤택하게 할 뿐 아니라 자기가 모시는 부모에게도 윤택한 삶을 가져다주는 한 방법이 됨을 가르쳐 주고 있다. 학교교육을 소홀히 하면 안 된다. 요즘은 학교교육 외적인 요소 때문에 학교교육이 어려움을 당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학교교육이 밑바탕이 되어야 학생들을 올바르게 자라게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인성교육도 학교교육에서 소홀히 해서는 안 될 부분 중의 하나이다. 부모에게 효도하게 하는 것도 학교교육에서 책임져야 할 한 부분이다. 효행교육은 아무리 세대가 바뀌어도 없어져서는 안 된다. 학력향상을 위한 교육을 한다고 효행교육이 뒤로 밀려서도 안 된다. 효행교육이 학교교육의 큰 부분이 되어야 한다. 마지못해 하는 효행교육이 되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