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방학이 끝나가고 있는 가운데 교사들은 2학기 수업준비를 위해 분주해지는 시점이다. 이때쯤이면 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자료를 정리하고, 효율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수업방법에 있어 1970년대와 2000년대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1973년 3월 11일자 새한신문(한국교육신문 전신)에는 ‘신출(新出)교사 수업입문 7계명’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판서에 대한 구상 = 교사가 판서한 것은 학생들이 노트에 필기하므로 수업내용이나 요점을 한 눈으로 되살아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판서자체도 나열식으로 왼쪽 위부터 판서해 나가는 것보다는 칠판 전체의 중앙에 가장 중요한 것을 쓰고 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써 나가되, 사전에 어떻게 판서할 것인가를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판서의 구조화 내지 조직화를 위해 미리 준비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판서를 지우는 것도 어떤 부분을 끝까지 남겨서 학생들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겠는가에 대해 전략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눈으로도 가르치자 = 수업이란 입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도 하는 것이다. 시선이 마주치면 학생들이 한눈팔지 못하며, 큰 소리도 수업을 하는 것보다는 조용한 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재연구 = 교재연구란 교재 속에서만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을 생활 속에서 찾아야 한다. ▲순회지도 = 학생들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때에는 순회지도를 할 필요가 있다. 계획적으로 이해도가 낮은 A와 B를 관심을 갖고 보는 식으로 순회지도 예정표를 만들어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실 그대로 가르치자 = 학생의 질문을 받고 잘 모르는 것이 나올 때, 모르는 대로 솔직히 시인하고 학생들과 같이 진진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 한 학생에게 질의해서 바른 답을 맞춰도 또 다른 학생에게 같은 질문을 해서 주위를 환기시킨다. 그리고 발문을 할 때에도 출석부의 번호순보다 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생에게 지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반성 = 한 시간의 수업이 끝나면 어떤 방법으로든지 지난 수업이 잘 됐는지 반성해야 한다.”
1977년 3월 10일자에는 ‘신출교사 이래야 한다’는 선배교원들의 조언을 담았다.
“▲서울중앙초교 H교장 = 학교는 공동체 조직이므로 항상 남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나를 늘 반성하면서 선배․동료교사의 충고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서울 덕수초 L교장 = 선배교원들은 본받을 점도 많겠지만 요령에 젖은 선배교사의 행동은 본받지 말고 참신한 젊은 교사의 모습을 성실히 지켜 나가야 한다.”
또한 신규교사들을 위해 선배 교원들의 역할도 제시했다. “통제나 지시보다는 자율적이 행정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초임교사들도 정신적 안정과 사명감을 갖고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록 30년 전의 초임교사들에게 제시한 조언이지만 모든 교사들에게도 초심으로 돌아가 음미해봄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