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사자성어로 교육읽기> 농교성졸(弄巧成拙)

송(宋)나라 황정견(黃庭堅)의 ‘졸헌송(拙軒頌)’에 ‘찾으려던 공교함 찾지 못하고/얻어낸 졸렬함 어디서 왔는가./사기 동이 깨트리고 한번 물으니/광자(狂者), 이로 인해 눈을 떴다네./기교를 부리다 망치는 것은/뱀을 그리면서 다리를 그리는 격이니….[覓巧了不可, 得拙從何來, 打破沙盆一問, 狂者因此眼開, 弄巧成拙, 爲蛇畫足….]’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별집 권19, 성행부(性行部)’에 실려 있다.

여기에서 유래한 성어 ‘농교성졸(弄巧成拙)’은 ‘지나치게 기교를 부리다가 도리어 서툴게 됨’을 뜻하는 말로, 이 글 속에 나오듯이 '화사첨족(畵蛇添足)‘과도 의미가 통한다. 이는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한 결과를 보게 된다’는 뜻의 사자성어 ‘욕교반졸(欲巧反拙)’의 근원이 되는 구절이기도 하다. 이 ‘욕교반졸’의 출전을 ‘논어’로 적어놓은 책들이 많으나 잘못된 것이다.

요즘 교육계의 화두가 된 인성평가 논란을 보면서 떠오른 성어가 바로 ‘농교성졸’이다.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시민 육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회에서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굳이 법까지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도 있지만, 물질 만능의 풍조 속에 윤리 도덕이 무너지고, 양심, 정직, 예의, 염치라는 말조차 점차 실종되어 가는 오늘의 현실에 비추어볼 때 피폐해진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수립은 시급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성을 평가해 대학입시에 반영하겠다는 교육부의 천명은 애초부터 무리한 발상이 아닐 수 없었다. 수험생 개개인의 인성을 어떻게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인가. 또, 그로 인해 부추겨지는 사교육의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아니나 다를까. 올해 초 교육부가 입학 전형에서 인성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대학에 재정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이래 벌써부터 253개의 민간 자격증이 난립하고 있으며, 강남의 학원가에선 ‘인성면접’을 위한 고액 강의까지 성행하고 있다고 한다. 잘하려는 의욕이 지나쳐 부작용만 양산한 꼴이니, 이 또한 ‘농교성졸’의 우(愚)가 아닐 수 없다.

최근 교육부에서, 7월 21일의 ‘법’ 시행에 즈음하여 인성평가의 대입반영 방침을 백지화한 것은 퍽 다행스러운 일이다. 아무쪼록 당국에서 보다 내실 있는 인성 함양 방안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법’ 제정 본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으면 한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