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와 연관한 EBS 문제집 70% 연계 공표 이후, EBS 교육 방송의 위상에 대한 논란이 점차 가중되고 있다. 사태를 바라보는 필자의 마음은 매우 무겁다. 사실 이러한 사태의 발단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다.
주지하다시피, 오래 전 김영삼 정권에서 EBS 위성방송 출범한 이래로 새로운 정권은 하나 같이 EBS를 활용한 교육문제에 깊숙이 개입해왔다. 한데 ‘전가(傳家)의 보도(寶刀)’처럼 휘두르는 이 EBS 활용이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는 그 강도가 아주 파괴적이며 치명적으로 변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수능 수리영역은 숫자만 바꾸어 출제하고, 언어와 외국어영역은 지문을 통째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민주적 자율 경쟁의 틀과 학습자 중심의 창의성 파괴, 그리고 공교육 황폐화를 자행하고 있다.
먼저 민주적 자유 경쟁의 파괴 양상을 살펴보자. 공영방송이라는 EBS가 거대 권력 기관화됐다.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EBS의 사이는 호형호제의 사이를 넘어선 진한 혈육적 연대감을 보인다. 그러니 EBS는 그들 공권력을 등에 업고 사교육 기관보다 더한 영업 행태를 보이며 호가호위(狐假虎威)한다. 영업 노하우는 ‘땅 짚고 헤엄치기’이다. 불쌍한 중소 출판사들의 손발은 묶이고, 독점적 책장사에서 얻은 이윤에서 나오는 위세는 하늘을 찌르고 있다. 이러한 공영방송의 관치적 작태는 금도(襟度)를 뛰어넘고, 도덕적 개념은 저 멀리 안드로메다로 달아났다.
아울러 학습자 중심의 창의력 파괴이다. 1994학년도 처음 시행된 수능은 이전의 학력고사가 배태한 주입식 교육의 폐단을 극복하고 학생의 능동적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길러주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현상을 보면 오로지 쉬운 수능으로 변별력과 복합적 사고는 실종되고, ‘EBS 암기 수능’이라는 해괴한 신조어가 생겨나고 있다. 2011학년 수능을 준비하는 전국의 모든 수험생이 EBS라는 특정 교재에 매달려 특정 지문을 수없이 반복하고, 특정 강의를 반복해 보는 형국이다. 무서운 집단화, 획일화의 횡행을 목도하고 있다. 이런 교육적 환경에서 스티브 잡스 같은 뛰어난 창의적 인재는 기대난망이다.
끝으로 공교육 황폐화이다. 공교육을 위한다는 EBS 활용이 공교육을 황폐화하고 있다는 말이다. 고3 교실은 EBS 교재로 넘쳐 난다. 교사들은 EBS 교재를 해설하느라 정신줄을 놓는다.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 수업은 증발하고, 학력고사때보다도 더한 주입식 교육에 매달리고 있다. 교육과정은 실종되고 정규수업이든 방과후수업이든 EBS 교재와 그 해설 강의에만 매달린다. 교육방송의 활용이 공교육을 위축시키는 이 기막힌 사태를 교육 담당자들은 알고나 있는가.
이런 중차대한 문제와 더불어 현장에서 EBS 교재를 사용해 보노라면, 졸속 제작의 역력한 자취를 느끼게 된다. EBS 교재는 별도의 정오표 책자를 반드시 만들어야 할 정도의 오류투성이다. 학생들이 문제집과 정오표 책자집을 동시에 들고 공부하는 기막힌 현실이다. 문제 자체도 그 완성도가 낮아 학생들과 현장 교사들의 원망을 듣고 있다. 잠시라도 다루어 보면, 답지끼리의 간섭, 제시문과 '보기'의 유기성 부족, 제시문과 연관 없는 상식적 수준의 허망한 답지 해결, 답지 자체의 성립 불가능 등 수 많은 상황이 발생한다. 극소수의 편집 연구원과 늘상 ‘그 밥에 그 나물’인 매명(賣名) 의식 가득한 강사와 집필자들의 영향력 하에서 지지고 볶으면서 시간에 쫒겨 졸속으로 제작된 까닭이다.
결론이다. 정권은 사교육 문제를 EBS에게 더 이상 맡기지 말아야 한다. 사교육 문제는 큰 틀에서의 시스템의 문제이며, 학부모의 의식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당장 EBS는 입시 주도적인 역할에서 손을 떼게 해야 한다. 그리하여 그들로 하여금 평생 교육이나 교양 제작과 같은 방송 설립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것이 EBS의 정체성이다. ‘사교육 잡으려다 외려 공교육 때려잡는’ 이 해괴한 교각살우(矯角殺牛)의 교훈을 교육 담당자들은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